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8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회소식

지방 공무원 연간 시간외근무수당, 4인가구 재난지원금 100만원의 최대 7배

- 충남도청 공무원, 매일 2시간 이상 시간외 근무하고 매년 650여만원 더 받아가
한정애 “근무시간 단축이라는 시대적 변화에 역행, 철저한 관리·감독 이뤄져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국회의원(서울 강서병, 정책위원회 의장)이 인사혁신처와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지방자치단체 소속 공무원에게 지급한 시간외근무수당이 1인당 최대 650여 만원에 달했다. 이는 올해 5월 전국민을 대상으로 지급된 긴급재난지원금 100만원(4인 가구 기준)의 7배에 가까운 금액이다.

 

지난해를 기준으로 1인당 연평균 가장 많은 시간외근무수당을 지급 받은 지자체는 충청남도로 650여 만원이었고, 가장 적은 지자체는 147여 만원인 강원도 정선군으로 두 곳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은 같은 지방공무원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수령한 시간외근무수당은 4배 이상 차이가 났다. 수당 지급 규모로도 충청남도가 약 118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시 송파구가 약 115억원, 전라북도가 약 111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2019년 지자체 소속 공무원 시간외근무수당 지급 현황 (1인당 연평균 지급액 상위 10곳)>

순위

자치

단체명

총 지급액(원)

근무시간

1인당 연평균

1인당 월평균

지급액(원)

근무시간

지급액(원)

근무시간

1

충남본청

11,839,555,870

1,020,739

6,559,310

565

546,609

47

2

서울송파

11,567,209,350

943,779

6,317,427

515

526,452

43

3

전북본청

11,124,535,240

823,572

5,818,270

430

563,780

41

5

전북남원

5,978,528,540

473,487

5,571,780

441

515,920

40

6

경북영천

5,493,086,740

413,431

5,537,385

416

461,448

34

7

경북구미

8,810,134,710

706,490

5,506,330

441

522,850

41

8

전북정읍

6,483,822,070

511,056

5,480,830

432

511,900

40

9

충남서천

3,563,865,980

270,912

5,438,940

414

453,245

34

10

서울광진

7,716,836,090

610,660

5,381,336

426

448,445

35

10

서울중랑

8,756,041,700

701,293

5,361,936

429

446,828

36

 (자료: 행정안전부)

 

특히, 1인당 월평균 시간외 근무시간은 최소 11시간(전남 구례군)에서 최대 47시간(충청남도)에 달하는 등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공무원 복무규정」에 따르면 공무원의 1주간 근무시간은 40시간을 원칙으로 하며, 「지방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15조에는 규정된 근무시간 외에 근무한 사람에게 시간외근무 수당을 최대 57시간 이내로 지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같은 과도한 시간외근무와 수당지급은 매년 비슷하게 반복되어온 일이었다. 충청남도, 서울 송파구, 서울 광진구, 서울 중랑구, 경북 구미시, 전북 남원시, 경북 영천시 등의 지자체는 2018년에도 1인당 연평균 지급액 상위 10곳에 올랐다. 근무시간과 지급액수도 올해와 크게 차이가 없었다. 시간외근무수당 지급이 공무원들 사이에 관행적으로 이뤄져온 것으로 보인다.

 

<2018년 지자체 소속 공무원 시간외근무수당 지급 현황 (1인당 연평균 지급액 상위 10곳)>

순위

자치

단체명

총 지급액(원)

근무시간

1인당 연평균

1인당 월평균

지급액(원)

근무시간

지급액(원)

근무시간

1

충남본청

11,222,441,420

1,009,147

6,412,823

576

534,401

48

2

서울송파

10,459,522,860

861,331

6,113,105

503

509,425

42

3

서울강동

7,917,243,960

652,383

5,779,010

476

481,584

40

4

서울광진

7,558,967,650

614,623

5,641,021

459

470,085

38

5

경북구미

8,669,176,320

714,998

5,564,290

458

516,570

42

6

전북남원

5,832,994,140

471,804

5,560,520

449

511,170

41

7

서울강남

8,807,069,550

704,481

5,553,007

444

462,751

37

8

경북영천

5,223,631,950

395,666

5,545,256

420

462,104

35

9

서울중랑

8,505,257,120

700,159

5,544,496

456

462,041

38

10

서울성동

7,415,906,800

602,926

5,517,788

449

459,816

37

(자료: 행정안전부)

 

한편, 중앙부처에 근무하는 국가공무원의 시간외근무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치안과 안전이라는 업무 특성상 전통적으로 시간외근무가 많은 경찰청과 해양경찰청, 소방청이 나란히 상위권을 차지했으며, 뒤이어 재정과 예산을 총괄하는 주무부처인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가 1인당 연평균 지급액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국가공무원 시간외근무수당 지급 현황 (1인당 연평균 지급액 상위 5곳) >

순위

부처명

총 지급액(천원)

1인당 연평균 지급액(천원)

1인당 월평균

근무시간

1

경찰청

288,407,368

6,500

40.1

2

해양경찰청

18,903,727

5,840

34.6

3

소방청

1,630,450

5,731

28.2

4

기획재정부

4,357,725

5,680

26.4

5

금융위원회

1,177,474

4,205

22.2

(자료: 인사혁신처)

 

지난해 경찰청과 해양경찰청에 시간외근무수당으로 각각 2,884억 736만원, 189억 372만원이 지급됐다. 1인당 월평균 각각 40.1시간, 34.6시간의 시간외근무를 하고 연간 650만원, 584만원을 받은 것이다. 이어 소방청은 1인당 월평균 34.6시간의 시간외근무를 하고 연간 573만원을 받아가 총 지급액이 16억 3,045만원이었고,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에 각각 43억 5,772만원, 11억 7,747만원이 지급되어 1인당 연간 568만원, 420만원을 수당으로 더 받아갔다.

 

2018년 인사혁신처는 2022년까지 공무원의 초과 근무시간을 40% 감축하고 연가를 100% 소진하도록 하는 ‘정부기관 근무혁신 종합대책’을 내놓고 여러 차례 관련 규정 개선을 통해 시간외 근무시간과 예산을 감축하려 했으나 실질적인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당한 방법을 통해 시간외근무 수당을 부정수령하는 사례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올해 6월 경북 김천시 공무원들이 지문인식 카드를 근무자에게 맡기거나 출·퇴근 대리 등록을 하는 등의 수법을 활용해 시간외근무수당을 부당하게 수령한 사례가 감사원 감사를 통해 적발되었고, 8월에는 경기도가 자체감사를 통해 당직 근무시 시간외 근무를 등록해 수당을 부정하게 수령한 도청 소속 공무원을 징계했다.

 

한 의원은 “주52시간제를 통한 우리 사회 노동시간 단축이 새로운 변화로 자리 잡고 있는 상황에서 공무원들의 과도한 시간외 근무는 정부 정책에도 역행하는 문제”라며 ”주무부처인 행정안전부가 공무원의 업무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동시에 적극적인 관리·감독을 통해 부정 수령 사례를 철저하게 단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농업

더보기
농업 현장, AI 기술 접목으로 데이터 수집과 활용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9월 23일(화) 오후, 경북 상주시 스마트팜 혁신밸리 내 실증 온실에서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스마트농업데이터 수집 및 활용 서비스에 대한 시연회를 개최했다. 이번 시연회는 AI를 활용한 스마트농업데이터 서비스 실증 지원 사업*을 소개하고, 지원을 통해 상용화가 되었거나 예정된 서비스를 실제 현장에서 구현해 봄으로써 기술 수준 및 해당 서비스의 현장 보급 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행사에는 스마트농업에 관심 있는 청년 농업인 및 스마트팜 기업, 솔루션·농자재 업체, 재배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 스마트농업데이터 서비스 실증 지원 사업 개요 : 데이터 및 AI를 적용한 스마트농업 서비스의 현장 실증 및 모델 고도화, 사업화 관련 비용 지원(’23~) 농식품부는 지역의 스마트팜 우수농가 및 스마트팜 혁신밸리,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단지 등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스마트농업 빅데이터 플랫폼(smartfarmkorea.net)에 연계하여 수집하고 이를 개방하고 있다. 아울러,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활용할 수 있도록 AI를 적용한 서비스에 대한 실증사업도 ’23년부터 적극 지원해 오고 있다. 시

축산

더보기
한우 생산혁신 멘토단 본격 운영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한우 사육기간 단축의 일환으로 9월 26일(금) 오전 충남 천안시 소재 상록리조트에서 ‘한우 생산혁신 멘토∙멘티단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지난 4월 출범한 멘토단 16명과 농협경제지주∙축산물품질평가원∙멘토단 등이 논의하여 지난 8월 선발한 멘티단 88명 등을 대상으로 정부의 ‘소 사육방식 개선 방안’ 관련 정책방향과 멘토∙멘티단 운영 계획 등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진다. 향후 한우 생산혁신 멘토단은 후계농과 창업농 등으로 구성된 멘티를 대상으로 농장을 직접 찾아가 암소개량부터 사양기술 및 축사 환경 관리 요령 등을 1:1 개별 멘토링하게 되며, 멘토단과 멘티단이 간담회 방식으로 모여 각종 경험과 기술적 노하우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5~10명 규모의 지역 단위 소규모 학습조직도 별도로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이번 워크숍을 계기로 멘토∙멘티단 운영이 본 궤도에 올라 한우 사육기간 단축 기술과 노하우가 일선 농가들에게 빠르게 전수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생산비 절감을 통한 농가의 수익성 제고 및 한우 소비자가격 합리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농식품부는 한우산업 중장기 경쟁력 강화

식품

더보기
“계절의 맛을 담은 가을 한우 미식” 한우자조금, 제철 과일과 즐기는 한우 이색 레시피 공개
가을은 오감을 만족시키는 미식의 계절이다. 따사로운 햇살을 머금고 무르익은 제철 과일은 그 자체로도 달콤하고 향긋하지만, 깊고 풍부한 맛의 한우와 만나면 더욱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부드러운 한우와 아삭한 과일이 어우러진 이색 조합은 건강과 풍미를 동시에 살리며, 계절이 전하는 낭만까지 식탁 위에 담아낸다. 이에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 이하 한우자조금)는 가을철 제철 과일과 한우가 조화를 이루는 이색 레시피를 소개한다. ◆ 무화과와 한우 안심, 담백하게 완성한 가을의 맛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무화과는 은은한 단맛과 부드러운 식감으로 한우 안심의 담백함을 돋운다. 짧은 수확기로 인해 ‘가을의 보석’이라 불리는 무화과는 초가을 미식을 대표하는 과일로, 상징적 의미도 크다. 먼저 무화과를 4등분하여 190℃로 예열한 오븐에서 약 10분간 가볍게 구워 향을 살리고, 한우 안심은 소금·후추·올리브오일을 뿌려 겉면만 빠르게 구운 뒤 얇게 썬다. 접시에 루꼴라를 깔고 구운 무화과와 얇게 썬 한우 안심을 올린 다음, 그라나 파다노 치즈를 얇게 깎아 얹고 발사믹 글레이즈로 마무리하면 고소함과 감미로움이 균형을 이루는 가벼운 가을 한 접시가 완성된다. 과일의 산

산림

더보기
누구나 즐기는 숲속 요리체험, ‘휴레스토랑’ 개최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23일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소재 피노키오자연휴양림에서 청각장애인 24명이 참여한 가운데 산림문화 행사인 <누구나 즐기는 숲속 체험 ‘휴레스토랑’>을 개최했다. ‘휴레스토랑’은 참가자들이 표고버섯, 취나물 등 국산 임산물을 이용하여 음식을 만들어 먹으며 휴양림의 자연을 만끽하도록 설계된 국립자연휴양림의 대표적인 산림 문화 프로그램이다. 이날 행사는 (사립)피노키오자연휴양림과 협업으로 이뤄졌으며, 청각장애인과 함께 진행하는 프로그램인 만큼 테이블마다 요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 안내문을 비치하였고, 지역 수어 통역센터에서 파견된 수어 통역사가 함께해 원활한 의사소통을 도왔다.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지난 5월, 전북 진안의 (공립)데미샘자연휴양림과 협력해 청각장애인 대상 ‘휴레스토랑’을 한차례 진행한 바 있으며, 오는 30일에도 국립진도자연휴양림에서 동일 행사를 운영할 예정이다. 특히, 국립진도자연휴양림은 점자 안내와 수어 영상이 포함된 ‘수어숲해설 안내판’을 갖추어 시·청각장애인 모두가 제약 없이 숲해설을 즐길 수 있는 휴양림이다. 김판중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산림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장애인들이 더 자주, 더 편안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