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회소식

100조원대 조달시장 지역업체 참여율은 55%로 저조

- 지난해 나라장터 이용액 102조원 중 지역업체 수주액 56조원 -
-지역업체 참여율 2016년 51.3%에서 54.9%로 소폭상승 -
- 경기도 66.6% 대비 세종시 10.4%로 지역별 차등 -

나라장터를 통한 국내 조달시장 규모가 100조원대로 성장하고 있지만 지역업체 참여는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김태흠의원(국민의힘, 충남 보령 ․ 서천)이 조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 나라장터를 통한 거래는 총230만건으로 102조원 규모에 달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에서 발주된 계약이 24만건으로 15조원 규모(14.7%)였고 ‘경기도’가 50만건, 14조9천억원(14.5%), ‘경상북도’ 18만건 7조3천억원(7.2%) 순이었다.

 

시도별 발주 계약에 해당 지역 업체들이 참여하는 비율은 총조달액 102조원 중 56조4천억원으로 54.9%였다. 지역업체 참여율은 2016년 51.3% 대비 3.5% 가량 소폭 올라갔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전체 계약액 15조원 중 10조원을 지업업체가 따내 66.6%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전남도’가 65.6%, ‘서울시’ 63.6% 등으로 참여율이 상대적으로 나았다.

 

하지만 ‘세종시’의 경우 지난해 2만7천건의 계약으로 3조8천억원을 발주했는데 지역 업체가 참여한 경우는 5천454건, 3천967억원으로 10% 수준에 그쳤다. ‘대전’도 지역 참여율이 25.2%, ‘인천’ 38.2% 등으로 낮았다.

 

김태흠의원은 “공공조달사업에서 지역제한입찰 등으로 지역업체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 애쓰고 있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며 “조달사업의 균형적 배분과 지역업체 참여의 활성화를 통해 지역경제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라고 말했다.

 

2019년도 조달사업 현황(단위: 건, %, 억원)

구분

2019년

지역별 수요기관 실적

해당 소재지 업체 실적

건수

비중

금액

비중

서울특별시

241,182

10.4

150,903.4

14.7

경기도

499,255

21.6

149,591.4

14.5

경상북도

181,756

7.9

73,721.7

7.2

경상남도

180,794

7.8

69,085.1

6.7

전라남도

169,659

7.3

66,316.9

6.4

강원도

156,311

6.8

63,562.7

6.2

대전광역시

67,387

2.9

63,340.1

6.2

부산광역시

88,631

3.8

57,465.2

5.6

전라북도

117,893

5.1

55,302.0

5.4

인천광역시

87,300

3.8

50,590.9

4.9

충청남도

159,393

6.9

50,132.4

4.9

충청북도

117,040

5.1

45,971.5

4.5

세종특별자치시

27,645

1.2

38,255.9

3.7

대구광역시

78,786

3.4

33,264.4

3.2

제주특별자치도

44,819

1.9

23,723.4

2.3

광주광역시

44,222

1.9

18,832.0

1.8

울산광역시

46,426

2.0

18,280.4

1.8

전체

2,308,499

100.0

1,028,339

100.0

 

 

2016년 대비 2019년도 조달사업 지역업체 참여 현황(단위: 건, %, 억원)

구분

2016년

2019년

지역별 수요기관 실적

해당 소재지 업체 실적

지역별 수요기관 실적

해당 소재지 업체 실적

건수

건수

비중

금액

금액

비중

건수

건수

비중

금액

금액

비중

경기도

377,420

268,935

71.3

107,002.4

65,955.5

61.6

499,255

349,801

70.1

149,591.4

99,585.8

66.6

전라남도

119,706

58,589

48.9

52,802.8

29,533.4

55.9

169,659

94,111

55.5

66,316.9

43,532.0

65.6

서울특별시

183,590

97,560

53.1

107,338.2

69,982.7

65.2

241,182

126,443

52.4

150,903.4

96,045.3

63.6

경상남도

129,092

65,444

50.7

50,790.1

30,142.0

59.3

180,794

98,587

54.5

69,085.1

43,544.2

63.0

강원도

112,867

68,042

60.3

51,425.5

29,086.4

56.6

156,311

95,528

61.1

63,562.7

38,994.3

61.3

경상북도

129,362

60,756

47.0

58,824.8

32,313.2

54.9

181,756

101,434

55.8

73,721.7

44,908.3

60.9

전라북도

85,728

50,402

58.8

42,984.1

23,641.5

55.0

117,893

69,004

58.5

55,302.0

33,534.0

60.6

충청남도

114,428

61,924

54.1

38,592.3

22,825.9

59.1

159,393

87,253

54.7

50,132.4

30,107.6

60.1

충청북도

86,398

46,089

53.3

33,838.8

18,967.6

56.1

117,040

62,326

53.3

45,971.5

27,297.3

59.4

제주특별자치도

31,169

13,598

43.6

20,217.6

9,006.1

44.5

44,819

19,537

43.6

23,723.4

12,377.2

52.2

광주광역시

32,623

12,528

38.4

12,235.7

5,277.6

43.1

44,222

17,878

40.4

18,832.0

9,633.8

51.2

울산광역시

36,283

15,921

43.9

17,192.9

7,374.1

42.9

46,426

19,967

43.0

18,280.4

8,653.1

47.3

대구광역시

62,818

29,168

46.4

26,761.9

12,821.2

47.9

78,786

34,720

44.1

33,264.4

14,223.6

42.8

부산광역시

71,532

35,509

49.6

46,883.3

20,263.5

43.2

88,631

45,649

51.5

57,465.2

23,246.1

40.5

인천광역시

59,969

28,792

48.0

40,117.5

10,904.9

27.2

87,300

41,101

47.1

50,590.9

19,304.4

38.2

대전광역시

53,648

15,856

29.6

44,299.5

9,933.5

22.4

67,387

20,657

30.7

63,340.1

15,945.2

25.2

세종특별자치시

22,859

3,934

17.2

29,410.4

2,755.3

9.4

27,645

5,454

19.7

38,255.9

3,967.2

10.4

 

1,709,492

933,047

54.6

780,718

400,784

51.3

2,308,499

1,289,450

55.9

1,028,339

564,899

54.9



 


농업

더보기
농업 현장, AI 기술 접목으로 데이터 수집과 활용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9월 23일(화) 오후, 경북 상주시 스마트팜 혁신밸리 내 실증 온실에서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스마트농업데이터 수집 및 활용 서비스에 대한 시연회를 개최했다. 이번 시연회는 AI를 활용한 스마트농업데이터 서비스 실증 지원 사업*을 소개하고, 지원을 통해 상용화가 되었거나 예정된 서비스를 실제 현장에서 구현해 봄으로써 기술 수준 및 해당 서비스의 현장 보급 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행사에는 스마트농업에 관심 있는 청년 농업인 및 스마트팜 기업, 솔루션·농자재 업체, 재배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 스마트농업데이터 서비스 실증 지원 사업 개요 : 데이터 및 AI를 적용한 스마트농업 서비스의 현장 실증 및 모델 고도화, 사업화 관련 비용 지원(’23~) 농식품부는 지역의 스마트팜 우수농가 및 스마트팜 혁신밸리,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단지 등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스마트농업 빅데이터 플랫폼(smartfarmkorea.net)에 연계하여 수집하고 이를 개방하고 있다. 아울러,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활용할 수 있도록 AI를 적용한 서비스에 대한 실증사업도 ’23년부터 적극 지원해 오고 있다. 시

축산

더보기
한우 생산혁신 멘토단 본격 운영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한우 사육기간 단축의 일환으로 9월 26일(금) 오전 충남 천안시 소재 상록리조트에서 ‘한우 생산혁신 멘토∙멘티단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지난 4월 출범한 멘토단 16명과 농협경제지주∙축산물품질평가원∙멘토단 등이 논의하여 지난 8월 선발한 멘티단 88명 등을 대상으로 정부의 ‘소 사육방식 개선 방안’ 관련 정책방향과 멘토∙멘티단 운영 계획 등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진다. 향후 한우 생산혁신 멘토단은 후계농과 창업농 등으로 구성된 멘티를 대상으로 농장을 직접 찾아가 암소개량부터 사양기술 및 축사 환경 관리 요령 등을 1:1 개별 멘토링하게 되며, 멘토단과 멘티단이 간담회 방식으로 모여 각종 경험과 기술적 노하우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5~10명 규모의 지역 단위 소규모 학습조직도 별도로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이번 워크숍을 계기로 멘토∙멘티단 운영이 본 궤도에 올라 한우 사육기간 단축 기술과 노하우가 일선 농가들에게 빠르게 전수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생산비 절감을 통한 농가의 수익성 제고 및 한우 소비자가격 합리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농식품부는 한우산업 중장기 경쟁력 강화

식품

더보기
“계절의 맛을 담은 가을 한우 미식” 한우자조금, 제철 과일과 즐기는 한우 이색 레시피 공개
가을은 오감을 만족시키는 미식의 계절이다. 따사로운 햇살을 머금고 무르익은 제철 과일은 그 자체로도 달콤하고 향긋하지만, 깊고 풍부한 맛의 한우와 만나면 더욱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부드러운 한우와 아삭한 과일이 어우러진 이색 조합은 건강과 풍미를 동시에 살리며, 계절이 전하는 낭만까지 식탁 위에 담아낸다. 이에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 이하 한우자조금)는 가을철 제철 과일과 한우가 조화를 이루는 이색 레시피를 소개한다. ◆ 무화과와 한우 안심, 담백하게 완성한 가을의 맛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무화과는 은은한 단맛과 부드러운 식감으로 한우 안심의 담백함을 돋운다. 짧은 수확기로 인해 ‘가을의 보석’이라 불리는 무화과는 초가을 미식을 대표하는 과일로, 상징적 의미도 크다. 먼저 무화과를 4등분하여 190℃로 예열한 오븐에서 약 10분간 가볍게 구워 향을 살리고, 한우 안심은 소금·후추·올리브오일을 뿌려 겉면만 빠르게 구운 뒤 얇게 썬다. 접시에 루꼴라를 깔고 구운 무화과와 얇게 썬 한우 안심을 올린 다음, 그라나 파다노 치즈를 얇게 깎아 얹고 발사믹 글레이즈로 마무리하면 고소함과 감미로움이 균형을 이루는 가벼운 가을 한 접시가 완성된다. 과일의 산

산림

더보기
누구나 즐기는 숲속 요리체험, ‘휴레스토랑’ 개최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23일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소재 피노키오자연휴양림에서 청각장애인 24명이 참여한 가운데 산림문화 행사인 <누구나 즐기는 숲속 체험 ‘휴레스토랑’>을 개최했다. ‘휴레스토랑’은 참가자들이 표고버섯, 취나물 등 국산 임산물을 이용하여 음식을 만들어 먹으며 휴양림의 자연을 만끽하도록 설계된 국립자연휴양림의 대표적인 산림 문화 프로그램이다. 이날 행사는 (사립)피노키오자연휴양림과 협업으로 이뤄졌으며, 청각장애인과 함께 진행하는 프로그램인 만큼 테이블마다 요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 안내문을 비치하였고, 지역 수어 통역센터에서 파견된 수어 통역사가 함께해 원활한 의사소통을 도왔다.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지난 5월, 전북 진안의 (공립)데미샘자연휴양림과 협력해 청각장애인 대상 ‘휴레스토랑’을 한차례 진행한 바 있으며, 오는 30일에도 국립진도자연휴양림에서 동일 행사를 운영할 예정이다. 특히, 국립진도자연휴양림은 점자 안내와 수어 영상이 포함된 ‘수어숲해설 안내판’을 갖추어 시·청각장애인 모두가 제약 없이 숲해설을 즐길 수 있는 휴양림이다. 김판중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산림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장애인들이 더 자주, 더 편안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