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2 (수)

  • 흐림동두천 9.7℃
  • 구름많음강릉 17.2℃
  • 흐림서울 11.0℃
  • 구름많음대전 13.7℃
  • 맑음대구 18.9℃
  • 구름많음울산 18.6℃
  • 맑음광주 17.4℃
  • 흐림부산 15.9℃
  • 구름많음고창 14.8℃
  • 흐림제주 13.8℃
  • 흐림강화 6.4℃
  • 구름많음보은 13.8℃
  • 구름조금금산 14.8℃
  • 흐림강진군 15.8℃
  • 구름조금경주시 19.3℃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축산

육계 분뇨처리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정확도 높인다

- 육계 가축분뇨 처리 부문 국가고유계수 2종 개발…우리나라 특성 반영
-일일 휘발성 고형물 배출량 계수·연간 질소 배출량 계수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 국립축산과학원은 육계 분뇨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메탄, 아산화질소) 배출량을 더 정확하게 산정하는 데 필요한 국가고유계수 2종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온실가스 국가고유계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할 때 필요한 요소에 해당 나라의 특성을 반영해 정량화한 값이다. 국가고유계수가 없는 나라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 제시하는 기본값을 활용해 배출량을 산정한다.

 

 이럴 경우, 나라별로 서로 다른 가축 사육 방식, 사양 기술, 분뇨처리 기술 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정확한 배출량 산정에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에서는 각 나라 자체적으로 국가고유계수를 개발토록 권장하고 있다.

 

 이번에 개발된 국가고유계수는 육계 분뇨의 일일 휘발성 고형물 배출량(VS, Volatile Solid) 계수와 연간 질소 배출량(Nex, Annual average N excretion) 계수이다.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검증을 거쳐 2025년 1월 7일 최종 등록됐다.

 

 신규 국가고유계수를 적용하면, 육계 분뇨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메탄, 아산화질소) 배출량이 2019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지침에서 제시하는 기본값으로 산정했을 때보다 약 27.2% 낮게 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육계 분뇨처리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국가고유계수>

 

계수 명칭

개발값

(단위)

2019 IPCC 기본값

(단위)

활용부문

육계분뇨로 배출되는 일일 휘발성고형물 배출량(VS)

0.02

(kg VS/head/day)

0.02

(kg VS/head/day)

메탄배출량 산정

육계분뇨로 배출되는 연간 질소배출량(Nex)

0.31

(kg N/head/year)

0.50

(kg N/head/year)

아산화질소 배출랑 산정

 

 이로써 국가 특성이 반영된 정확한 계수를 활용해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배출량 산정을 할 수 있게 됐다.

 

 한편, 현재까지 국내에서 개발된 축산·초지 분야 국가고유계수는 장내 발효 17종, 분뇨처리 4종, 초지 흡수 1종 등 22종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환경과 장길원 과장은 “아직 개발되지 않은 축종별 국가고유계수와 함께 가축분뇨 처리시설에서 배출되는 아산화질소 배출계수 등 가축분뇨 처리 부문 국가고유계수 개발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라며 “이를 통해 가축분뇨 처리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정확성을 높이고 국가 차원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도 기여하겠다.”라고 밝혔다.


농업

더보기
농촌진흥청, 국유특허권 기술이전 업체 사업화 촉진 지원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농업 분야 국유특허권 기술을 이전받은 농산업 업체와 소통을 강화하고, 현장의 기술 수요를 수렴해 관련 연구개발과 기술 보급 등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국유특허권 기술은 국가기관 연구원(공무원)이 공공의 이익을 위해 발명한 특허 기술로 소유권은 대한민국 정부에 있다. 업체·개인은 특허 기술에 대한 통상실시권*, 전용실시권**을 이전받아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된다. *통상 실시권: 특허권자가 허락한 조건 범위 안에서 누구나 특허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권리 **전용 실시권: 특정인이 독점적으로 특허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 권재한 청장은 3월 10일 오후, 충남 아산시에 있는 친환경 소재 개발 업체 ㈜루츠랩을 방문, 기술이전 성과를 살피고 농산 부산물 새활용(업사이클링) 활성화를 위한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 ㈜루츠랩은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효율을 증가시킨 석세포 분리 방법’(특허 제10-2108747호) 기술을 이전받고,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의 공정고도화지원 등을 기반으로 배 석세포 대량 생산에 성공하며 사업 기반을 다졌다. 농촌진흥청은 배 석세포*가 피부 각질이나 치태(플라그) 제거 등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고 미세플라스

축산

더보기
올해 ‘우리흑돈’ 두 차례 보급 … 이달 17~24일 수요조사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이달 17일부터 24일까지 지자체 축산진흥기관, 전문종돈장*, 돼지인공수정센터(AI센터),** 전국 양돈 농가를 대상으로 2025년 ‘우리흑돈’ 수요조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혈통 관리·능력 검정을 통해 선발된 씨돼지를 분양하는 농가 **씨수퇘지를 사육해 인공수정용 돼지 정액을 생산해 판매하는 곳 국립축산과학원은 수요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우리흑돈’ 보급 규모를 조정하고 효율적인 공급 계획을 마련할 방침이다. 수요조사는 국립축산과학원 및 한국농업기술진흥원 누리집(홈페이지)을 통해 진행한다. 세부 내용과 신청 절차는 공지 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우리흑돈’은 2015년 국립축산과학원에서 개발한 흑돼지 품종이다. 고기 맛이 뛰어난 ‘재래돼지’와 생산성이 우수한 ‘두록’의 장점을 살려 개발했다. ‘재래돼지’보다 성장 속도가 빠르고, 고기 품질이 뛰어나다. 특히 ‘재래돼지’(6~8마리)보다 새끼 수(8~10마리)가 많다. 국립축산과학원은 신청 수요를 고려해 보유 씨돼지 능력을 검정하고, 유전능력을 평가해 우수 개체를 선발하고 있다. 2024년에는 ‘우리흑돈’ 씨돼지 총 788두(암 563, 수 225)를 보급했다. 전년(558두


산림

더보기
산림청, 산지 재해 예방 강화하고 사유재산권 보호한다
산림청(청장 임상섭)은 산사태 등 산지재해로부터 국민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산지관리법’ 및 ‘사방사업법’ 시행령 개정안을 3월 11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산림청은 경사지인 산지의 특성을 고려해 산지전용허가 대상지에 대해 재해위험성 검토나 재해영향평가를 실시하고, 필요시 재해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하는 산지전용허가 기준을 운영해 왔다. 그러나, ‘산지관리법’에 따르면 330㎡ 미만의 농림어업인 주택시설은 산지전용신고 대상으로, 산지전용허가 기준이 적용되지 않아 산사태 등 재해에 취약하다는 우려가 있었다. 이에 따라 이번 개정을 통해 농림어업인 주택시설 부지에 산사태취약지역이 포함될 수 없도록 규정했다. 다만, 현장 여건상 부득이하게 편입이 필요한 경우에는 △토사유출방지시설 △낙석방지시설 △옹벽 △사방댐 △침사지 △배수시설 등 재해방지시설을 설치하는 조건충족 시 가능하도록 해 기후변화로 인한 폭우 등으로부터 재해 발생 우려를 줄일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사방사업법’ 시행령을 개정해 개인이 소유한 토지에 대해 불필요한 재산권 제한을 줄여 토지 활용도를 높이고 사방사업의 실효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기존에는 개인이 소유한 토지가 사방지로 지정된 경우,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