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브라질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영향 최소화를 위해 ➊닭고기 국내 생산 확대, ➋업계 재고물량 방출 독려, ➌조류인플루엔자 미발생 지역산 닭고기 수입허용 등 국내 닭고기 수급에 문제가 없도록 적극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2025년 5월까지 닭고기 공급량은 계열사의 입식물량 조정으로 전년 동기 5.2% 감소한 2억 7천만 마리 수준이나, 5월 21일 닭고기 소비자가격(통닭)과 도매가격은 kg당 각각 5,653원, 3,877원으로 브라질산 가금류 수입금지조치(5.15일 선적분부터) 이전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 닭고기 도축마릿수(1.1.~5.20.): (’24) 29,459만 마리 → (‘25p) 27,940 (전년비 5.2%↓)
* 닭고기 소비자가격(5월): (상순) 5,681원/kg → (중순) 5,645 → (5.21) 5,653
* 닭고기 도매가격(5월): (상순) 3,984원/kg → (중순) 3,979 → (5.21) 3,877
아울러, 2024년 닭고기 총소비량은 742천톤이며 국내 총생산량과 수입량은 각각 607천톤, 184천톤*으로 자급률** 83.3%, 수입업체 재고비축분(2~3개월) 등을 감안하면 브라질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이 국내 닭고기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언급하며 닭고기 수급 및 가격 상황을 지속 모니터링하면서 국내 닭고기 수급 및 가격 안정을 위해 적극 대응해 나갈 것을 강조했다.
* 국내 닭고기 공급량(2024년)
구분 |
물량 (국내+수입) |
수입량 |
|||||
브라질 |
태국 |
덴마크 |
미국 |
핀란드 |
기타 |
||
물량(천톤) |
791.0 |
158.0 |
21.5 |
2.1 |
1.7 |
0.4 |
0.3 |
비중(%) |
100.0 |
20.0 |
2.7 |
0.3 |
0.2 |
0.05 |
0.04 |
** 자급률 : 국내 닭고기 생산량 / 닭고기 소비량 × 100
➊ 닭고기 계열사와 협업하여 국내산 닭고기 공급 확대로 수급안정 도모
정부는 계열사 닭고기 수급상황을 모니터링하여 브라질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이 국내 수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계열사별로 병아리 입식*을 늘리고, 육용종계의 생산기한**도 연장하는 등 국내 생산량을 확대해 안정적으로 닭고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계열사와 적극 협업할 계획이다.
* 5~8월 주요 계열사(5개) 병아리 입식 계획 : (’24년) 142,883천마리 → (‘25p) 146,662 (2.6% ↑)
** 64주령 이상 육용종계의 종란 생산 금지 → 기간 제한 없음(’25.5.22일부터~)
➋ 수입업체 비축분 시장방출 독려로 식품·외식가격 동반 인상 억제
닭고기 수입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2~3개월 사용가능한 재고물량*을 브라질산 수입금지조치 기간 중에 시장에 방출되도록 적극 독려하는 한편, 납품단가 인상도 자제토록 하여 식품·외식가격으로 가격 인상이 전가되지 않도록 닭고기 수입업체 유통업체, 관련 협회 등에 정부의 수급안정 노력에 대한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다.
* 수입 닭고기 1개월 사용량은 약 1.5만톤 내외로 수입업체의 경우 2~3개월치 물량 비축
➌ 브라질내 조류인플루엔자 미발생 지역산 닭고기 수입허용 절차 신속진행으로 닭고기 수급불안 최소화
브라질 내 AI 미발생 지역에서 생산된 닭고기에 한해 수입을 허용(지역화)하기로 결정하고, 닭고기 주요 수입업체의 재고물량이 2~3개월 남은 것으로 파악되는 만큼 브라질산 닭고기 수입이 조속 재개될 수 있도록 현재 진행 중인 수입위험평가, 상대국과 협의, 행정절차 등을 신속히 추진한다. 아울러 소비자 우려 해소를 위해 해당 수입 물량이 AI 미발생 지역에서 생산되었는지 여부와 브라질의 방역・위생관리 상황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등 검역 과정 전반을 철저히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닭고기 수급 및 가격 상황을 지속적으로 예의주시하면서 관련 업계와 긴밀한 소통을 통해 국내 닭고기 수급 및 가격 안정을 위해 적극 노력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