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회소식

한국과학기술원(KAIST) 내 농업연구 0.3%에 불과

 

-올해 농업분야 6개 과제 8.6억 투입 으로 전체대비 0.3%-

-과제당 연구비도 1.9억>1.5억>1.4억으로 매년 낮아지는 추세-

-농업부분 연구 확대 노력해야-

 

 

한국과학기술원(KAIST)내 연구에서 농업부문에 대한 홀대가 심각한 것으

로 드러났다.

 

이개호의원 (더불어민주당 담양함평영광장성)이 KAIST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간 18개 분야별 연구현황에 따르면 2017년 1,929개 과제 3,058억원, 2018년 1,919개 과제 3,243억원, 올해는 9월까지 1,768개 과제에 3022억원의 연구비가 투입되어 매년 2천여 건의 과제 연구에 3천억원 이상의 연구가 KAIST에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기준으로 가장 과제 수 비중이 높은 3개 분야는 ▲산업생산 및 기술 ▲에너지 ▲건강분야로서 743개 과제 연구로 전체의 43%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구비는 상위 3개 분야인 ▲산업생산 및 기술 ▲건강 ▲순수기초분야에 1,215억이 투입되어 전체의 40.2%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반면에 농업관련 연구는 2017년 6개 과제(9.4억), 2018년 7개 과제(10.5억), 2019년은 6개 과제(8.6억)로 전체 과제수 대비 0.26%, 0.36%, 0.34%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비 비율로는 0.3%, 0.32%, 0.29%를 기록하여 KAIST 내에서 농업분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과제당 연구비의 경우 전체 과제당 연구비는 2017년 1.59억, 2018년 1.69억, 2019년 1.71억으로 소폭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농업부문의 경우 1.9억, 1.5억, 1.4억으로 매년 과제당 연구비가 오히려 뒷걸음질 치고 있는 실정이어서 농업분야연구 양적, 질적 확대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구분

2017

2018

2019.9월 현재

과제

연구비

(백만원)

과제

연구비

(백만원)

과제

연구비

(백만원)

건강

217

40,766

233

39,765

227

40,736

교육

19

2,518

29

3,684

25

6,844

교통/전기통신 등

38

7,557

55

9,496

57

10,660

국방

41

11,995

27

4,359

25

2,768

농업

5

940

7

1,050

6

864

문화/종교/매스컴 등

24

2,268

24

2,179

17

2,158

사회구조 및 관계

4

659

6

616

6

408

산업생산 및 기술

334

47,164

333

54,902

304

49,030

소프트웨어

2

2,460

1

2,370

1

2,350

순수기초(non-oriented)

202

31,046

194

33,511

188

31,753

에너지

214

32,611

223

32,487

212

30,903

우주개발 및 탐사

35

9,792

27

8,538

33

9,933

이론연구

77

8,804

89

20,524

108

19,536

정치/사회시스템

7

169

7

198

14

652

지구개발 및 탐사

7

633

3

430

6

535

건축/하부구조/토양

2

106

5

262

10

932

환경

75

9,099

70

9,081

72

9,677

기타

626

97,265

586

100,917

457

82,468

총 합계

1,929

305,860

1,919

324,377

1,768

302,214

                                   <최근3년간 KAIST 분야별 연구현황>              *KAIST 제출자료

 

 

이개호의원은 한국과학기술원, KAIST는 고급과학기술인재 양성을 주 목적으로 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국가정책적인 연구개발, 다른 산업계에 대한 연구개발 지원도 중요한 역할이라면서, “농업부분에 대한 연구를 확대하여 과도하게 불균형한 현재의 상황을 극복해나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국제학술대회에서 ‘스마트 혁신과 식품안전’ 연구 성과를 공유하다!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은 8월 27일(수)부터 29일(금)까지 여수 디오션리조트에서 진행되는 ‘2025년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국제학술대회’에 참가하여 분과를 운영한다. 해썹인증원은 식품 가공, 유통, 저장과 관련된 사업성과 및 식품안전 연구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매년 다양한 식품 관련 학술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이번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는 ‘스마트 혁신과 식품안전: 차세대 기술이 만드는 새로운 표준’을 주제로 8월 28일(목) 오후 4시 30분부터 디오션리조트 그랜드볼룸AB에서 분과를 진행한다. 주요 내용은 ▲스마트 식품안전을 위한 딥러닝 기반 신속 병원균 검출 플랫폼(고려대학교 박현우 교수) ▲4차 산업 기술을 활용한 식품특화 스마트센서 개발 연구(해썹인증원 박정일 팀장) ▲스마트 해썹 선도모델 구축 사례(CJ제일제당 고지혜 팀장)이며, 좌장은 해썹인증원 홍진환 인증사업이사가 맡는다. 홍진환 인증사업이사는 “해썹인증원은 식품안전관리 기술을 업체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과 스마트해썹 플랫폼 고도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라며, “이번 분과 운영은 스마트 혁신을 기반으로 한 식품안전관리 기술을 알리는 좋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