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13 (수)

  • 흐림동두천 19.1℃
  • 흐림강릉 20.2℃
  • 서울 21.3℃
  • 대전 20.6℃
  • 흐림대구 26.9℃
  • 울산 24.8℃
  • 흐림광주 24.8℃
  • 흐림부산 27.8℃
  • 흐림고창 20.4℃
  • 흐림제주 29.3℃
  • 흐림강화 20.2℃
  • 흐림보은 20.9℃
  • 흐림금산 21.6℃
  • 흐림강진군 27.3℃
  • 흐림경주시 25.4℃
  • 구름많음거제 27.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축산

축산물 잔류 항생 물질, 신속하게 검사한다

- 항생 물질 잔류 여부 알 수 있는 진단 도구(키트), 판독기를 개발
- 가축 소변과 혈액으로도 확인 가능해 출하 전 농장에서 검사 가능
- 신속하고 간편한 검사 방법 … 축산물 안전성 제고에 기여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인하대학교(허윤석 교수팀)와 함께 농장에서 가축을 출하하기 전 항생 물질* 잔류 여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진단 도구(키트)와 잔류량을 분석할 수 있는 판독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축산물에서 검출될 수 있는 주요 항생 물질에는 스트렙토마이신과 엔로플록사신이 있다. 잔류 허용 기준을 초과한 축산물은 폐기함.

 

 이번에 개발한 항생 물질 진단 도구는 측면유동면역분석법(LFIA)을 기반으로 제작했다. 항원과 항체의 반응을 이용한 진단 방법으로 코로나19 신속 항원 검사 도구와 원리가 비슷하다.

 

 우유, 식육 등 축산물뿐만 아니라 가축의 혈액, 소변을 시료로 쓸 수 있어 농장에서도 간편하게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돼지의 소변을 진단 도구에 주입해 표시된 붉은 검사 선이 옅어지거나 없어지면 항생 물질이 남아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결과가 나타난 진단 도구를 판독기에 넣으면 잔류량이 3단계*로 화면에 표시돼 대략적인 정량 분석도 가능하다. 연구진은 검출된 물질의 잔류 농도에 따라 신호 세기 비율이 다른 원리를 연산 방식(알고리즘)으로 설계해 판독기를 제작했다.

 * 초록색: 0∼10 ppb(10억분율), 노란색: 11∼24 ppb, 빨간색: 25 ppb 이상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진단도구 판별 방법_한글.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34pixel, 세로 48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진단도구 판별 방법_사진.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62pixel, 세로 46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판독기.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347pixel, 세로 2929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3년 05월 17일 오후 10:12 카메라 제조 업체 : samsung 카메라 모델 : SM-N986N F-스톱 : 1.8 노출 시간 : 1/60초 IOS 감도 : 200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자동 35mm 초점 거리 : 25 프로그램 노출 : 자동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가운데 중점 평균 측광 EXIF 버전 : 0220

< 항생 물질 진단도구 – 잔류 여부 확인 방법 >

<판독기>

 

 

 이번에 개발한 진단 도구를 활용하면, 가축의 항생 물질 잔류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어 휴약기간* 조정 등을 통해 축산물 유통 전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약품 투여 후 식육, 알, 우유 등에 잔류하는 약물이 허용기준 이하로 배출되는 데 필요한 시간

 

 항생 물질 진단 도구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프론티어스 인 뉴트리션(Frontiers in Nutrition, IF=6.576)’에 게재됐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연구 결과의 특허를 출원*했으며, 희망업체를 대상으로 기술이전을 실시할 예정이다.

 * 항생제 검출 센서(10-2023-0036962)

 

 한편, 국내 축산물은 투명한 생산 과정과 엄격한 품질 관리를 통해 유통되고 있다. 정부는 식품 안전관리 정책을 지속해서 강화하고 있으며, 2024년 축산물 잔류허용물질 목록관리제도(축산물 PLS)* 시행을 앞두고 있다.

 * 미확인 동물용의약품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제도로 2024년 1월 1일부터 시행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물이용과 송금찬 과장은 “축산농가에서 가축 출하 전 항생 물질 잔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면 도축 후 도체 폐기율을 최소화하고, 축산물 안전성을 높일 수 있어 농가 손실을 크게 덜 수 있게 된다.”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농업인 디지털 원패스로 농식품 행정의 차세대를 준비하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 이하 농식품부)는 농업인이 간편하게 농업보조금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부적정한 농업보조금 지급을 차단하는 검증체계 마련을 목표로 “차세대 농업·농촌통합정보시스템(농업이(e)지) 구축사업”을 총사업비 1,226억원 규모로 2024년 말부터 3개년간 단계적으로 오픈한다고 밝혔다. 1단계는 농업인들이 몰라서, 어려워서, 힘들어서 못 받는 농업보조금이 생기지 않도록 인공지능기반의 맞춤형 서비스가 구축된다. 농식품부는 1단계 시스템의 미래상을 미리 체험해 볼 수 있도록 ‘2023 대한민국 농업박람회” 기간 중 ‘농업이(e)지 원패스’ 시연회를 개최한다. 이번 시연회는 가상의 농업인에 대한 경영체 등록,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 내 농지 확인, 마이데이터 연동을 통한 보조금 지원이력 확인 등 각종 서비스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체험해 볼 수 있다. 또한 2차원 바코드를 통해 모바일 농업경영체 증명서를 다운로드해 볼 수 있다. 2단계는 전국의 주민센터 및 농산물품질관리원에 터치스크린 단말기, 무인키오스크를 보급하고 이를 통해 농업경영체 및 각종 보조금을 종이 서류없이 간편하게 신청할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