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7℃
  • 맑음강릉 9.3℃
  • 맑음서울 6.1℃
  • 맑음대전 3.7℃
  • 연무대구 6.8℃
  • 맑음울산 7.7℃
  • 연무광주 6.6℃
  • 맑음부산 11.2℃
  • 맑음고창 1.6℃
  • 맑음제주 11.1℃
  • 맑음강화 1.7℃
  • 맑음보은 1.6℃
  • 맑음금산 0.5℃
  • 구름많음강진군 3.8℃
  • 맑음경주시 4.1℃
  • 구름조금거제 7.8℃
기상청 제공

축산

한우 암소, 육질 등급 높이는 사양 기술은?

- 경산 암소 5세 출하, 미경산 암소 30개월 비육할 때 육질 우수 -

 올해 한우 사육 마릿수가 360만 마리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농림축산식품부는 한우 수급 관리를 위해 암소 출하를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암소의 육질 1등급 이상 출현율**이 2021년 59.4%로 거세 한우 89.3%보다 30% 정도 낮아 암소의 육질 등급을 높일 수 있는 비육(살찌우기)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축산 관측(2022년 12월호)

 **축산물품질평가원 통계 연보(2021)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소값 하락과 사룟값 상승으로 이중고를 겪고 있는 축산농가의 위기 극복을 위해 암소를 출하할 때 육질 등급을 높일 수 있는 비육 기술을 소개했다.

 

 송아지를 낳은 경험이 있는 암소(경산 암소)는 송아지 2마리를 생산한 4세 전후에 비육하기 시작해 5세 무렵에 출하했을 때 육질 성적이 우수했다. 나이가‘6~8세’나‘9세 이상’으로 많아질수록 성숙도*에 의해 육질 등급이 낮아졌다.

*소의 생리적인 나이를 뜻함. 뼈(도체의 척추 가시돌기 연골)의 골화 정도로 판정

 

 경산 암소의 몸무게가 450kg 미만일 때는 8~10개월, 450kg 이상일 때는 6~8개월가량 비육하면 근내지방도가 5*에 가까워져 육질 1등급 출현율을 높일 수 있다.

 *1++등급(근내지방도 7~9), 1+등급(근내지방도 6), 1등급(근내지방도 4~5), 2등급(근내지방도 2~3), 3등급(근내지방도 1)  

 

 사료는 비육 전기와 후기로 나눠 급여한다. 비육 전기에는 알곡혼합사료(농후사료)를 체중의 1.7%로 제한하고, 후기에는 자유롭게 먹인다. 풀사료는 볏짚으로 전 기간 자유롭게 먹을 수 있게 하며, 최소 2㎏ 이상 급여한다.

 

 또한, 비육 시작 전과 4개월 후의 초음파 육질 진단 결과를 비교해 육질 변화 정도와 근내지방도에 따라 출하 시기를 결정한다. 근내지방도가 2 미만일 경우에는 암소를 키울수록 소득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즉시 출하한다.

 

 송아지를 낳은 경험이 없는 암소(미경산 암소)는 약 30~32개월까지 오랜 기간 비육해야 육질 1등급 이상 출현율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알곡혼합사료를 너무 많이 급여하면 대사성 질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거세 한우보다 적은 양을 오랜 기간 급여하도록 주의한다.

 

 또한, 11~22개월 전후에는 발정 스트레스와 발정행동(승가)으로 축사 칸막이나 문틈에 발목이 끼어 다치기도 하므로 주의 깊게 관찰한다.

 

 농가에서 태어난 암소를 번식용 또는 비육용으로 사육할지 결정할 때 암소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이용하면 도움이 된다. 송아지 때 모근(털뿌리), 혈액 등으로 유전자 정보를 분석해 유전능력을 예측하는 서비스로, 이용을 원하는 농가는 도내 축산 관련 연구기관에 문의하면 된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소 박응우 소장은 “최근 한우 송아지 가격이 전년 대비 30~40%가량 하락하고, 사룟값은 상승하면서 한우 농가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암소 출하를 고려하는 농가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기존 암소 비육 기술 보급을 확대하겠다.”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신선한 국산 원유로 만든 풍성하고 부드러운 우유크림과 촉촉한 빵의 조화 서울우유협동조합, 우유크림 베이커리 ‘크림하프롤’&’크림도넛’ 2종 출시
서울우유협동조합은 신선한 국산 원유로 만든 우유크림을 강조한 ‘크림하프롤’과 ‘크림도넛’ 신제품 크림 베이커리 2종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서울우유는 최근 MZ세대들을 주축으로 SNS를 통해 인기몰이 중인 크림빵에 주목하고 소비자들의 니즈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켜줄 프리미엄 디저트를 선보이게 됐다. 서울우유 ‘크림하프롤’은 크림빵 ‘반갈샷(빵을 반으로 갈라 내용물은 보여주는 인증샷)’에서 착안해 기존 크림빵에서 발전된 새로운 형태의 크림 디저트다. 하프롤 형태의 시트는 크기를 도톰하게 높여 소비자들의 가심비를 충족시키고, 서울우유의 풍성한 휘핑크림은 진하면서도 부드럽고 달콤한 맛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한편 ‘크림도넛’은 서울우유 동물성, 식물성 휘핑크림을 최적비로 혼합해 신선하고 부드러운 크림을 강조한 디저트다. 우유를 사용해 더욱 쫄깃하고, 볼륨감 있는 베를리너 도우를 사용해 고급스러운 도넛 맛을 구현했다. 신제품 크림 베이커리 2종은 냉동 보관을 우선하며 실온 해동 1시간 이상, 냉장 해동 3시간 이상을 추천한다. 빵은 촉촉하고 크림은 차가운 상태일 때, 가장 맛있는 프리미엄 디저트로 즐길 수 있다고 서울우유 측은 전했다. 서울우유협동조합 신동화 디저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