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해양수산

해수부, 코로나19로 인한 선박 운항차질 방지에 적극적으로 나서

- 국적선박의 국제협약 위반 예외 적용 요청 서한 발급 추진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로 인해 해외 항만당국의 검역이 강화되어 우리 국적선박의 국제협약 위반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해외 항만당국에 협조를 요청하는 서한을 발급하는 등 선제적인 대응에 나선다고 밝혔다.

 

  최근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해외 주요 항만당국은 선박의 입‧출항 요건을 강화하고 선원의 승‧하선을 제한하는 등 검역을 강화하고 있다. 이로 인해 국적선박은 선원 교대에 어려움을 겪어 선원의 최대 승선기간 초과 뿐만 아니라 선박 안에 비치해야하는 증서, 자격증 등의 유효기간 만료 등으로 국제협약*을 위반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 「해사노동협약(Martime Labour Convention, 2007)」: 선원들의 최대승선기간(12개월)과 건강진단주기(2년), 해당 선박의 협약 준수여부를 인정하는 해사노동적합증서(유효기간 5년) 선박 비치 사항 등 명시

 

 * 「선원의 훈련, 자격증명 및 당직근무의 기준에 관한 국제협약(STCW)」: 선원들의 해기사 면허, 교육훈련 증명서의 유효기간 명시

 

  이로 인해 해외에서 항만국통제*(Port State Control) 등을 통해 국적선박의 국제협약 위반사항이 적발되어 출항정지 등의 조치가 취해질 경우,  국내외 수출입 물류흐름에 큰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 외국 선박이 국제협약에 따른 시설기준, 자격요건, 근로조건 등을 준수했는지를 관할 항만당국이 자국의 검사관을 통해 점검하는 제도

 

  이와 같은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해양수산부는 지난 3월 17일(화) 국제노동기구(ILO)에 문성혁 장관 명의의 서한을 보내 국제기구 차원의 대응방안 마련을 요청하였다.

 

  이에 더하여, 코로나19로 인해 국제협약을 준수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선박소유자가 관련 서류를 제출하는 경우, 선박소유자 관할 지방해양수산청에서 코로나19 관련 여부 등을 검토한 후 해외 주요 항만당국에 협조를 요청하는 공식서한을 발급하여 선박소유자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공식서한은 국제협약을 준수하지 못하게 되는 해당 선원이 고용기간 연장에 동의한 경우에 한해 발급될 예정이며, 별도의 기한 없이 향후 코로나19 상황이 안정되어 해외항만에서의 선원 교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때까지 지속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공식서한은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국제해사기구(IMO)와 세계보건기구(WHO)의 공동선언문(2.13)*과 ‘아시아‧태평양지역 항만국 통제협의회(Tokyo-MOU)**’에서 발행한 항만국 통제 가이드라인***(3.12)에 근거하여 발행되는 만큼 해외 항만당국의 적극적인 협조를 이끌어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자유로운 입항허가(free pratique)를 보장하고, 국제무역을 위한 선박의 불필요한 지연을 막기 위해 국제사회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2020. 2. 13.)

 

   ** 아시아·태평양지역 내 국제협약 준수 감독기구(한·중·일, 호주, 캐나다 등 21개)

 

   *** 해당 선박이 등록된 국가에서 발급한 협조문서를 기항한 항만당국에 제출하면, 선원의 자발적 계약 연장 등 문제가 없을 경우 항만당국은 수용(2020. 3. 12.)

 

  김준석 해양수산부 해운물류국장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세계 각국의 검역이 날로 강화되고 있지만, 이러한 상황일수록 세계 해운산업은 더욱 안정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라며, “이번 조치를 통해 국적선사들의 어려움이 조금이나마 해소되기를 기대하고, 앞으로도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IMO-WHO 공동선언문(‘20.2.13) 주요내용
   (Joint Statement IMO-WHO on the Response to the COVID-19 Outbreak)

 

 ㅇ WHO와 IMO는 코로나바이러스에 노출된 선박, 선원 및 승객, 화물에 대한 통관 연기 및 입항 거부와 같은 추가 조치가 여러 국가들에 의해 취해지고 있어 국제 해상 교통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

 

 ㅇ 이에, WHO와 IMO는 모든 국가에 바이러스의 확산 및 유입의 예방 필요성을 인지하면서도 국제보건규칙(IHR 28조)에 명시된 자유로운 입항 허가(free pratique)와 모든 여행객 및 승선 중인 사람과 재산 그리고 선박의 불필요한 지연을 막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해줄 것을 회원국에 요청

❖ 항만국통제 가이드라인 주요 내용
   (GUIDANCE FOR DEALING WITH IMPACT OF THE OUTBREAK OF THE COVID-19)

 

  아태지역 항만국 통제협의회(Tokyo-MOU)는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해 회원국들이 MLC 및 IMO 관련 협약 충족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에, 선원들의 승선기간 연장, 선박검사 등의 유예 등에 대한 지침을 채택

 

  해당선박이 선박이 등록된 국가에서 발행한 면책서한과 향후 대응방안을 첨부하여 제출할 경우 항만당국은 선원의 자발적 계약 연장 여부 등을 검토하여 수용할 수 있으며, 동 지침은 IMO/ILO의 지침 발표 시 재검토 됨

 

 


농업

더보기
농촌진흥청, 도라지 선도 농가 찾아 산업 활성화 방안 논의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는 5월 21일 경상남도 농업기술원과 경남 산청의 농업법인 (주)지리산동의촌*을 방문해 도라지 재배 현장과 가공 현장을 점검하고, 산업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주)지리산동의촌은 도라지 재배뿐 아니라 자체 가공시설 2동을 운영, 조합원 농가로부터 한 해 약 130톤의 도라지를 공급받아 즙, 분말, 청 등 기능성 제품으로 가공하고 있다. 이렇게 생산한 제품은 온라인 시장 등을 통해 전국에 판매하고 있다. 이 자리에서 농가는 이상기상으로 도라지 생산성이 떨어지고 인건비 상승으로 경영 부담이 커지고 있다며 우려를 전했다. 농촌진흥청과 경상남도 농업기술원은 이상기상에 대응한 재배 방식 전환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같이하고, 스마트 재배 기술 도입을 통한 안정 생산 방안을 논의했다. 또한, 중장기적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동력 절감 기술 개발에도 속도를 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박정관 부장은 “도라지는 면역력 증진, 기관지 질병 개선 등 기능성 소재로 활용성이 높은 약용작물이다.”라며, “이상기상과 생산 여건 변화에 대응하고 산업 경쟁력을

축산

더보기
흑돼지 ‘난축맛돈’ 육지에 발 디뎌…경남 산청 농가 보급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연구센터에서 개발한 프리미엄 흑돼지 품종 ‘난축맛돈’이 육지에 발을 디뎠다.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지난 5월 13일, ‘난축맛돈’ 42마리를 경상남도 산청군 양돈 농가 2곳에 보급했다고 밝혔다. 이번 보급은 경상남도농업기술원이 기존 재래 흑돼지의 문제점을 개선할 품종으로 ‘난축맛돈’ 도입을 추진했고, 농가가 적극적인 도입 의지를 보임에 따라 성사됐다. 경남 지역에서는 지리산 권역을 중심으로 흑돼지 5만여 마리를 사육하고 있다. 제주도를 제외한 내륙 지역에서는 가장 많은 사육두수다. 전국적으로는 약 19만 마리가 사육되고 있다. '난축맛돈'은 육질이 우수한 제주 재래 흑돼지와 번식력과 성장 속도가 뛰어난 ‘랜드레이스’ 품종 특성을 접목해 2013년에 개발됐다. 2024년까지‘난축맛돈’씨돼지 983마리(암 898마리, 수 85마리)를 농가에 공급했다. 근내지방 함량이 약 10%로 일반 돼지보다 약 4배 정도 높아 육질이 부드럽고 맛이 고소하다. 또한, 수분이 잘 보존돼 가열해도 촉촉함이 유지된다. 삼겹살과 목심 외에도 등심, 앞다리, 뒷다리 등 저지방 부위까지 구이용으로 맛볼 수 있어 소비자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다.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