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양계

계란 가격, 30구 제품은 내림세, 1 · 2인 가구 구입 많은 10구, 15구 가격은 그대로

­ 9월 2주 가격, 6월 대비 30구는 8.1% 하락, 10구(-0.6%), 15구(-2.3%)는 거의 변동 없어
­ 9월 산지 가격, 6월 보다 10% 이상 하락, CJ, 풀무원 등 브랜드란은 산지 가격 하락에도 변동 없어

 ()소비자시민모임(회장 백대용)이 서울시내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의 계란 가격을 매주 조사한 결과, 30구 제품은 8월부터 내림세를 보이고 있으나 1․2인 가구 구입이 많은 10구와 15구 가격은 변동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계란 15구 이하 구입 : 1인 가구(58.8%) > 2인 가구(26.2%) > 3인 가구(15.3%) > 4 가구(13.2%), 2020 식품소비행태조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이번 조사는 ’215월부터 매주 월, 화요일에 소비자시민모임 조사원이 소비자들의 계란 주 구매처인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 각각 4개사를 방문해 판매하는 계란(특란대란 기준, 동물복지란과 유정란 제외)의 가격을 조사했다.

   ※ 계란 주 구매처(소비자시민모임, 2021) : 대형마트(53.6%) > 동네 슈퍼마켓(25.0%) > 대기업슈퍼(8.2%)  온라인쇼핑몰(5.2%) >  전통시장(3.7%)

   * 대형마트(4) :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농협하나로마트

   * 기업형슈퍼(4) : 롯데슈퍼, 이마트에브리데이, 홈플러스익스프레스, GS더프레시

 

 92주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의 계란 가격, 전년 동월 대비 30구는 42.4%, 15구는 48.1% 올라

 

 -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의 92(9.6~9.7) 30구 제품 평균 가격(할인쿠폰 미적용, 정상가)8,399, 15구 제품 평균 가격은 7,328원으로 이는 전년 동월(’209)과 비교해 42.4%48.1% 오른 수준이다.  

 

 30구 계란 가격 8월부터 내림세를 보였지만, 10, 15구는 계란 가격이 가장 높았던 6월과 비교해 거의 변동 없어

 

 -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의 30구 평균 가격(소비쿠폰 미적용, 정상가)59,051, 69,142, 79,114원으로 9,000원대 초반을 유지하다 88,742, 92주에는 8,398원으로 8월부터 내림세를 보였다. 이는 조사 기간 동안 가격이 가장 높았던 6월 평균과 비교해 -8.1% 하락한 수준이다.

 

 - 반면 9210구와 15구 가격은 6월과 비교해 변동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92주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의 10구 평균 가격은 5,044으로 65,072원과 비교해 -0.6% 하락했고, 15구 평균 가격은 7,328원으로 67,499원과 비교해 -2.3% 하락해 가격 변동이 거의 없거나 하락폭이 적었다.

 

 - 특히, 같은 기간 산지 계란 가격은 특란(30) -10.8%, 대란(30) -15.8% 하락해 산지 가격의 하락이 10구와 15구 제품의 소비자 가격에 아직 반영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대형마트 및 기업형슈퍼 계란 가격 조사 결과 (단위 : )

구분

’20.9

’21.5

'21.6

'21.7

'21.8

'21. 92(9.6 ~ 9/.7)

’21.9

2주 가격

’21.6월 대비(%)

전년 동월

(’20.9)

대비(%)

소비자

30

5,899

9,051

9,142

9,114

8,742

8,399

-8.1

42.4

15

4,949

7,307

7,499

7,493

7,424

7,328

-2.3

48.1

10

-

4,933

5,072

5,080

5,109

5,044

-0.6

-

산지*

30(특란)

3,538  

5,915

6,107

6,082

5,715

5,445

-10.8

53.9

30(대란)

3,093

5,761

5,919

5,891

5,367

4,982

-15.8

61.1

   ※ 소비쿠폰 적용되지 않은 정상가 기준 

* 산지가격 :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정보(www.ekapepia.com)

 

 CJ, 풀무원, 오뚜기 등 브랜드 제품, 산지 가격 하락에도 변화 없어

 

 -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에서 판매하는 CJ, 풀무원, 오뚜기 계란 22개 중 2 제품만이 62주와 비교해 92주에 5.1% ~ 6.0% 가격을 내렸고, 20개 제품은 산지 가격 하락에도 가격 변동이 없었다. 브랜드란의 경우 판매단위가 10, 15구인 제품이 많아 10, 15구 가격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 계란의 유통과정, 제품 특성에 따라 산지 가격 변동이 소비자 가격에 반영되는 시기는 달라질 수 있지만, 30구의 경우 92(9.6~9.7) 조사제품 17개 중 11(64.7%)의 가격이 62(6.7~6.8) 보다 2.2% ~ 33.3%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 브랜드 판매원 및 유통업체에서도 산지 가격 하락을 조속히 반영해 소비자 가격을 인하해야 한다.  

 

 계란 소비 실태 소비자 설문 조사 결과, 32.2%는 올해 계란 소비량 1년 전보다 늘어, 응답자 중 61.4%는 소비쿠폰 적용 할인가로 계란 구입

 

 - 최근 6개월 이내 계란을 구입해본 소비자 968명을 대상으로 ’21826일부터 93일까지 계란 구입 실태를 조사했다.

 

 - (계란 소비량 변화) 응답자의 42.8%는 계란 소비량이 1년 전과 비슷하다고 했고, 32.2%는 계란 소비량이 1년 전보다 증가했다고 응답했다. 계란 소비량이 1년 전보다 감소했다는 25.0%로 나타나 응답자의 75.0%는 계란 가격 상승에도 계란 소비를 유지하거나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 (소비쿠폰 할인 구입) 정부에서는 소비쿠폰을 통해 대형마트와 일부 기업형슈퍼에서 소비자들이 실제 계란 가격을 할인받아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는데, 응답자 중 61.4%는 소비쿠폰을 적용해 할인받아 계란을 구매한 적 있다고 응답했으며, 67.5%는 소비쿠폰이 소비자들의 계란 가격 부담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다.

   * 소비쿠폰이 계란 가격 부담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67.6%), 보통이다(22.6%), 도움이 안 된다(9.8%)

 

 - (수입란 구입) 정부는 계란 가격 안정을 위해 수입란을 공급하고 있는데, 응답자의 18.7%는 올해 수입란을 구매한 적 있다고 응답했다. 소비자들에게 83주 국내산 계란 평균 가격(aT KAMIS)과 대형마트 수입란 가격을 알려주고 구입 의사를 물어본 결과, 45.7%는 수입란 구입 의사가 있다고 했고, 54.3%는 구입 의사가 없다고 응답했다. 20․30대의 경우 수입란 구입 의사가 있다는 응답이 56.3%로 절반이 넘었다.

   * 연령별 수입란 구입 의사 : 20․30(56.3%) > 60(43.8%) > 40(41.4%) > 50(39.8%)

 

 계란 가격 조사결과, 산지 계란 가격이 내림세를 보이고 있지만 소비자가에 전부 반영되지 않고 있고, 계란 가격은 아직까지 전년 대비 40% 이상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계란 가격이 안정화될 때까지 소비자들의 가격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특히, 추석을 앞두고 대형마트 등에서 계란 전품목에 소비쿠폰 할인(10%) 적용해 소비자들의 실제 구매가를 낮추고 있는데, 계란 가격이 안정화될 때까지 소비쿠폰 할인 등 소비자들의 가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지원 및 가격 관리가 계속 필요하다.

 

 또한 계란 브랜드 판매원 및 유통업체에서도 산지 가격 하락이 소비자 가격에 조속히 반영돼 실제 소비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가격 인하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농업

더보기
농식품부, 농업·농업인 폭염 피해 예방과 수급안정을 위해 총력 대응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최근 장마가 종료되고 전국적으로 폭염특보가 발효되는 등 무더운 날씨가 지속됨에 따라 농업인 안전사고 예방과 농작물·가축 피해예방 및 수급안정 대책을 추진한다. 기상청에 따르면 한반도는 하층의 북태평양 고기압과 상층 티베트 고기압이 한반도를 이중으로 덮고 있으며, 동풍의 영향까지 더해져 내륙과 서쪽지역을 중심으로 당분간 찜통더위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7월 10일(목) 오전 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폭염·집중호우·태풍 대비 국가재난대응체계를 점검하였고, 김민석 총리는 각 부처에 직접 현장을 챙길 것을 당부하였다. 이에 송미령 장관은 당일 오후 지속되는 폭염으로 인한 농업분야 피해예방을 위해 전북 고창군의 공공형 계절근로 현장과 무더위 쉼터(면 마을회관)를 찾아 외국인 근로자 농작업 안전관리 현황을 점검하고, 상추재배 농가에 방문하여 농작물 생육상황과 수급 동향을 점검하였다. 1. 온열질환 등 농업인 안전사고 예방 현재까지 농촌지역 논밭과 비닐하우스에서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자가 194명 발생(7.9일 기준)하였으며, 이른 폭염으로 인해 전년(101명)과 비교해도 2배 가까이 많이

축산

더보기
기상이변 대응 꿀벌 보호, 5개 부처 공동연구 성과 공유 및 대응방안 모색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김정희, 이하 검역본부)는 7월 11일(금)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에서 ‘기상이변 대응 새로운 밀원수종 개발로 꿀벌 보호 및 생태계 보전 다부처*(5개 부처) 공동연구사업’ 성과공유회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 심포지엄은 한국예방수의학회 50주년 기념 학술대회의 특별세션으로 진행되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다부처 공동연구 중간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협력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 참여기관: 농림축산검역본부, 국립농업과학원, 국립산림과학원, 국립생물자원관, 국립기상과학원 전 세계 농작물 생산량의 약 35%가 수분 매개체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중 꿀벌은 핵심 수분 매개체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지구온난화, 살충제 사용, 서식지 파괴, 꿀벌 응애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꿀벌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다. 이에 따라 5개 부처는 2023년부터 2030년까지 8년간 약 484억 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꿀벌 보호 및 관리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꿀벌질병 진단·제어기술, 스마트 양봉관리, 밀원수종 개발, 화분매개 생태계서비스 증진 등 각 기관 중점 추진 연구의 중간 성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검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