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농업

세계로 나가는 국산 장립종 쌀 개발 본격 시동

- 인디카형 장립종 벼 품종 개발·재배 기술 확립 대형 사업 추진
- 국내 밥쌀용 쌀 수급 조절·수출용 장립종 쌀 수요 대응
- 4일 ‘장립종 벼 기반 쌀 산업 혁신프로젝트’ 공동 연수(워크숍) 개최

 농촌진흥청은 국내 밥쌀용 쌀 수급 조절과 수출시장 개척을 위해 ‘장립종 벼 기반 쌀 산업 혁신프로젝트’를 수립하고, 수출용 고품질 장립종 쌀 개발을 본격 추진한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밀양355호 백미_큰원.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60pixel, 세로 56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아미향(백미).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92pixel, 세로 841pixel

국내 개발 통일형 인디카 장립종 품종 ‘아미면’(왼쪽)과 ‘아미향’(오른쪽)

 

 장립종 벼 기반 쌀 산업 혁신 사업은 인디카형 장립종 벼* 품종 개발부터 재배 기술 확립, 품질관리 및 산업화 지원까지를 포괄하는 중장기 연구 사업이다.

*장립종 벼: 동남아에서 주로 재배되는 품종으로 쌀알이 길쭉하고 가늘며 찰기가 적은 특징이 있음.

 

 이를 위해 5년 이내 품종개발과 재배 기술 완성, 수출용 장립종 산업화 기반 마련을 목표로 관련 기술의 현장 적용과 실증 연구를 지속 확대한다. 국립식량과학원, 대학, 산업체, 필리핀 소재 국제미작연구소(IRRI)가 공동 참여하며, 육종, 재배 기술, 육종 기초, 국제 공동 연구 4가지 핵심 분야를 추진한다.

 

 ▲육종 분야= 고아밀로스, 향미 등 품질 다양화로 내수 및 수출용 장립종 품종을 개발하고, 전임상 및 임상실험, 산업화 기반을 구축한다. ▲재배 기술 분야= 국내 기후에 적합한 인디카 장립종 생리 생태를 연구하고, 남부 지역 중심의 이앙 적기, 육묘, 시비, 물관리 기술을 개발한다. ▲육종 기초 분야= 국내 재배에 적합한 병해충 저항성 및 재해 저항성 유전자를 도입해 내병충성 강화 연구를 추진한다. ▲국제 공동연구 분야= 국제미작연구소(IRRI) 등과 협력해 최적의 유전자원을 도입하고, 세대단축 육종 기술(스피드 브리딩, Speed breeding)개발에 주력한다.

 

 

 농촌진흥청은 현재 국내에서 개발한 통일형 인디카 장립종 품종이 여럿이지만, 인도의 ‘바스마티’ 등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장립종 쌀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품질과 향미가 뛰어난 신품종 개발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따라서 이번 혁신 사업을 통해 밥쌀 공급 과잉 문제를 완화하고, 국내 체류 외국인 및 수출용 장립종 쌀 수요에 대응할 계획이다. 나아가 가공 밥 수출 기반을 구축해 해외시장 진출을 촉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앞서 국립식량과학원은 한국육종학회와 7월 4일 경북대학교에서 ‘장립종 벼 기반 쌀 산업 혁신프로젝트’ 공동 연수(워크숍)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장립종 과제 책임자, 참여연구원, 기관, 기업체, 대학 등 50여 명이 참석해 연구개발 계획을 공유했으며, 공동 연수(워크숍) 정례화 등을 논의했다.

 

 농촌진흥청 남부작물부 정병우 부장은 “우리나라 쌀 가공품은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의 품질과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고품질의 장립종 품종과 안정적인 생산 기반이 마련되면 해외시장 경쟁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라며, “이번 장립종 벼 육성 사업이 국내 쌀 산업 발전을 앞당기는 새로운 전기이자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는 밑거름으로 작용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국제학술대회에서 ‘스마트 혁신과 식품안전’ 연구 성과를 공유하다!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은 8월 27일(수)부터 29일(금)까지 여수 디오션리조트에서 진행되는 ‘2025년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국제학술대회’에 참가하여 분과를 운영한다. 해썹인증원은 식품 가공, 유통, 저장과 관련된 사업성과 및 식품안전 연구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매년 다양한 식품 관련 학술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이번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는 ‘스마트 혁신과 식품안전: 차세대 기술이 만드는 새로운 표준’을 주제로 8월 28일(목) 오후 4시 30분부터 디오션리조트 그랜드볼룸AB에서 분과를 진행한다. 주요 내용은 ▲스마트 식품안전을 위한 딥러닝 기반 신속 병원균 검출 플랫폼(고려대학교 박현우 교수) ▲4차 산업 기술을 활용한 식품특화 스마트센서 개발 연구(해썹인증원 박정일 팀장) ▲스마트 해썹 선도모델 구축 사례(CJ제일제당 고지혜 팀장)이며, 좌장은 해썹인증원 홍진환 인증사업이사가 맡는다. 홍진환 인증사업이사는 “해썹인증원은 식품안전관리 기술을 업체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과 스마트해썹 플랫폼 고도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라며, “이번 분과 운영은 스마트 혁신을 기반으로 한 식품안전관리 기술을 알리는 좋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