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4 (화)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식품

2020년 국내 펫푸드 수출액 전년 대비 83.5% 증가

펫푸드 시장 현황 보고서 발간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이병호)는 「펫푸드 시장 현황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이번 보고서는 펫푸드의 생산·출하 실적, 수출입 현황, 유통 및 판매구조, 소비자 동향 및 트렌드 등을 담고 있다.

 

 동 보고서에서 펫푸드는 반려를 목적으로 기르는 개, 고양이, 햄스터 등 반려동물의 주식 및 간식을 포함한 모든 먹이를 의미하며, 양축용 사료와는 차별적으로 소비되는 반려동물용 사료를 의미한다.

 

 (양육현황) 핵가족화, 1인 가구 증가로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19년 기준 반려가구는 전체 가구의 26.4%인 591만 가구로 추정된다. 

 

 반려동물 종류는 반려견이 83.9%, 반려묘가 32.8%, 어류/열대어가 2.2%를 차지했다.

 

(단위: 가구, 마리, %)

구분

2010년

2012년

2015년

2017년

2018년

2019년

반려가구

3,456,541

3,617,907

4,580,431

6,078,831

5,244,178

5,908,580

반려견

4,615,198

4,397,275

5,126,127

6,620,342

5,072,272

5,984,903

반려묘

628,689

1,158,932

1,897,137

2,329,693

1,280,400

2,579,186

반려동물 양육 응답자율

17.4

17.9

21.8

28.1

23.7

26.4

※ 농림축산식품부. 연도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1) 표본수 등 조사 설계가 연도별로 상이해, 결과 해석에 유의해야 함

 

 (생산실적) 펫푸드 생산량*은 2019년 109,781톤으로 전년 대비 16.4% 증가했고 ‘17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 생산실적은 농식품부 배합사료 생산실적 중 애완동물(관상용 어류 제외) 기준

 

 반려견 사료는 63,956톤(전체 펫푸드의 58.3%)으로 전년 대비 5.3% 증가, 반려묘 사료는 45,784톤(전체 펫푸드의 41.7%)으로 전년 대비 36.5% 증가했다.

 

 모든 종류의 반려동물 사료 생산량이 증가한 가운데 반려묘 사료가 최근 큰 폭으로 증가했는데, 이는 1인 가구 증가로 상대적으로 관리가 용이한 반려묘를 양육하는 가정이 증가한 것에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단위: 톤)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1~10월)

반려견

63,445

60,729

63,956

59,967

반려묘

27,999

33,535

45,784

49,195

기타

14

29

41

29

합계

91,458

94,293

109,781

109,191

※ 농림축산식품부, 배합사료 생산실적

 

 (수출입 현황) 2020년 펫푸드 수출액은 6,749만 달러로 전년 대비 83.5% 증가했으며, 총 수입액은 2억 7,073만 달러로 11.9% 증가했다. 최근 수출액이 크게 증가하며 국산 펫푸드의 경쟁력도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수출입 실적 : 반려견 사료와 반려묘 사료를 합한 사료용 조제품(HS2309) 기준

 

 특히, 국내 주요 제조사가 제조공장을 증축하고 본격적으로 국내 및 글로벌 시장 진출에 나서면서 ’19년부터 일본 및 동남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수출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되었다. 

 

 국가별 펫푸드 수출액은 일본이 2,455만 달러로 전체 수출액의 36.4%를 차지했고, 이어서 태국 17,795만 달러(26.4%), 베트남 5,683만 달러(8.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단위: 천 달러)

구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수출액

합 계

13,517 

 12,703 

 14,500 

36,784 

67,490

 - 일본

 9,618 

 7,578 

8,271 

 23,132 

24,548

 - 태국

64 

33 

 3 

4,394 

17,795

 - 베트남

  257 

1,046 

1,571 

2,372 

5,683

수입액

합 계

171,329 

209,874 

238,926 

242,023 

270,732

 - 중국

49,448 

58,848 

65,695 

73,117 

84,015

 - 미국

41,891 

48,644 

50,425 

55,079 

61,038

 - 캐나다

4,254

9,598

13,527

13,084

18,186 

* 수출입무역통계, 관세청(2020.11.01.기준)

 

 (구매 고려요인) 소비자(800명) 대상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펫푸드 구입 시 중요 구매 고려요인은 반려동물의 기호도(잘 먹는지 여부)가 43.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가격(9.3%), 청결 관리 용이성(8.9%), 브랜드(7.5%), 구입 및 주문 편리성(7.5%), 전문가 추천(6.9%) 순으로 나타났다. 

 

 반려견과 반려묘 모두 기호도가 가장 중요한 구입 고려요인이었으나, 반려견의 경우 가격과 구입·주문 편리성이 높게 나타난 반면, 반려묘는 청결관리 용이성, 전문가 추천 등이 높게 나타났다. 

 

   * 반려견 고려요인 : 기호도 45.4%, 가격 9.6%, 구입 및 주문 편리성 8.2%, 브랜드 7.6% 순

  ** 반려묘 고려요인 : 기호도 46.2%, 청결관리 용이성 9.9%, 전문가 추천 8.7%, 가격 8.0% 순

 

 소비자들의 펫푸드 구입률과 선호도는 건식 사료가 모두 높게 나타났고, 반려견은 건식 구입률이 높은 반면, 반려묘는 습식 사료 구입률이 높았다.

 

 (구입경로) 주요 구입경로는 오픈마켓(21.6%)이 가장 높았고, 이어서 소셜커머스(16.0%), 대형 할인마트(12.7%), 온라인 반려동물 전문몰(11.1%), 반려동물용품 전문매장(펫샵)(9.9%) 순으로 온라인 구매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펫푸드 시장은 반려동물을 가족의 일원으로 인간으로 대하는 ‘펫 휴머니제이션’ 현상이 확산되며 시장 성장을 이끌고 있으며,

 

 연령과 종에 따라 영양 구성이 다른 ‘맞춤형 제품’, 반려동물 질환 관리를 위한 ‘기능성 제품’, 건강과 영양을 고려한 건강식 등 ‘프리미엄 제품’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펫푸드 세분시장 현황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식품산업통계    정보시스템(www.aTFIS.or.kr)에 게재된『펫푸드 시장 현황 보고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농업

더보기
여름철 농업인 온열질환 ‘에어냉각조끼’로 예방하세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은 여름철 농작업 시 발생하는 온열질환*을 예방하고 농업인이 온실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에어냉각조끼 보급에 박차를 가한다. * 온열질환: 열에 장시간 노출되면 발생하는 질환으로 두통, 어지러움, 근육 경련, 피로감,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열실신, 열부종 등이 있음. 2024년 온열질환 발생자는 3,704명이며 농업 분야는 671명으로 18.1%를 차지함(출처: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질병관리청). 비닐온실, 선별 작업장 등에서는 작물 생육 조건에 적합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야 하므로 농작업자가 고온에 오래 노출될 우려가 있다. 고령 농업인이나 질환이 있는 농업인은 더욱이 열 스트레스에 취약하므로 각별하게 유의해야 한다. 특히 열사병은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른 직업성 질병에 포함돼 상시근로자 5인 이상 농장주는 농작업자 온열질환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농촌진흥청이 2019년 개발한 에어냉각조끼는 보텍스 튜브*와 에어라인이 조끼에 부착돼 있다. 에어콤프레셔의 압축공기가 보텍스 튜브를 거쳐 냉기만 조끼 안으로 들여보내 농작업자가 입고 있는 옷의 온도와 습도를 떨어뜨린다. 이런 원리로 고온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부산국제식품대전(벡스코)에서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을 찾아주세요!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은 6월 25일(수)부터 28일(토)까지 4일간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되는 ‘제32회 부산국제식품대전’에 참여하여 홍보부스(제1전시장 E101부스)와 워킹그룹(제1전시장 2층 세미나실 213호)을 운영한다. 행사 첫날인 6월 25일(수)에는 해썹 및 스마트 해썹 기 인증 업체와 인증을 준비하거나 관심있는 업체를 대상으로 ‘2025년 부산지원 해썹 및 스마트 해썹 워킹그룹’이 운영된다. 이번 워킹그룹은 1~2부로 운영하며, 1부는 해썹을 주제로 인증 준비와 운영 내실화를 위한 ▲해썹 개요 ▲선행요건· 해썹 관리 ▲해썹 관리기준서 작성 방법 등으로 진행되며, 질의응답을 통해 업체의 다양한 의견을 청취할 예정이다. 이어서 2부에서는 스마트 해썹의 활성화 및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스마트 해썹 개요 ▲등록업체 비대면 현장견학 ▲구축사례 등으로 운영된다. 또한, 제1전시장에서는 해썹인증원 홍보부스와 부산지원 관내 해썹 및 스마트 해썹 등록업체 제품을 전시하는 해썹존*(HACCP Zone)이 운영된다. 특히, 홍보부스에서는 해썹인증원과 주요 사업을 보다 친근하게 느낄 수 있도록 1:1 맞춤형 무상 전문기술상담을 제공하고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