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3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축산정책

감자 부산물 사료 먹은 한우, 육질·육량 향상

- 1마리당 20만원 소득 증가... 부산물 활용으로 친환경 -

감자 수확 후 버려지는 잎과 줄기 등 부산물로 만든 친환경 사료가 한우 농가의 소득 증가에 보탬이 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전국 6개 농가 한우 148마리를 대상으로 진행한 현장 실증시험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감자 부산물을 먹인 한우의 도체1)등급이 향상되어 1마리당 20만원의 소득증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향상된 등급 성적을 수치로 환산하면 육질 등급은 3.78에서 4.26, 육량 등급은 1.50에서 1.52로 각각 올랐다. 특히 육량등급 평가기준 중 등심단면적은 증가(약 2.4㎠)했고 등지방두께는 감소(약 0.6㎜)했다.

※ 육질: 1++, 1+, 1, 2, 3 → 5, 4, 3, 2, 1 (1++, 1+, 1 등 육질 등급을 수치로 환산), 육량: A, B, C → 3, 2, 1(A, B, C 등 육량 등급을 수치로 환산)

감자 부산물을 말려 열수가공2)한 추출물에 들어있는 '알칼로이드 성분'이 높은 생리활성 효과를 지니고 있어 한우고기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감자 부산물 사료는 국내 최초로 2016년 농촌진흥청에서 개발돼 기술이전 했으며 지난해 4월 6톤이었던 생산량이 12월에는 700톤으로 증가했다.

현재 70개 농가 약 1천 750마리 한우가 이 사료를 먹고 있다.

우리나라 식품회사에서 발생하는 감자 부산물 처리비용은 한 해 약 20억 원(약 480톤)에 이른다. 이에 비춰볼 때 감자 부산물 사료는 부산물 처리 비용 절감과 환경적 측면에서 일거양득의 효과를 지니고 있다.

농촌진흥청 한우연구소 정기용 농업연구사는 “이번 연구는 개발 사료의 생산성 향상 효과를 농가에서 직접 확인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라며 “장기 비육으로 발생하는 한우 육량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실증시험에 참여한 한우농가는 “사료 급여 후 한우고기의 품질이 전반적으로 좋아져 소득에 보탬이 되고 있다.”라고 전했다.

한편, 우리나라 한우(거세) 등급을 보면, 육질 1등급 이상 출현율은 2007년 71.4%에서 2017년 88.2%로 올랐지만, 육량은 오히려 C등급 출현율이 2007년 15.3%에서 2017년 34.4%로 증가해 살코기 양이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

---------------------------
1) 도살한 가축의 가죽, 머리, 발목, 내장 따위를 떼어 낸 나머지 몸뚱이. 
2) 분말을 끓인 후 남은 것을 건조 분말로 만든 것.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소비자와 유통·식품업계가 함께한 등급 꿀 현장 견학 성료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지난 8월 29일, 꿀 등급제도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높이고 등급 꿀 유통을 활성화하기 위한 ‘꿀 등급제 체험 및 교육을 위한 현장 견학’을 진행했다. 이번 행사에는 6개 소비자단체 임원진, △농심 △오뚜기 △올가홀푸드 △동서 △마켓컬리 등 유통·식품업계 관계자, 체험단 등 총 24명이 참여했다. 참가자들은 △청년 양봉농가의 꿀 생산 및 채밀 과정 체험 △꿀 등급판정 참여업체 시설 견학 △규격 검사기관 분석실 견학 △안성 팜랜드 꿀벌 전시관 방문 등 꿀 관련 다양한 과정과 시설을 체험했다. 특히, 등급 꿀로 만든 아이스크림과 꿀 꽈배기 시식 등 꿀을 실제로 경험하는 활동을 통해 꿀 등급제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실제로 교육에 참여한 관계자는 “생생한 현장 견학으로 등급 꿀이 소비자에게 오기까지 얼마나 철저한 관리를 거치는지 알게 되어 신뢰도가 높아졌다”고 말했다. 참가자들의 다양한 후기는 체험단 블로그 및 인스타그램과 방송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참여하지 않은 국민도 꿀 등급제를 간접 체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축산물품질평가원에서는 지난 8월 27일부터 꿀 등급제와 벌의 가치를 미래 세대와 공유하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