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축산

전국 30개 축산악취 집중관리지역의 악취개선 성과 확산 보고회 개최

- 축산악취 집중관리지역 30개소 지역주민의 66%가 악취개선 체감 -
- 집중관리 농가(77개소)의 축사 내부 암모니아 농도
약 50% 감소(4월: 16ppm → 10월: 8)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는 11월 24일 축산환경관리원에서 축산악취 집중관리지역 30개소에 대한 추진내용 및 악취저감성과 공유 보고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보고회는 농식품부가 지자체와 협력하여 선정한 고속도로, 혁신도시 인근 등의 30개 축산악취 우려지역에 대한 지역별 악취개선 활동 및 우수 사례를 공유하는 자리로 농식품부, 환경부, 축산환경관리원, 시민단체, 현장전문가 등 30여명이 참석하였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축산악취집중관리지역 10개소에 대한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에는 집중관리지역을 30개소로 확대하고 축산악취개선사업과 연계하여 지역단위 축산악취관리를 추진하였다.

   

 

< (참고) 10개소의 주요 성과(‘20) >

 

 

 

◇ (지역주민 체감) 8개 지역의 지역주민 대상 설문조사 결과,

   약 58.3%(432명 중 252명)가 악취개선 체감한 것으로 조사

◇ (암모니아 수치) 대표적인 악취 물질로 알려진 암모니아 수치가 당초(7월)  평균 24.5ppm에서 최종(11월) 13.8ppm으로 44% 감소(106개소, 월2회 측정)

 

 우선, 지자체, 관계기관 등과 협업하여 30개 지역내 축산농가 및 가축분뇨처리시설 700여개소에 대해 악취원인을 진단하고 단기·중장기 악취관리계획을 수립하였으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db0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45pixel, 세로 542pixel

 

 

   - 집중관리가 필요한 101개소에 대해서는 축산환경관리원 등의 전문가 컨설팅을 실시하였다.

<주요 현장진단 결과>

 

구분

주요 악취발생 원인

개선방안(단기)

축사내부

▪슬러리피트, 돈사바닥 등 분뇨적체

▪외벽, 사료조, 피트 등 고착분뇨 및 먼지

▪분뇨외부 배출 및 처리시설 정상화

▪고압세척, 미생물 살포 등 청소관리

축사외부

▪축사·처리시설 개방운영

▪폐자재, 잡초 등 정리정돈 불량

▪시설밀폐 및 악취저감시설 설치

▪폐자재 처리 및 제초작업 등 관리

처리시설

▪처리시설 운영불량, 장비고장 등으로 분뇨 부패, 악취저감시설 미설치

▪처리시설 적정운영 교육이수, 설치업체 점검 등 운영정상화, 악취저감시설 설치

처리여건

▪처리시설 용량 및 퇴·액비 살포지 등 부족으로 분뇨처리 불가 

▪지자체 공공처리시설, 지역 내 자원화시설 등 협의로 분뇨처리여건 개선

기타

▪지역주민 축산시설 기피로 민원 지속 제기 및 사업추진 반대

▪지역협의체 구성·운영 및 활성화로 갈등해소방안 마련(농가 적극참여)

 

 또한, 축산악취개선사업과 연계하여 농가의 악취원인에 맞는 악취저감시설(안개분무, 액비순환시설 등), 가축분뇨처리시설(퇴비사, 액비저장조, 정화처리시설) 등을 지원하여 성과를 배가시켰다.  

 

 아울러, 지역의 악취관리 및 소통기구로서 지자체, 축산농가, 지역주민, 생산자단체 등이 참여하는 악취개선 지역협의체를 구성하여 간담회, 우수 현장방문 등을 통해 지역여건에 맞는 악취저감방안을 모색하고, 지역 내 축산악취 갈등을 조정하였다.

 

 

< 지역협의체 주요 활동 내용 >

 

 

 

 ㅇ (간담회) 지역 내 악취개선 현황 및 애로사항 검토, 지역 개선방안 도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22pixel, 세로 617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76pixel, 세로 128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cd00008.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65pixel, 세로 256pixel

 

 ㅇ (현장방문) 지역협의체 현장방문 및 교육을 통하여 구성원간 책임의식 제고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3pixel, 세로 34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3pixel, 세로 339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23a2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992pixel, 세로 2992pixel

 

 

 이러한 축산악취 집중관리를 통해 대표적인 악취물질인 암모니아 농도 등 수치적인 악취감소 이외에도 지역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났다.

 

 전문가 컨설팅을 실시한 농가들(77개소)의 암모니아를 주기적으로 측정한 결과, 4월 대비 10월 암모니아 농도가 50%(16ppm → 8ppm) 감소되는 성과가 있었으며,

 

 축산악취집중관리지역 30개소의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역주민의 66.3%(729명 중 483명)가 `악취개선을 체감한다`고 응답하였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a50001c.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78pixel, 세로 28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a50001e.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1pixel, 세로 288pixel

 

 

 이번 성과보고회에서는 해당 지역의 컨설팅팀이 악취개선활동 사례를 발표하고, 미흡 사항에 대해 전문가들과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를 만들었다. 주요 지역의 개선사례는 다음과 같다.

 

① (악취저감시설 설치) 시설투자 없이 축사의 철저한 관리만으로는 악취저감에 한계가 있는 농가들은 바이오커튼, 안개분무시설, 바이오필터, 세정탑 등 시설 여건에 맞는 적정 악취저감시설을 설치하여 지역의 악취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나타났다. (A 농가 암모니아 35ppm → 3, △ 91%)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f9c002d.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83pixel, 세로 15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f9c002e.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16pixel, 세로 151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96pixel, 세로 791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37pixel, 세로 356pixel

바이오 커튼 설치

안개분무시설 설치

 

② (퇴비사 밀폐) 주요 악취발생장소인 퇴비사, 액비저장조 등이 개방되어 악취가 지속적으로 확산되는 농가들은 퇴비사, 액비저장조 등 악취발생 장소를 최대한 밀폐화하고, 여건상 공사 등이 불가능한 경우는 단기적으로 지역주민과 협의하여 천막·덮개 등을 활용한 외부 노출 최소화를 통해 악취가 개선된 사례들도 많이 나타난 것으로 보고되었다. (B농가 암모니아 5ppm → 1, △ 80%)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43pixel, 세로 33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8pixel, 세로 337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f9c001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36pixel, 세로 171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f9c001b.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31pixel, 세로 148pixel

퇴비사 밀폐

액비저장조 밀폐

 

 ③ (분뇨배출 주기 단축) 축사 내 가축분뇨 장기적체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는 농가들은 가축분뇨 위탁처리시설과의 수거주기 단축협의*, 슬러리 피트 청소주기 단축 등을 통해 축사 내 가축분뇨 적체기간을 최소화하였다. (C농가 암모니아 30ppm → 5, △ 83%)

     * 가축분뇨 신속수거를 통한 악취저감을 위해 가축분뇨 일 35m3이상 추가 반입 협의 등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67pixel, 세로 48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97pixel, 세로 27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25pixel, 세로 75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11pixel, 세로 755pixel

피트내 적체분뇨 배출 및 청결 개선

가축분뇨 신속수거 업무협약 체결

 

④ (지역내 소통 강화) 축산농가와 지역주민간 축산악취갈등이 심화된 지역은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지역협의체 등 농가-주민-지자체간 소통채널을 활성화하고, 간담회 및 현장방문 등을 통해 악취문제 해결방안을 발굴하는 동시에 선제적 대응을 추진하여 악취개선효과를 체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전북) 잦은 소통을 통해 대립하던 농가와 주민들 관계가 협력관계로 전환, 감정민원 해결

ㅇ (경기) 가축분뇨 적정처리시설 설치 반대 주민과 소통하고, 주민과 농가간의 오해 해결  

ㅇ (충남) 주요민원 지점인 캠핑장에서 손님이 많은 주말에 특별 악취 관리 요구 → 농가에서 주말 가축·분뇨 반출 자제, 매주 목요일마다 청소 관리하여 민원 감소

 

 ⑤ (농가 교육/컨설팅) 악취저감 시설이 갖추어져 있고, 축산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악취가 발생하는 농가들은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악취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악취저감시설 적정운영 방법, 미생물 살포 및 가축분뇨 관리 등에 대한 매뉴얼 보급 및 교육을 통해 악취가 상당히 감소됐다고 평가했다. (D농가 암모니아 농도 12ppm → 3, △ 75%)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61pixel, 세로 80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68pixel, 세로 294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81pixel, 세로 49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76pixel, 세로 737pixel

액비순환시스템 정상화

세정탑 관리매뉴얼

바이오커튼 정상화

 

 ⑥ (ICT 활용 모니터링) 악취측정 ICT장비를 활용하여 고농도 암모니아 지속 배출 농가·시설을 선별하고, 취약시간 분석 및 현장점검 등을 통해 악취저감시설 운영시간을 확대하고, 고액분리기의 가동시간 및 퇴비 교반시간 변경 등 맞춤형 집중관리를 추진하여 큰 효과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A시설 집중관리대상 지정 후 데이터 추이 분석 사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cfc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56pixel, 세로 271pixel

 

10월 2주차 평균 30.1ppm 최고 50ppm

11월 1주차 평균 14.5ppm (△52%)

 

 

 ⑦ (가축분뇨 적정처리) 액비 반출의 어려움*으로 인해 가축분뇨처리가 지연되어 악취가 발생하는 농가들은 기존의 퇴액비화 시설 대신 정화처리시설을 설치․운영하여 가축분뇨를 신속히 처리하고 악취도 저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 가축질병 발생에 따른 차량 출입제한, 액비 살포지 부족 등

 

 또한, 성과보고회에 참여했던 대전충남시민환경연구소 최충식 소장은 지역에서 발생하는 축산악취민원은 축산농가와 주민간의 정서적인 이유가 큰 만큼, 지역협의체 활동을 통한 악취개선사례가 인상적이었다고 평가했다.  

  

 다만, 일부 악취지역의 농장들은 현장의 지속적인 개선요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는 사례들도 있어 현장의 단속과 집중 점검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농식품부 정경석 축산환경자원과장은 이번 30개 지역 악취개선 성과 보고회를 통해 악취개선 활동과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확산함으로써 축산악취개선에 대한 지역적 붐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며,

  

 앞으로도 축산악취로 인한 국민 불편을 해소하고, 환경친화적 축산업 전환을 위해 축산농가 스스로가 적극 노력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내 손으로 만드는 축산유통 서비스 …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축산유통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축산 유통 서비스 혁신을 위해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축산유통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소비자, 축산업 종사자, 학계, 대학생 등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대국민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공모한다. 공모 주제는 기획 분야와 자율 분야로 구분된다. 기획 분야는 축산유통 디지털화와 스마트 축산 활성화 등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 분야는 품질 평가, 이력제도, 축산유통, 정책 지원, 상생협력 및 지역 발전 등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 전반을 주제로 의견을 공모해 국민이 가진 다양한 축산 유통 관련 의견을 경청한다. 접수 방법은 두 가지이다. 기획안은 구글 폼과 전자 우편으로, 영상(쇼트 폼)은 전자 우편으로 접수할 수 있다. 구글 폼은 포스터 내 정보무늬(큐알코드)와 누리집을 통해 바로 접속 가능하다. * 2025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전자 우편 주소: ekape@kois.co.kr 축산물품질평가원은 6월 30일까지 접수된 내용들을 1차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경인지원,스마트 해썹 확산을 위한 견학 프로그램 운영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경인지원은 5월 29일(목)에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와 협력하여 인천 지역의 중소 식품제조업체 25개소를 대상으로 스마트 해썹 현장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번 현장 견학 프로그램은 스마트 해썹 등록업체인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을 직접 방문하여 스마트 해썹 시스템의 운영 사례와 효과를 현장에서 체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은 최첨단 생산설비를 갖추고 볶음김치, 냉동나물을 생산하는 업체로서 ▲공정별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이력추적 ▲설비 자동 제어 등 디지털 기반 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한 대표적인 스마트 해썹 등록 업체이다. 견학에 참가한 업체들은 기존 해썹에서 스마트 해썹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성과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견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업체 관계자는 “생산 및 관리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전송되는 스마트 해썹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품질을 점검하는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 향후 스마트 해썹 도입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 김정희 센터장은 “관내 식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