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원장 민경천)는 「한우고기 기반 고지방식의 건강 개선 효과 규명 연구」를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연구책임자: 최성호 교수)에 의뢰한 결과를 발표하며, 올레인산 함량이 높은 고지방 한우고기 섭취가 체지방 감소 및 심혈관 건강 개선에 긍정적 효과가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임상시험, 동물실험, 문헌 고찰, 소비자 인식조사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24주간의 탄수화물 제한 식이 및 고지방 한우고기 섭취가 인체 건강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임상실험은 40~64세 비만 위험군을 대상으로 24주간 진행되었다. 실험결과, 탄수화물 섭취만 제한해도 체지방과 내장지방, 중성지방 수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고 일부 골격근량이 증가하는 등 건강 지표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다만, 단백질과 오메가-3의 섭취가 함께 제한된 탓에 근감소 우려도 일부 관찰되었다.
이후 올레인산이 풍부한 고지방 한우고기를 하루 130g씩 12주간 추가 섭취한 결과, 골격근량 증가와 기초대사량 상승 등 체성분이 개선 효과가 두드러졌으며, 특히 심혈관 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수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남성 참가자의 경우, LDL-C 수치가 평균 15.1mg/dL 감소하여 심혈관계 예방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전체 24주간의 실험을 통해 체중과 BMI, 내장지방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단백질 및 올레인산 섭취량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등 다양한 건강 개선 지표가 확인되었다.
동물실험 결과도 이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한우지방을 급여한 실험쥐는 HDL-C 수치가 상승하고, 간과 지방조직에서 **지방 합성과 관련된 유전자(SCD, ACC 등)**의 발현이 증가했다. 반면, 방목 목초 위주의 사양을 받은 수입산 소고기 지방을 급여한 실험쥐는 LDL-C와 체지방이 증가하는 등 부정적인 심혈관계 변화가 관찰되었다.
한편, 소비자 인식조사에서는 ‘마블링이 많은 한우는 건강에 해롭다’는 인식이 55.8%, ‘풀을 먹인 소고기가 더 건강하다’는 응답이 81.7%에 달하는 등, 과학적 사실과 다른 왜곡된 인식이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우의 기능성과 건강 효능에 대한 소비자 대상 홍보가 시급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고올레인산의 마블링지수가 높은 한우고기가 체지방 감소 및 심혈관 건강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식재료임을 과학적으로 입증하여 한우고기의 우수성을 재확인하는 성과를 얻었다. 또한 한우고기 섭취와 함께 탄수화물 섭취를 제한할 경우, 근감소증 예방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우자조금은 국민의 건강을 위한 한우 소비를 위해, “마블링=나쁨”이라는 단순 이분법적 인식을 개선하고, 기능성 중심의 건강한 한우 이미지 제고를 위한 홍보 강화와 프리미엄 브랜드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보다 자세한 연구 결과는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