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회소식

“소진공의 ‘성공불융자지원사업’, 필요액의 20%에 불과 자영업 현실과 동떨어져’”

- 강훈식 국회 산자중기위 의원, 22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제출 국정감사 자료
- 평균 창업비용 1억 300만원인데, 재창업 지원 ‘성공불융자’ 최대 2000만원 한도
- 강훈식 “사업 실패로 재창업 추진하는 저신용 창업자들에겐 무용지물인 정책”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소진공)에서 추진 중인 ‘재창업패키지’ 중 재창업을 위한 정책자금 지원이 최대 2000만원에 불과해, 재창업을 희망하는 소상공인에겐 사실상 무용지물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강훈식 의원(더불어민주당, 충남아산을)이 22일 소진공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중소벤처기업부는 올해 처음으로 ‘성공불융자’라는 이름의 재창업지원자금을 500개 업체에 한도 2000만원으로 지원할 계획인 것으로 밝혀졌다.

 

 문제는 중기부 자체 통계로도 자영업자 평균 창업비용이 1억300만원(2018년 기준)에 달한다는 점이다. 

 

 통계청의 2019년 소상공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소상공인 필요 지원사업 1위로 소상공인 자금대출(33%)이 꼽혔다. 

 

 그러나 소진공의 성공불융자 지원 사업은 이미 한번 또는 두 차례 이상의 사업 실패로 다액의 채무를 지고 신용도가 낮아진 재창업 희망자들이 재창업패키지를 이수하고 그 연계자금으로 지원받는 금액이다.

 

 실제로 재창업패키지에 지원한 자들의 연령대를 보면, 40대 이상이 전체 1만 6000명 중 1만3000명으로 80%에 달했다.

 

 사실상 금융기관에서 추가 자금을 융통하기 어려운 폐업(예정)자들에게 평균 재창업비용의 20%에 불과한 금액을 지원하는 것은 사실상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반면, 재창업비용 지원 외에 중기부와 소진공에서 추진중인 소상공인 재기지원 사업은 재창업 관련 교육과 멘토링 정도다. 

 

 결국 중기부와 소진공의 ‘성공불융자’ 지원을 받는다 하더라도 창업을 위한 필수 자금이 부족해 사업을 애초에 시작하지 못하거나, 부실한 상태로 사업을 진행할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강훈식 의원은 “저신용 재창업희망자들을 위한 재창업비용을 지원하는 제도가 신설된 것은 환영하나, 평균 창업비용의 5분의 1수준의 지원금은 사실상 자영업 현실과는 동떨어진 정책운영이라 보이는 만큼, 사업의 재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재창업패키지 지원자 연령(`15년~`20년.9월말)(단위 : 명)

구분

지원인원

지원연령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2015

589

28

110

231

181

39

2016

3,002

123

369

869

1,022

619

2017

2,608

78

334

748

959

489

2018

2,984

48

319

1,048

1,071

498

2019

5,214

138

682

1,550

1,825

1,019

2020(9월말)

1,201

45

159

414

409

174

 * 재창업교육 수료생 기준, 출처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내 손으로 만드는 축산유통 서비스 …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축산유통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축산 유통 서비스 혁신을 위해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축산유통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소비자, 축산업 종사자, 학계, 대학생 등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대국민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공모한다. 공모 주제는 기획 분야와 자율 분야로 구분된다. 기획 분야는 축산유통 디지털화와 스마트 축산 활성화 등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 분야는 품질 평가, 이력제도, 축산유통, 정책 지원, 상생협력 및 지역 발전 등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 전반을 주제로 의견을 공모해 국민이 가진 다양한 축산 유통 관련 의견을 경청한다. 접수 방법은 두 가지이다. 기획안은 구글 폼과 전자 우편으로, 영상(쇼트 폼)은 전자 우편으로 접수할 수 있다. 구글 폼은 포스터 내 정보무늬(큐알코드)와 누리집을 통해 바로 접속 가능하다. * 2025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전자 우편 주소: ekape@kois.co.kr 축산물품질평가원은 6월 30일까지 접수된 내용들을 1차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경인지원,스마트 해썹 확산을 위한 견학 프로그램 운영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경인지원은 5월 29일(목)에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와 협력하여 인천 지역의 중소 식품제조업체 25개소를 대상으로 스마트 해썹 현장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번 현장 견학 프로그램은 스마트 해썹 등록업체인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을 직접 방문하여 스마트 해썹 시스템의 운영 사례와 효과를 현장에서 체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은 최첨단 생산설비를 갖추고 볶음김치, 냉동나물을 생산하는 업체로서 ▲공정별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이력추적 ▲설비 자동 제어 등 디지털 기반 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한 대표적인 스마트 해썹 등록 업체이다. 견학에 참가한 업체들은 기존 해썹에서 스마트 해썹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성과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견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업체 관계자는 “생산 및 관리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전송되는 스마트 해썹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품질을 점검하는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 향후 스마트 해썹 도입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 김정희 센터장은 “관내 식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