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식품

”콩 식품 섭취가 여성 건강에 효과” 최신 연구결과 나와

매년 5월 10일은 여성건강 증진을 위해 대한산부인과학회가 지정한 ‘여성 건강의 날’이다. 여성은 월경, 임신, 폐경 등 생애주기별로 경험하는 다양한 변화가 신체적·정서적 균형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콩 섭취가 여성 건강에 효과가 있다는 다양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 콩과 비타그누스, 월경전증후군(PMS) 개선 효과

 

올해 1월 호주 모나쉬 대학교의 Maryam Moradi 교수 연구팀은 무작위 임상시험에서 비타그누스(Vitagnus, 허브), 콩(soy), 그리고 이 둘의 복합 섭취가 대학생 여성의 월경전증후군(Premenstrual Syndrome, PMS) 완화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ty Based Nursing and Midwifery>에 발표했다.

 

월경전증후군은 여성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흔한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월경전증후군 증상을 호소하는 대학생 여성 105명을 세 그룹으로 나눠 8주간 각각 콩, 비타그누스, 비타그누스-콩을 복합으로 섭취하게 한 후, 전후의 증상 점수를 비교해 신체적, 심리적 증상 개선 효과를 분석했다.

 

해당 연구결과 신체적, 심리적 및 총 증상 점수에서 세 그룹 모두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관찰됐으며, 특히 비타그누스-콩 복합 섭취 그룹에서 가장 큰 증상 감소효과를 보였다. 월경전증후군의 총 증상 점수는 비타그누스-콩 복합 섭취 그룹이 118.02점의 감소를 보이며 가장 큰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이어 콩 단독 섭취 그룹은 74.84점, 비타그누스 단독 섭취 그룹은 53.5점의 개선을 보였다. 월경통 강도 차이를 비교한 결과에서도 복합 섭취 그룹은 1.49점, 콩은 0.96점, 비타그누스는 0.54점 감소하는 등 세 그룹 모두 개선 효과를 보였으며, 이 중 복합 섭취가 더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콩과 비타그누스를 함께 섭취할 경우 신체적·정서적 월경전증후군 증상 완화에 있어 상승효과(synergistic effect)가 나타날 수 있다”며 “비약물적 치료 대안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결과’라고 밝혔다.

 

■ 에쿠올, 폐경후 여성의 박리성 치은염 개선에 도움

 

지난해 7월, 일본 니혼대학교 치과대학의 Aki Kawamoto 교수 연구팀은 SCIE급 국제학술지 <Journal of Oral Science>에 발표한 연구에서, 에쿠올(equol)이 폐경후 여성에게 흔히 나타나는 박리성 치은염(Desquamative gingivitis) 증상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밝혔다.

 

에쿠올은 대두(콩) 이소플라본의 대사산물로,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갱년기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는 평균 연령 58.2세의 폐경후 여성 16명을 대상으로 12개월 동안 매일 10mg의 에쿠올 보충제를 섭취하게 하고, 섭취 전과 후에 설문지를 통해 치주조직검사, 오리어리 플라크 관리 기록, 자극 타액 유속, 치은 통증 등을 평가했다.

 

연구 결과, 에쿠올은 폐경후 여성에게 흔히 발생하는 박리성 치은염의 다양한 증상을 눈에 띄게 완화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잇몸 출혈 빈도는 개입 전 12.4%에서 1.9%로 줄어들어, 염증 개선 효과가 확인됐다. 또한, 환자들의 잇몸과 구강 점막, 혀 부위의 통증 심각도, 박리성 침식과 위컴 줄무늬(Wickham’s striae)가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이외에도 자극성 타액 분비율이 눈에 띄게 증가하면서 구강 건조증 증상도 완화되었다. 이는 폐경 이후 흔히 동반되는 입 마름 현상 개선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환자의 87.5%는 “치료에 만족한다”고 응답해 에쿠올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구진은 ‘에쿠올이 폐경후 여성의 박리성 치은염 증상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며, 박리성 치은염 환자의 임상 증상 개선을 위한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발효콩 추출물과 로열젤리, 갱년기 증상 완화 및 삶의 질 개선

 

지난해 2월, 루마니아 브라쇼브 트란실바니아대학교의 Andreea Balan 교수 연구팀은 SCIE급 국제 학술지 <Nutrients>에 로열젤리와 발효콩 추출물의 복합 섭취가 폐경 전후 여성의 다양한 증상 개선과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45~60세의 폐경 전후 여성 총 80명을 대상으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8주 동안 발효콩 추출물 단독, 발효콩 추출물-로열젤리 복합으로 섭취하게 한 후, 갱년기 증상과 삶의 질 변화를 평가했다.

 

연구 결과 두 그룹 모두에서 혈관운동, 심리사회적 및 신체적성적 영역에서 개선 효과를 보였으며, 세부적으로 우울증, 불안, 스트레스, 안면홍조의 횟수 및 강도 등 주요 갱년기 증상이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특히 발효콩 추출물에 로열젤리를 추가해서 섭취했을 때 안면홍조 횟수와 강도가 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발효콩 추출물과 로열젤리가 호르몬 유사 작용을 통하여 갱년기 증상 완화 도움이 되는데, 두 천연물 간의 연관성은 기존 호르몬 요법을 거부하는 여성의 갱년기 증상 완화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흥미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농업

더보기
‘그린바이오 미생물 산업화’ 생태계 기반 조성 노력
농촌진흥청은 7월 3일부터 이틀간 경북 안동에 있는 국립경국대학교에서 ‘2025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를 열고, 농업미생물자원의 전략적 활용과 산업화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는 농업미생물자원의 다양성 확보, 보존 체계 구축, 자원 활용을 목적으로 2021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지정된 전국 10개 기관*이 참여해 ‘농업미생물자원의 산업적 다각화’를 주제로 단계별 전략을 모색했다. * 중앙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군산대학교, 전남대학교, 충북대학교, 경국대학교, 경북대학교, 농축산용미생물산업화육성지원센터,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이번 연수회에서는 기관별 자원 운영 현황을 발표하고 관리 체계 장점과 보완점을 논의하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또한, 최근 관심이 높은 기능성 미생물, 환경친화적 미생물 소재 개발과 활용 등을 포함해 실효성 높은 다양한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농촌진흥청은 기관 간 상호 활발한 교류와 토의가 이어지면서 자원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리가 됐다고 평가했다. 나아가 미생물 산업화 전략 수립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정보통신기술(ICT) 장비 기준 설명회 개최 … 축산데이터 활용 활성화 계기 마련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7월 2일, 세종시 본원에서 장비 및 설루션 업체를 대상으로 축산업 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위한 ‘정보통신기술(ICT) 장비 등록·연계 기준 및 데이터 활용 설명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스마트 축사 센서 및 사양관리 기기 기준 △축산분야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장비 규격 및 서비스 기준 △장비 인터페이스 기준 개정 내용 △스마트축산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추진 방향 설명 등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정보통신기술(ICT) 장비에서 확보된 데이터를 연계하는 ‘스마트축산 빅데이터 플랫폼’의 구축 현황을 공유하고 플랫폼 내 데이터 광장·데이터랩 등 활용법을 시연해 업체의 이해를 높였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지속적인 장비 보급 독려를 통해 축산업의 데이터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다. 축산물품질평가원 박병홍 원장은 “스마트축산의 궁극적인 목표는 장비를 통해 확보되는 높은 품질의 데이터를 적재적소에 활용해 농가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라며, “이번 설명회가 데이터 확보 및 활용에 중점을 둔 장비 개발의 시작점이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한편,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지난 17일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지정한 ‘스마트농업지원센터(

식품

더보기
도드람 ‘캔돈’, 출시 1주년…누적 판매 5만 5천 개 돌파 실용성 기반 제품 전략과 콘텐츠 경쟁력으로 브랜드 성과 입증
한돈 전문식품 브랜드 도드람(조합장 박광욱)은 캔 형태의 도드람한돈 제품 ‘캔돈’이 출시 1년 만에 누적 판매량 5만 5천 개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단순한 신제품을 넘어, 소비자의 일상에 실용성을 더하는 제품으로 자리 잡은 ‘캔돈’은 새로운 형태의 패키지와 라이프스타일 맞춤형 구성으로 주목받아왔다. 한 입 크기로 자른 도드람한돈을 냉장 상태로 담은 ‘캔돈’은 간편한 조리와 뛰어난 휴대성으로, 1인 가구는 물론 캠핑 등 야외활동 수요까지 폭넓게 아우른 제품이다. 특히 기존 MAP 포장을 벗어난 캔 형태 포장은 실용성과 차별성을 동시에 갖춘 패키지로 평가받으며, 제품 인지도를 빠르게 높였다. 도드람에 따르면 ‘캔돈’은 1년 간 총 55,580개의 판매고를 기록했다. 이는 캔돈 1개 길이(약 20cm)를 기준으로 환산하면 약 11.1km로, 백두산(2,750m)을 4번 넘게 오를 수 있는 거리다. 실용성과 시장 적합성을 소비자 반응으로 입증한 대표 사례로 평가된다. 제품성과 브랜드 전략은 국내외 주요 어워드에서도 두드러졌다. ‘캔돈’은 ▲굿디자인 어워드(GD) 우수디자인 선정 ▲스파크 디자인 어워드 패키지 디자인 부문 은상 ▲IF 디자인 어워드 패키지 부문 위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