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1 (토)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IT·통신

3만원대 5G 요금제 최저구간 신설 및 소량구간 세분화를 위한 KT의 이용약관 신고

-3만원대 최저구간(3.7만원, 4GB) 5G요금제 신설, 요금할인 적용 시 2만원대에 이용 가능
-소량 구간 요금제를 세분화*하여 사용량에 부합하는 요금체계로 개선
* [기존] 2구간(5ㆍ10GB) → [개선] 5구간(4ㆍ7ㆍ10ㆍ14ㆍ21GB)



-청년 혜택 강화(데이터 2배, 적용 연령 상향) 및 세분화된 온라인 요금제 8종 신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케이티(이하 ‘KT’)가 1월 17일(수) 3만원대 5G 요금제 신설, 소량 구간 세분화 등 5G 요금제 개편을 위한 이용약관을 신고하였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고물가ㆍ고금리 등으로 민생경제가 어려운 시기에 국민 대다수가 일상생활에서 이용하고 있는 이동전화의 요금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가계통신비 부담 완화 정책을 적극 추진 중에 있다.

 

  이번 정부 들어 통신사와 협의하여 두 차례 요금제 개편을 통해 5G 요금제 중간 구간을 세분화하였으며, 저렴하고 혜택이 확대된 청년ㆍ고령층 요금제가 다수 출시 되어 이용자의 요금제 선택권이 대폭 확대되었다.

 

< KT 5G 요금제 개편 추진 현황 >

 

구분

 

소량(~30GB)

중량(~100GB)

다량(~250GB)

 

 

 

 

 

 

 

 

 

 

 

데이터

(월정액)

 

공백

5GB

(45,000원)

10GB

(55,000원)

공백

 

30GB

(61,000원)

50GB

(63,000원)

70GB

(65,000원)

90GB

(67,000원)

110GB

(69,000원)

 

 

 

 

 

 

 

 

 

 

 

 

←――――――――――――――――→

 

1차(’22.7월)ㆍ2차(’23.3월) 요금개편

 

 

 

◈ 3차 개편 : 3만원대 요금제 신설

(최저구간 하향) 및 소량구간 세분화

 

← 이번 정부 출범 후 신설된 요금 구간 →

 

 

  이에 더해, 여전히 5G 요금의 최저 수준이 4만원대 중후반으로 높고 월 사용량이 평균 이하인 소량 이용자의 요금제 선택권이 제한적인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통신비 부담 완화 방안」을 발표(’23.11월) 한 바 있다.

 

  그 후속조치로 통신사와 5G 요금 최저구간을 3만원대로 낮추고 소량 구간 요금제를 다양화하는 방안을 협의하였으며, 그 결과 KT에서 3만 7천원(4GB) 최저구간 요금제를 신설하고 30GB 미만 소량 구간 요금제를 기존 2구간(5ㆍ10GB)에서 5구간(4ㆍ7ㆍ10ㆍ14ㆍ21GB)으로 세분화, 청년 혜택 강화, 온라인 5G 요금제 8종 신설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이용약관을 신고하였다.

 

  신설 요금제는 1월 19일(금)부터 가입 가능하며, 기존 요금제의 데이터 제공량 확대는 2월 1일부터 시행된다.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 ① 3만원대 최저구간 요금제 신설 및 소량 구간 데이터 제공량 세분화 >

 

  월정액 3만 7천원에 월 4GB를 제공하는 최저구간 요금제와 5만원(10GB)ㆍ5만 8천원(21GB) 요금제를 신설하며, 기존 4만 5천원(5GB→7GB)ㆍ5만 5천원(10GB→14GB) 요금제의 데이터 제공량을 확대하는 등 소량 구간 요금제를 기존 2구간(5ㆍ10GB)에서 5구간(4ㆍ7ㆍ10ㆍ14ㆍ21GB)으로 세분화한다. 해당 구간은 속도제한형(QoS) 옵션 뿐만 아니라 남은 데이터를 다음 달에 이월하여 사용가능한 데이터 옵션(이월형)도 선택 가능하다.

 

  이번 개편을 통해, 최저구간 5G 요금 수준이 기존 4만원대 중후반에서 3만원대로 낮아지며, 월 평균 사용량이 전체 평균*(무제한 제외)보다 낮은 소량 이용자도 자신의 실제 사용량에 가까운 요금제를 선택 가능하다.

 

 * 5G 가입자(무제한 제외) 1인당 월평균 데이터 사용량은 약 18.8GB(’23.9월 기준, 과기정통부)

 

  특히, 최저 요금제(3.7만원, 4GB)는 선택약정 25% 요금 할인 적용 시 2만원대에 이용 가능하며, 신설 요금제로 하향 변경함으로써 월 4GB 이하 이용자는 월 8천원, 월 6~10GB 이용자는 월 5천원~1만원, 월 11~21GB 이용자는 월 3~6천원의 통신비를 절감할 수 있다.

 

< 소량 이용자의 통신비 경감 효과 예시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ad64317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06pixel, 세로 296pixel

 

< ② 청년 혜택 강화 >

 

  이번에 개편되는 소량 구간 요금제 5종에 가입하는 청년 이용자에게는 별도 신청 없이 데이터를 2배로 확대하여 제공한다. 또한, 청년의 연령 범위를 기존 ‘만 29세 이하’에서 ‘만34세 이하’로 확대한다.

 

< 만 34세 이하 청년에 데이터 2배 확대 제공 >

 

월정액

(25%할인 적용가격)

37,000원

(27,750원)

45,000원

(33,750원)

50,000원

(37,500원)

55,000원

(41,250원)

58,000원

(43,500원)

데이터 제공량

4GB+400Kbps

7GB+400Kbps

10GB+400Kbps

14GB+1Mbps

21GB+1Mbps

청년은 데이터 2배

8GB+400Kbps

14GB+400Kbps

20GB+400Kbps

28GB+1Mbps

42GB+1Mbps

 

< ③ 온라인 5G 요금제 8종 신설 >

 

  3만원으로 시작하여 데이터가 5GB 단위로 세분화되고, 일반 요금제 대비 30% 이상 저렴한 온라인 5G 요금제 8종을 신설한다. 일반 요금제의 경우와 동일하게, 만 34세 이하 청년에 대해서는 데이터를 2배로 확대하여 제공한다.

 

< KT의 5G 온라인 요금제 신설(안) >

 

가격

(유사구간

일반요금제와 비교)

30,000원

(-)

32,000원

(36% 저렴)

34,000원

(38% 저렴)

36,000원

(38% 저렴)

38,000원

(-)

40,000원

(34% 저렴)

42,000원

(-)

44,000원

(-)

데이터*

5GB

10GB

15GB

20GB

25GB

30GB

35GB

40GB

청년은 2배

10GB

20GB

30GB

40GB

50GB

60GB

70GB

80GB

 

 * 데이터 제공량은 LGU+ 온라인요금제(너겟)의 1.45∼5배, SKT 온라인요금제의 1.25∼2.5배 수준

 

 

  과기정통부 이종호 장관은 “작년 중ㆍ다량 구간에 이어 올해 소량 구간도 개편함으로써 이용자가 자신의 실제 사용량에 가까운 요금제를 합리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라며, “이용자의 상당수가 월 20GB 이하의 소량 이용자인 만큼, 신설 요금제로 하향 변경 시 통신비 경감 효과가 클 것” 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다른 통신사도 빠른 시일 내에 3만원대 5G 요금제 최저구간 신설 및 소량 구간 세분화 방안 협의를 조속히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대전지원, 농업인 대상 찾아가는 전문기술상담 실시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대전지원은 6월 19일(목)에 세종특별자치시 농업기술센터에서 관내 농업인 대상으로 ‘찾아가는 전문기술상담’을 운영했다. 이번 ‘찾아가는 전문기술상담’은 생산단계 해썹 인증업체의 사후관리 운영 내실화 및 역량강화를 위하여 관내 인삼포크 영농조합법인 소속 농업인 27명을 대상으로 마련되었다. 업체별 맞춤형으로 진행된 전문기술상담은 ▲가축사육단계 해썹 평가표 활용 1:1 기술상담 ▲축종별 해썹 기록방법 ▲축산물 관련 주요 정책 및 법령 변경사항 안내 등으로 진행되었다. 해썹인증원 대전지원은 앞서 3월에 실시한 해썹 인증 준비 업체 대상 기술지원에 이어 해썹 인증 업체 대상 맞춤형 전문기술상담을 실시하는 등 찾아가는 민원 서비스 제공으로 민원 해소 및 고객 만족도 향상에 노력하고 있다. 나동현 대전지원장은 “찾아가는 전문기술상담으로 평소 업체가 자체적으로 해결하지 못했던 궁금증을 심사관과 직접 소통하며 해소하는 귀한 시간을 가졌다.”라며, “앞으로도 민원인들을 직접 찾아가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실질적인 지원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