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7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농업정책

5월 세계 식량가격지수, 소폭 반등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17년 5월 세계 식량가격지수는 전월(168.9포인트) 대비 2.2% 상승한 172.6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설탕을 제외한 모든 품목의 가격이 상승하였으며, 그 중 유제품, 유지류 가격의 상승폭이 컸다.
  지난해 9월 이후 안정세를 보였던 식량가격지수는 3월과 4월 두 달 연속 하락하였다가 5월에는 소폭 상승하였다.
   * 식량가격지수 : (’17.1월)174.6→(2월)175.5→(3월)171.7→(4월)168.9→(5월)172.6

< 품목군별 식량가격지수 >

 (곡물) ’17년 4월(146.0포인트)보다 1.4% 상승한 148.1포인트 기록

  최근 기상상황 및 교역 활성화가 밀 수출가격을 지탱하였으며, 고품질 인디카종 쌀에 대한 높은 수요로 국제쌀 가격은 6개월 연속 상승하였다. 

  반면, 풍부한 공급으로 인해 옥수수 가격 상승은 제한되었다.

 (유지류) ’17년 4월(161.1포인트)보다 4.7% 상승한 168.7포인트 기록

  유지류 가격 상승은 주로 팜유와 대두유 가격 상승에 따른 영향이며, 팜유 가격은 세계적 수요 증가로, 대두유 가격은 미국의 굳건한 소비 지속 전망에 힘입어 상승하였다. 

  팜유와 대두유 시장에서의 이례적으로 강한 수요가 세계적인 공급 개선 전망에 따른 가격 하락 효과를 상쇄시켰다. 

 (유제품) ’17년 4월(183.6포인트)보다 5.1% 상승한 193.0포인트 기록

  전월 대비 모든 유제품 가격이 상승하였다. 다만, 최근 유제품 가격의 상승세에도 불구하고 2014년 2월의 최고치 대비해서는 여전히 30% 낮은 수준이다.  

  버터의 경우 유럽과 북미의 견고한 내수가 가격 상승을 유인하였고, 탈지분유는 EU의 풍부한 재고로 인해 가격 상승이 제한되었다.

 (육류) ’17년 4월(169.3포인트)보다 1.5% 상승한 171.7포인트 기록

  돼지고기, 양고기, 쇠고기 가격 모두 일제히 상승하였으며 가금육 가격은 안정세를 유지하였다. 
  돼지고기 가격은 견고한 수요로 인해, 쇠고기 가격은 오세아니아의 제한적인 수출 가용량으로 인해 상승하였다. 양고기 가격은 수출량 부족에 따라 3개월 연속 상승하였다.

 (설탕) ’17년 4월(233.3포인트)보다 2.3% 하락한 227.9포인트 기록

  설탕가격 하락은 브라질 중남부에서의 사탕수수 생산량이 예상보다 많았으며, 브라질 통화(Real) 가치가 급락하면서 사탕수수를 국내 바이오 에탄올 원료로 사용하기보다는 수익이 높은 수출로 전환하면서 가격이 하락하였다.

  파키스탄의 수출증가 전망과 중국의 WTO TRQ(tariff-rate quota, 일정물량에 대해 저율관세를 부과하고 이를 초과하는 물량은 고율관세를 부과하는 이중 관세제도) 초과 수입 물량에 대한 고관세 부과 결정은 설탕가격의 추가 하락요인으로 작용하였다.  

< 2017/18년도 세계 곡물 수급 전망 >
 2017/18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은 2,593.7백만톤으로 2016/17년도 대비 0.5%(14.1백만톤)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생산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503백만톤(0.7%↑), 잡곡 1,348(0.1%↓), 밀 743(2.2%↓)

 2017/18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은 2,584.2백만톤으로 2016/17도 대비 0.5%(13.7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소비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506백만톤(1.2%↑), 잡곡 1,350(0.8%↑), 밀 728 (0.4%↓)

 2017/18년도 기말 재고량은 702.5백만톤으로 2016/17년도 대비 0.1%(0.8백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재고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171백만톤(0.2%↓), 잡곡 275(3.1%↓) / 밀 257(4.0%↑)

농업

더보기
농업 과학계 집단지성으로 농업 연구·기술 보급 혁신 방안 모색
융복합 농업기술 개발과 확산을 위해 산·학·관·연이 머리를 맞댔다.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과 5월 1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2025 농업과학 리더스 포럼’을 개최했다. <포럼 안내문> 이번 공개 토론회(포럼)는 한국농업기술진흥원, 농과계 대학, 농업 관련 학회와 연구회, 농업기업과 협회가 집단지성을 발휘해 농촌진흥청 정책 방향인 ‘개방·협력형 연구개발과 기술 확산 혁신’을 지원하는 공론의 장으로 기획됐다. 올해 의제는 ‘기후변화와 농업기술’이다. 기조연설은 ‘기후 위기와 농업의 패러다임 전환’을 주제로 서강대학교 최진석 명예교수가 맡았다. 1부에서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이주량 선임연구위원, 대동에이아이랩 최준기 대표이사, 한국정밀농업연구소 남재작 소장 등 분야별 전문가들이 기후변화 연관 정책, 연구, 현장을 주제로 의견을 나누고 객석에 앉은 참가자들의 질의에 응답하는 시간을 가졌다. 2부에서는 학회, 연구자, 기업 관계들이 △기후변화 적응 생물자원 관리·품종 개발 △탄소중립을 위한 농업환경 관리 △재해 대응 농업 기반 및 기술 등을 주제로 기술 동향과 사례를 발표했다. 이날 현장에는 농업 계열 대학원생을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정식품, 단백질 음료 ‘그린비아 프로틴밀 ACTIVE’ 디지털 광고 영상 공개
오리지널 1등 두유 베지밀 및 국내 최초의 특수의료용도식품 브랜드 그린비아를 생산·판매하는 ㈜정식품(대표 정연호)이 단백질 음료 ‘그린비아 프로틴밀 ACTIVE(액티브)’의 신규 디지털 광고 영상을 공개했다. 이번 광고 영상은 AI 기술을 활용해 제작된 콘텐츠로, 영상에는 ‘그린비아 프로틴밀 ACTIVE’에 함유된 타우린과 아르기닌 성분의 활기찬 에너지로 ‘오늘도, 내일도 오운완(오늘 운동 완료)’이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실제 인물이 아닌 AI로 구현한 가상 인물이 등장해 실제 모델만큼 정교한 인물 표현과 자연스러운 스토리텔링으로 소비자들로부터 ‘진짜 사람인 줄 알았다’는 반응을 얻고 있다. 정식품은 이번 광고 영상 공개와 함께 지난 12일부터 2개월여간 피트니스센터 전문 OOH 기업 어시스트핏(Assistfit)과 협업해 수도권 내 어시스트핏 제휴 피트니스센터 600곳에서 영상을 송출하고 있으며 오는 6월 15일까지 SNS 인증샷 이벤트를 함께 진행한다. 참여 방법은 그린비아 프로틴밀 ACTIVE와 함께 인증샷을 촬영하고 베지밀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을 태그한 뒤, 필수 해시태그를 포함해 개인 계정에 업로드하면 된다. 참여자 중 추첨을 통해 선정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