2025.08.20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해양수산

2024년 우리나라 수산물생산량은 전년보다 2.2%, 연근해생산량은 11.6% 감소

- 해양수산부, 어업 생산량 감소에 대응해 지속가능한 어업 생태계 조성, 기후변화 적응 대책 등 적극 추진 계획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2024년 국내 어업(연근해어업, 해면양식업, 원양어업, 내수면어업) 총생산량이 2023년(369만 톤) 대비 2.2% 감소한 361만 톤이며, 생산금액은 2023년(9조 4,370억 원) 대비 6.9% 증가한 10조 918억 원으로 집계되었다고 밝혔다.

 

< 2024년 국내 수산물생산량 및 생산금액(단위: 톤, 억 원, %) >

 

구  분

생산량

생산금액

2023년 

2024년 

증감률

2023년 

2024년 

증감률

전  체

3,690,591

3,610,135

△2.2

94,370

100,918

6.9

연근해

951,722

841,347

△11.6

43,651

41,763

△4.3

양  식

2,285319

2,248,843

△1.6

31,838

37,118

16.6

원  양

410,673

479,398

16.7

12,040

15,258

26.7

내수면

42,877

40,547

△5.4

6,840

6,779

△0.9

  * 자료: 통계청 어업생산동향

 

< 연근해어업 >

 

  2024년 연근해 어업생산량은 총 84.1만 톤으로, 전년 생산량(95.1만 톤) 및 최근 5년 평균 생산량(92.5만 톤)에 비해 각각 11.6%, 9.1% 감소하였다. 연근해 어업생산금액은 총 4조 1,763억 원으로, 전년 생산금액(4조 3,650억 원) 및 최근 5년 평균 생산금액(4조 1,774억 원)에 비해 각각 4.3% 감소, 0.02% 증가하였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ee8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54pixel, 세로 56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ee8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16pixel, 세로 568pixel

 

연근해어업 생산량

연근해어업 생산금액

 

  전년 대비 연근해어업 생산량이 감소한 것은 기상악화*, 고수온 등으로 인한 자원량 변화, 어황 부진 및 고유가 지속에 따른 출어 기피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연근해어업 주요 12개 업종의 경우 전체 조업일수는 2024년 평균 87.1일로, 전년 대비 23.7%, 평년 대비 23.4% 감소하였다.

 

  * 풍랑특보 발효 건수 : (2022) 734 → (2023) 804 → (2024) 929

 

  주요 어종 중 청어 2.7만 톤(30.3%), 참조기 1.8만 톤(17.7%), 고등어 12.5만 톤(4.0%), 전갱이류 4만 톤(3.8%) 등은 전년 대비 생산량이 증가하였다.

 

  반면, 오징어 1.3만 톤(△42.1%), 갈치 4.4만 톤(△26.6%), 꽃게 2만 톤(△23.3%), 멸치 12만 톤(△18.8%), 삼치류 3.8만 톤(△16.8%), 붉은대게 2.8만 톤(△9.9%), 가자미류 2.1만 톤(△6.2%) 등 일부 어종은 전년 대비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주요 연근해 품목별 생산동향(단위 : 톤, %)>

 

구  분

최근 5년 평균

2023년

2024년

전년 대비 증감률

최근 5년 평균 대비 증감률

멸치

162,352

147,770

120,028

△18.8

△26.1

오징어

45,928

23,375

13,545

△42.1

△70.5

고등어

106,381

120,116

124,929

4.0

17.4

갈치

57,390

60,671

44,507

△26.6

△22.4

참조기

25,974

15,127

17,806

17.7

△31.4

붉은대게

21,750

31,584

28,456

△9.9

30.8

삼치

36,617

45,688

38,028

△16.8

3.9

청어

21,992

21,318

27,768

30.3

26.3

꽃게

19,279

27,150

20,816

△23.3

8.0

가자미류

21,082

22,704

21,292

△6.2

1.0

전갱이류

43,079

38,681

40,152

3.8

△6.8

 

  청어는 동해 해역에서 어장 형성이 양호하여 경북지역 청어 어획 비율이 증가(’23년 50.5%, ‘24년 54.1%)하였고, 정치망에서도 생산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참조기는 금어기(4.22.~8.10.) 종료 이후 서해와 제주 주변 해역을 중심으로 어장 형성이 양호하여, 전 업종의 생산량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오징어는 성어와 유생의 자원밀도가 매우 낮은 수준으로 관측되며, 전·평년 대비 2~4℃ 높게 형성된 수온의 영향으로 어군이 분산되면서 생산량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갈치는 평년 대비 2.5~4.0℃ 높은 수온의 영향으로 어군이 분산 분포하여 자원밀도가 크게 감소해, 전 업종에서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해양수산부는 지속가능한 수산업을 위해 먼저 어종·어장 변화에 맞춰 117년된 제도와 시스템을 개선한다. 수산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해 총허용어획량(TAC) 제도*를 모든 어선에 전면 도입하고, 나아가, 허용어획량 내에서 쿼터를 거래할 수 있는 ‘양도성개별할당제(ITQ)’도 단계적으로 도입한다. 한편, TAC 확대에 따라, 기존의 어업시기·방식 등 불합리한 규제는 혁신 로드맵**에 따라 개선할 계획이다.

 

  * 자원량을 고려하여 어획 가능 물량을 정하고 그 범위에서 어업인들에게 할당하는 어족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수산자원 관리 방법

 ** 규제 1,529건 중 어선 안전, 수산자원 보호를 제외하고 740건 이상 완화 목표

 

  이를 위해 「지속가능한 연근해어업발전법」을 제정(2024. 6. 국회 제출)하고, 수산자원량에 비해 과도한 어선세력 조정과 남획을 방지하기 위한 어선 감척을 지속 추진하며, 바다숲 및 산란·서식장 조성, 어구보증금제 추진 등을 통해 수산자원 및 바다생태계를 회복시킬 계획이다. 또한, 부수어획 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해상에서 버려지는 물고기를 자원화하고 발생하는 수익을 어업인 지원에 활용할 예정이다.

 

  이렇게 개선된 제도를 어업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업인 간 갈등 조정과 지역별 특성에 맞는 어업․수산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해 수산조정위원회의 기능과 역할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위원회를 현행 정책 심의 기구에서 심의․의결 기구로 전환하고, 그 역할도 분쟁조정, TAC 배분, 지역별 특성에 맞는 어업․수산자원 관리 등으로 확대한다.

 

< 해면양식업 >

 

  2024년 해면양식업 생산량은 총 224.9만 톤으로, 전년(228.5만 톤) 및 최근 5년 생산량(233.6만 톤)에 비해 각각 1.6%, 3.7% 감소하였다. 해면양식업 생산금액은 3조 7,118억 원으로, 전년(3조 1,838억 원)에 비해 16.6% 증가하였고, 최근 5년 평균(3조 1,054억 원)에 비해서는 19.5% 증가하였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230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21pixel, 세로 26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230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13pixel, 세로 276pixel

 

양식업 생산량

양식업 생산금액

 

  주요 양식품목 생산량은 미역 57.2만 톤, 김 55.2만 톤, 굴 31.0만 톤, 전복 2.3만 톤, 넙치(광어) 4.0만 톤, 조피볼락(우럭) 1.5만 톤 등으로 나타났다.

 

<주요 양식 품목별 생산동향(단위 : 톤, %)>

 

구  분

최근 5년 평균

2023년

2024년

전년 대비 증감률

최근 5년 평균 대비 증감률

미역

548,937

564,281

572,381

1.4

4.3

554,784

534,390

551,516

3.2

△0.6

다시마

636,036

596,471

542,340

△9.1

△14.7

310,685

310,753

310,076

△0.2

△0.2

홍합

59,076

56,919

58,789

3.3

△0.5

전복

21,580

24,126

23,352

△3.2

8.2

넙치

42,973

40,089

40,125

0.1

△6.6

조피볼락

18,002

14,430

14,513

0.6

△19.4

 

  김은 기상 여건이 양호하고 수출 수요 증가 등으로 어가들의 생산 의지가 높아 생산량은 전년 대비 3.2% 증가하였다. 반면, 다시마는 전년 대비 9.1% 감소했는데, 이는 주로 늦봄~여름철에 채취되는 비식용(전복 먹이용) 다시마가 수온 상승 등의 영향으로 작황이 좋지 못했기 때문이다.

 

  굴은 수온 등 전반적인 생산여건이 양호하여 전년 수준의 생산량을 보였다. 전복은 전년보다 생산량이 3.2% 감소하였는데, 전년 여름철 고수온 영향으로 출하 가능 물량이 감소한 가운데 수요도 많지 않았던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넙치(광어)는 타 횟감용 활어 대비 고수온 피해가 적어 여름철 출하가 일시적으로 증가하기도 하였으나, 겨울철에는 출하가 감소하여 전년 수준의 연간 생산량을 보였다. 조피볼락(우럭)은 주요 산지에서 여름철 고수온 영향이 있었으나, 상반기 출하량이 많아 전년 수준의 생산량을 보였다.

 

  2025년 양식업 생산량은 전년에 비해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 다시마 등 해조류의 경우 해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어 작황이 좋을 것으로 예상되나, 1년 이상 다년간 사육하는 패류와 어류의 경우는 2024년 여름철 고수온 피해의 여파가 있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생산량이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양수산부는 양식수산물 수급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해양환경 요인을 고려하여 수산관측을 실시하여 어업인 등에게 신속하게 제공하는 한편, 자조금을 지원하여 생산자단체의 자율적인 적정생산을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양식 환경 변화 대응력 강화를 위한 신규 품종개발, 스마트양식장 확대, 재해 대응체계 강화 등을 통해 기후변화에도 안정적인 양식수산물 공급을 지원하며, 굴·전복 등 차세대 유망품목의 고부가가치화와 수출시장 확대 등을 통해 양식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원양어업 >

 

  2024년도 원양어업 생산량은 47.9만 톤으로, 전년 생산량(41.1만 톤) 및 최근 5년 평균 생산량(43.9만 톤)에 비해 각각 16.7%, 9.2% 증가하였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18c079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54pixel, 세로 56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18c0008.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16pixel, 세로 568pixel

 

원양어업 생산량

원양어업 생산금액

 

  주요 어종별 생산량은 가다랑어 24.9만 톤, 황다랑어 5.7만 톤, 눈다랑어 2.2만 톤, 오징어류 6.3만 톤, 꽁치 0.6만 톤, 명태 2.9만 톤, 민대구류 1.0만 톤 등이다.

 

<주요 원양 품목별 생산동향(단위 : 톤, %)>

 

구  분

최근 5년 평균

2023년

2024년

전년 대비 증감률

최근 5년 평균 대비 증감률

가다랑어

217,311

201,752

249,196

23.5

14.7

황다랑어

57,837

60,523

56,516

△6.6

△2.3

눈다랑어

23,144

24,767

21,960

△11.3

△5.1

오징어류

42,118

31,511

63,156

100.4

49.9

꽁치

5,558

3,107

5,866

88.8

5.5

명태

25,783

28,432

28,999

2.0

12.5

민대구류

7,968

8,201

10,037

22.4

26.0

 

  대표적인 원양어업 어종인 가다랑어류의 경우 태평양 해역 어장 확대 및 조업 횟수 증가에 따라 생산량이 전년 대비 23.5% 증가하였다. 반면 선사들의 가다랑어 어획 집중에 따라 황다랑어와 눈다랑어 생산량은 전년 대비 각각 6.6%, 11.3% 감소하였다.

 

  오징어는 남서대서양해역 오징어 어장 밀집으로 전년 및 최근 5년 대비 각각 100.4%, 49.9% 증가하였고, 꽁치는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생산량이 감소해왔으나, 지난해 북태평양 어장이 회복되며 생산량이 88.8% 증가했다.

 

 

  해양수산부는 노후된 원양어선의 대체 건조를 지원하는 원양어선 안전펀드 사업, 투발루·키리바시 등 태평양 도서국들에 대한 공적개발원조사업(ODA) 확대를 통한 연안국과의 협력 강화 등을 통하여 지속 가능한 원양산업 발전을 지원하고 안정적인 원양 생산량을 확보할 계획이다.

 

  또한 국제수산기구의 공해상 어업 규제 및 연안국의 자원자국화 정책 강화에 대응하고 명태·오징어 등 소비량이 많은 대중성 어종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새로운 해외어장 개발도 계속 추진할 예정이다.

 

< 내수면어업 >

 

  2024년 내수면어업 생산량은 총 4.05만 톤으로, 전년 생산량(4.29만 톤)에 비해 5.4% 감소, 최근 5년 평균 생산량(4.18만 톤)에 비해 2.9% 감소하였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62402a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54pixel, 세로 56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624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16pixel, 세로 568pixel

 

내수면 생산량

내수면 생산금액

 

  주요 어종별 생산량은 뱀장어 16천 톤, 왕우렁이 8천 톤, 메기 3천 톤, 송어류 2천 톤, 붕어 2천 톤 등이다. 메기와 붕어는 각각 전년 대비 0.6천 톤(22.1%), 0.2천 톤(8.3%) 증가하였으며, 왕우렁이와 송어류는 각각 전년 대비 2천 톤(21.6%), 0.5천 톤(16.8%) 감소하였다.

 

  친환경농업 등에 활용되는 왕우렁이는 수요 감소로 생산량이 감소하였고, 송어류는 고수온으로 인한 피해로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해양수산부는 내수면 생산량 감소에 따른 대책으로 내수면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내수면산업 활성화 정책 운용 방향」을 마련(2024.12) 하였다.  고부가가치 양식을 위해 쏘가리, 민물새우 등 신품종을 개발하고 주요 양식품종인 송어, 향어를 유전체 기반 디지털 육종 기술을 적용하여 성장 속도가 빠른 품종으로 개량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내수면 양식업의 스마트화 전환 가속화를 위해 스마트양식 장비를 개발하여 보급할 예정이며, 사육환경 조절 및 사료급이 등 자율·복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화 기반 조성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주요 내수면 품목별 생산동향(단위 : 톤, %)>

 

구  분

최근 5년 평균

2023년

2024년

전년 대비 증감률

최근 5년 평균 대비 증감률

뱀장어

15,168

16,090

16,058

△0.2

5.9

메기

3,452

2,528

3,090

22.1

△10.5

붕어

2,617

2,047

2,216

8.3

△15.3

송어류

2,598

2,757

2,293

△16.8

△11.7

향어

1,840

1,737

1,912

10.1

3.9

잉어

1,247

867

816

△5.9

△34.6

미꾸라지

685

668

698

4.5

1.9

왕우렁이

8,466

10,085

7,904

△21.6

△6.6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지난해 원양어업 생산량은 증가하였으나, 연근해, 양식, 내수면 어업 생산량은 고수온 등 기후변화의 영향과 자원량 변동 등으로 인해 생산량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라며, “앞으로 국민께 우리 수산물을 안정적인 가격과 품질로 공급할 수 있게 기후변화에 탄력적인 수산·양식업 생산·공급 체계를 구축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급식 관계자들과 함께 저탄소 축산물 인증 농장 견학 … 미래 세대와 친환경 가치 나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8월 12일, 당진시‘대주 농장’에서 학교 급식 관계자, 학부모 지킴이, 정책 관계자들과 함께하는‘저탄소 축산물 인증 농장 견학’을 진행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의 도입 배경 설명 △저탄소 인증 돼지고기 생산 과정 견학 △저탄소 축산물 학교 급식 확대를 위한 간담회 등을 진행해 저탄소 인증 축산물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특히, 지난해 저탄소 인증을 받은 대주농장에서 탄소 감축 기술과 분뇨 악취 저감 시설 등을 살펴보고, 농장에서 생산된 돼지고기를 현장에서 시식하는 등 저탄소 인증 축산물을 직접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해 참여자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현재 저탄소 인증 축산물을 급식에 사용하는 지자체는 △아산시 △천안시 △논산시이며 하반기까지 △부여군 △홍성군 △세종시 △경기도까지 확대한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와 함께, 일부 지자체와 ‘저탄소 급식데이’를 시범 운영하고 미래 세대에게 저탄소 인증 축산물의 필요성과 가치소비에 대한 교육을 확대하는 등 친환경 가치를 나누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다. 박병홍 축산물품질평가원 원장은 “급식에서 저탄소 인증 축산물을 접하는 기회를 확대하여, 미래 세

식품

더보기
“기름도 힙하다, 이제는 K-라드 시대” 한돈자조금, 소비자와 소통하는 디지털 콘텐츠 캠페인 추진
최근 젊은 소비층의 식탁 위에서 낯설지만 흥미로운 손님이 등장했다. 바로 돼지기름, ‘라드(Lard)’다. 한때는 할머니의 부엌이나 전통 요리에만 쓰이던 라드가 이제는 2030 세대와 디지털 네이티브의 새로운 푸드 아이콘으로 관심받고 있다. 라드는 높은 발연점 덕분에 튀김에 적합하고, 특유의 고소한 풍미로 베이킹과 한식 요리에 깊이를 더한다. 이런 특징으로 단순한 조리용 기름을 넘어, 라드는 요리의 클래스를 한 단계 끌어올리는 식재료로 평가받는다. 최근에는 SNS와 유튜브에서는 ‘라드 베이킹 레시피’, ‘라드 쿠킹 챌린지’ 같은 콘텐츠가 연이어 업로드되며,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트렌드로 ‘라드’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기름도 힙할 수 있다’는 인식이 젊은 세대의 놀이문화와 맞물려 빠르게 퍼져 가는 모습이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이하 한돈자조금)는 2030 세대와 디지털 네이티브 등 차세대 소비층에게 라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확산하고, 실용적인 아이템으로 알리기 위해 ‘디지털 콘텐츠 캠페인’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디지털 콘텐츠 캠페인’의 첫 프로젝트는 ‘하반기 디지털 영상 시리즈’ ‘LARD BY GIBANG-SSI(라드 바이 지

산림

더보기
AI와 드론 활용한 산림종자 예측 연구, 본격 추진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향후 5년간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화·결실 및 종자 생산량 예측 시스템 개발’ 연구를 추진한다 고 밝혔다. 이번 연구사업은 기후변화로 인한 개화·결실 시기 변화, 종자 품질 저하, 임업 인력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다. 드론 원격탐사, 디지털 영상 분석, AI 예측 알고리즘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종자 생산 관리에 접목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8월부터 매달 종자 발생량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연구사업은 농업회사법인㈜제주천지, 경희대학교, ㈜하늘숲엔지니어링과 공동으로 수행한다. 기존 표본목 조사와 추정식 활용은 기상 변화로 인한 예측 오차가 컸지만, 이번 시스템이 도입되면 개체별·시기별 실측 데이터와 예측 모델을 통해 정확도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자동 비행 드론을 활용하면 조사 인력과 비용을 줄이고 신속하게 현장 정보를 수집할 수 있어, 산림종자 관리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정보연구과 구자정 박사는 “이번 사업을 통해 산림종자 채취와 생산량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고, 기후변화 대응과 안정적인 종자 공급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며,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