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8.20 (일)

  • 흐림동두천 24.3℃
  • 구름조금강릉 25.1℃
  • 구름많음서울 25.7℃
  • 흐림대전 25.3℃
  • 흐림대구 26.3℃
  • 구름많음울산 25.5℃
  • 맑음광주 25.5℃
  • 박무부산 26.4℃
  • 구름조금고창 23.9℃
  • 맑음제주 27.1℃
  • 흐림강화 23.2℃
  • 구름많음보은 24.1℃
  • 구름많음금산 25.2℃
  • 맑음강진군 24.1℃
  • 구름조금경주시 25.9℃
  • 구름조금거제 26.9℃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축산

새해 젖소 개량 이끌 최고 능력 보증씨수소 선발

- ‘봄베로’ , ‘타겟’ , ‘빅쇼’ 3마리 뽑아 … 3월부터 정액 공급 -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새해 젖소 개량을 선도할 한국형 젖소 보증씨수소로 ‘봄베로(H-712)’, ‘타겟(H-714)’, ‘빅쇼(H-726)’ 3마리를 선발했다.

 

한국형 젖소 보증씨수소는 국내에서 자체 생산해 우리나라 고유 환경과 사육 조건에서 최고의 능력을 발휘하는 소를 말한다.

 

이번에 선발한 ‘봄베로’는 검정을 마친 후보씨수소 16마리 가운데 유단백량(35.54kg)과 지제지수(1.12)가 가장 높았다. 지제지수는 젖소 몸무게를 지탱하는 형질이다. 강건한 젖소를 원하는 농가에서 지제지수가 높은 씨수소를 선택하면 개량에 도움이 된다.

 

‘타겟’은 지제지수가 1.09(2위)로 우수하고, 소화 흡수가 잘된다고 알려져 낙농가와 우유업체에서 관심이 많은 ‘베타카제인 에이2에이2(A2A2) 유전자형’을 보유하고 있다. ‘타겟’은 에이2(A2)우유 생산을 원하는 농가에서 선호할 것으로 기대된다.

 

‘빅쇼’는 생산, 체형 능력 종합지수(KTPI, Korean Type Production Index)가 2103.1로 선발된 보증씨수소 중 가장 높았다. 유지방량(43.84kg) 2위, 유단백량(31kg) 3위, 체세포(-0.54) 1위, 체형 최종점수(14.38) 2위로 모든 개량 형질이 전반적으로 우수했다.

 

새로 뽑은 젖소 보증씨수소에 대한 자세한 유전능력 정보는 국립축산과학원 누리집(www.nias.go.kr→ 연구활동→ 영농활용)에서 3월부터 확인할 수 있다. 보증씨수소 정액은 3월부터 농협경제지주 젖소개량사업소에서 판매한다.

 

젖소 보증씨수소는 6개월(6월, 12월)마다 국가 단위 및 국제 유전능력 평가를 통해 선발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국립축산과학원, 농협경제지주 젖소개량사업소, 한국종축개량협회가 협업해 추진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개량평가과 박병호 과장은 “농가에서 보완하고자 하는 경제형질의 유전능력을 보고 씨수소를 선택하면 농가 경영에 도움이 되는 송아지를 생산할 수 있다.”라며, “앞으로 번식 형질처럼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신규 유전능력을 제공하는 데 힘쓰겠다.”라고 전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
국토녹화 50주년 기념 청소년 국가숲길 산림생태탐방 운영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국토녹화 50주년을 맞이하여 8월 17일부터 19일까지 중·고등학생 40여 명을 대상으로 국가숲길을 걸으며 자연을 탐방하는 ‘청소년 국가숲길 산림생태탐방’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산림청이 한국등산·트레킹지원센터와 함께 추진하는 이번 행사는 청소년들이 여름방학을 이용해 국가숲길을 직접 체험하면서 숲길에 대해 올바로 이해하고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국가숲길) 산림청이 조성한 숲길 중 생태적 가치나 역사, 문화적 가치가 높아 체계적으로 운영·관리가 필요한 숲길을 지정하여 고시한 숲길로, 현재 백두대간트레일, 대관령숲길, 지리산둘레길, DMZ펀치볼둘레길, 내포문화숲길, 울진금강소나무숲길, 한라산둘레길, 대전둘레길 8개소 지정 이번 산림생태탐방은 백두대간트레일, 대관령숲길 구간을 2개 팀으로 나누어 진행되며, 각 팀은 약 10km에 이르는 구간을 각각 탐방하게 된다. 또한, 안전한 산행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산악회 소속 전문 산악인 12명이 동행한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이번 생태탐방을 통해 우리나라의 미래를 짊어질 청소년들이 국토녹화의 공익적 가치를 몸소 느끼고 숲길의 생태계 특성과 역사·문화적 가치를 이해하는 의미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