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9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축산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방역 추진상황 일보(3.16. 제공)

◈ 전일(3.15.) 가금농장 고병원성 AI 확진 건수 : 0건

1. 고병원성 AI 발생 현황(‘20.10.1∼‘21.3.16. 09:00 기준) 

구분

발생

지 역(발생일자/축종) *발생일자는 확진일이 아닌 시료채취일 기준

검사중

가금

농장

104건

정읍(11.26/육용오리), 상주(12.1/산란계), 영암(12.4/육용오리), 여주(12.6/산란계), 음성(12.7/메추리), 나주(12.7/육용오리), 여주(12.8/메추리), 나주(12.9/육용오리), 장성(12.10/종오리), 정읍(12.10/육용오리), 영암(12.11/육용오리) 2건, 김포(12.12/산란계), 임실(12.14/육용종계), 구미(12.14/육계), 화성(12.16/산란계), 고창(12.16/육용오리), 여주(12.21/산란계), 용인(12.20/종오리), 음성(12.22/종오리), 화성(12.22/산란계), 남원(12.22/육용오리), 남원(12.23/육용오리), 구례(12.23/육용오리), 천안(12.24/종오리), 예산(12.25/육용종계), 경주(12.25/산란계), 구례(12.23/육용오리), 정읍(12.27/육용오리), 여주(12.28/산란계), 평택(12.28/산란계), 익산(12.28/종오리), 논산(12.29/육계), 곡성(12.29/육용오리), 김포(12.29/산란계), 고창(12.30/육용오리), 김포(12.31/산란계), 경주(12.31/메추리), 부안(12.30/육용오리), 무안(1.1/산란계), 천안(1.3/산란계), 천안(12.28/육용오리), 세종(1.4/산란계), 부안(1.4/종오리), 음성(1.5/종오리), 영암(1.6/육용오리), 김포(1.8/산란계), 진주(1.8/육용오리), 거창(1.9/육용오리), 남양주(1.11/산란계), 고성(1.11/육용오리), 무안(1.7/육용오리), 안성(1.12/산란계), 문경(1.11/산란계), 정읍(1.12/종오리), 포천(1.12/산란계), 천안(1.12/산란계), 홍성(1.13/육용종계), 음성(1.12/산란계), 안성(1.13/산란계), 하동(1.14/육용오리), 보성(1.15/종오리), 김제(1.15/육용오리), 김제(1.16/육용오리), 용인(1.18/산란계), 음성(1.18/산란계), 이천(1.21/산란계), 천안(1.22/산란계), 무안(1.22/산란계), 화성(1.23/산란계), 함평(1.24/육용오리), 포천(1.26/산란계), 파주(1.26/산란계), 이천(1.26/육용종계), 안성(1.26/육용종계), 안성(1.27/산란계), 고창(1.27/육용오리), 안성(1.28/산란계), 이천(1.29/산란계), 포항(1.30/산란계), 안성(1.31/산란계), 이천(2.1/산란계), 충주(2.2/종오리), 영암(2.4/종오리), 괴산(2.5/종오리), 포천(2.7/산란계), 음성(2.9/종오리), 부안(2.9/육용오리), 평택(2.9/산란계), 나주(2.11/종오리), 제주(2.12/육용오리), 이천(2.13/산란계2), 평택(2.15/산란계), 영주(2.15/종오리), 괴산(2.17/종오리), 화성(2.17/산란계), 통영(2.18/혼합사육), 이천(2.22/산란종계), 원주(2.23/산란계), 포천(2.26/산란계), 나주(3.10/산란계), 충주(3.10/토종닭), 충주(3.11/산란계)

-

관상용

2건

천안(12.14/체험농원), 고양(12.28/관상조)

-

※ 야생조류 고병원성 AI 검출현황 : 226건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226건

7

7

6

1

42

57

11

13

16

16

19

25

6

 

2. 살처분 농가 현황(3.15. 24:00 기준)                      (두수단위: 천수)

차수

시군

(대상)

육용오리

종오리

산란계

육계

종계

토종닭

기타

비고

두수

두수

두수

두수

두수

두수

두수

1∼102차

479

92

1,771

23

184

181

15,801

98

6,984

39

1,337

29

854

17

1,937

 

103차

포천(1)

       

1

180

                 

104차

나주(1)

       

1

214

                 

105차

충주(1)

                   

1

11

     

106차

충주(1)

       

1

550

                 

합 계

92

1,771

23

184

184

16,745

98

6,984

39

1,337

30

865

17

1,937

 

 * 수치 등은 실제 살처분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기타: 메추리, 관상조, 꿩 등

 

3. 일일 가금산물 가격동향(3.15. 16:00 기준)  * 가격자료는 월∼금(휴일제외) 16:00 발표

구 분

단위

평년동월

(‘16~’20)

전년동월

(‘20.3)

전월평균

(‘21.2)

3.12

(금)

3.15

(월)

대비(증감%)

평년

전년

전월

전일

육계

산  지

원/kg

1,408

1,361

1,432

1,481

1,492

6.0

9.6

4.2

0.7

소비자

5,347

5,126

5,760

5,578

5,543

3.7

8.1

△3.8

△0.6

계란

산  지

특란, 원/30개

2,823

3,480

5,790

5,631

5,614

98.9

61.3

△3.0

△0.3

소비자

5,097

5,274

7,591

7,633

7,626

49.6

44.6

0.5

△0.1

오리

산  지

원/kg

1,924

1,365

3,370

3,585

3,619

88.1

165.1

7.4

0.9

소비자

13,870

11,825

13,271

12,238

12,238

△11.8

3.5

△7.8

0.0

 *산지가격: (닭·오리)살아있는 닭·오리 1kg   **소비자가격: (닭)뼈가 포함된 생닭 1kg, (오리)뼈가 없는 정육 1kg

 

 

참고

 

 계란 소비자가격 참고자료

 

 유통처별 계란 가격동향(특란, 원/30개 기준)

구 분

할인

'20.3.

평균

'21.2.

평균

2.16.

(화)

3.12

(금)

3.15

(월)

소비자

가  격

일반가

5,275

7,591

7,744

7,633

7,626

쿠폰 적용가

-

6,935

6,984

6,752

6,745

A마트

5,926

7,990

7,990

7,950

7,950

-

6,499

6,400

6,360

6,360

B마트

5,593

6,232

7,180

6,950

6,950

-

5,515

5,745

5,560

5,560

C마트

4,985

7,321

7,480

6,980

6,980

-

6,212

5,980

5,580

5,580

E마트

5,980

7,868

7,980

7,980

7,980

-

6,312

6,384

6,384

6,384

전통시장

(15개소)

-

4,733

7,670

7,725

7,669

7,650

  * aTkamis 농산물유통정보(kamis.or.kr) 조사결과


 

 서울 A마트 고품질 계란 가격동향(원/10개 기준)

구 분

'20.11.1

'20.12.1

'21.1.1

'21.2.2

‘21.3.15

(월)

소비자

가  격

△△유정란

5,350

5,330

6,220

5,850

5,850

◯◯유정란

5,340

5,340

5,340

5,520

5,520

□□목초란

6,260

6,260

6,260

6,490

6,490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급식 관계자들과 함께 저탄소 축산물 인증 농장 견학 … 미래 세대와 친환경 가치 나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8월 12일, 당진시‘대주 농장’에서 학교 급식 관계자, 학부모 지킴이, 정책 관계자들과 함께하는‘저탄소 축산물 인증 농장 견학’을 진행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의 도입 배경 설명 △저탄소 인증 돼지고기 생산 과정 견학 △저탄소 축산물 학교 급식 확대를 위한 간담회 등을 진행해 저탄소 인증 축산물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특히, 지난해 저탄소 인증을 받은 대주농장에서 탄소 감축 기술과 분뇨 악취 저감 시설 등을 살펴보고, 농장에서 생산된 돼지고기를 현장에서 시식하는 등 저탄소 인증 축산물을 직접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해 참여자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현재 저탄소 인증 축산물을 급식에 사용하는 지자체는 △아산시 △천안시 △논산시이며 하반기까지 △부여군 △홍성군 △세종시 △경기도까지 확대한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와 함께, 일부 지자체와 ‘저탄소 급식데이’를 시범 운영하고 미래 세대에게 저탄소 인증 축산물의 필요성과 가치소비에 대한 교육을 확대하는 등 친환경 가치를 나누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다. 박병홍 축산물품질평가원 원장은 “급식에서 저탄소 인증 축산물을 접하는 기회를 확대하여, 미래 세

식품

더보기
“기름도 힙하다, 이제는 K-라드 시대” 한돈자조금, 소비자와 소통하는 디지털 콘텐츠 캠페인 추진
최근 젊은 소비층의 식탁 위에서 낯설지만 흥미로운 손님이 등장했다. 바로 돼지기름, ‘라드(Lard)’다. 한때는 할머니의 부엌이나 전통 요리에만 쓰이던 라드가 이제는 2030 세대와 디지털 네이티브의 새로운 푸드 아이콘으로 관심받고 있다. 라드는 높은 발연점 덕분에 튀김에 적합하고, 특유의 고소한 풍미로 베이킹과 한식 요리에 깊이를 더한다. 이런 특징으로 단순한 조리용 기름을 넘어, 라드는 요리의 클래스를 한 단계 끌어올리는 식재료로 평가받는다. 최근에는 SNS와 유튜브에서는 ‘라드 베이킹 레시피’, ‘라드 쿠킹 챌린지’ 같은 콘텐츠가 연이어 업로드되며,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트렌드로 ‘라드’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기름도 힙할 수 있다’는 인식이 젊은 세대의 놀이문화와 맞물려 빠르게 퍼져 가는 모습이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이하 한돈자조금)는 2030 세대와 디지털 네이티브 등 차세대 소비층에게 라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확산하고, 실용적인 아이템으로 알리기 위해 ‘디지털 콘텐츠 캠페인’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디지털 콘텐츠 캠페인’의 첫 프로젝트는 ‘하반기 디지털 영상 시리즈’ ‘LARD BY GIBANG-SSI(라드 바이 지

산림

더보기
AI와 드론 활용한 산림종자 예측 연구, 본격 추진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향후 5년간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화·결실 및 종자 생산량 예측 시스템 개발’ 연구를 추진한다 고 밝혔다. 이번 연구사업은 기후변화로 인한 개화·결실 시기 변화, 종자 품질 저하, 임업 인력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다. 드론 원격탐사, 디지털 영상 분석, AI 예측 알고리즘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종자 생산 관리에 접목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8월부터 매달 종자 발생량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연구사업은 농업회사법인㈜제주천지, 경희대학교, ㈜하늘숲엔지니어링과 공동으로 수행한다. 기존 표본목 조사와 추정식 활용은 기상 변화로 인한 예측 오차가 컸지만, 이번 시스템이 도입되면 개체별·시기별 실측 데이터와 예측 모델을 통해 정확도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자동 비행 드론을 활용하면 조사 인력과 비용을 줄이고 신속하게 현장 정보를 수집할 수 있어, 산림종자 관리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정보연구과 구자정 박사는 “이번 사업을 통해 산림종자 채취와 생산량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고, 기후변화 대응과 안정적인 종자 공급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며,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