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9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농업

고랭지 감자밭, 지금 역병 방제하세요.

- 서늘하고 다습한 조건 지속돼 역병 발생 예측… 즉시 방제 필요
- 6월 28일∼7월 5일 사이 발생 예측, 6월 23일부터 살균제로 예방해야

 농촌진흥청은 강원도 고랭지 일대 감자 재배지에서 6월 28일∼7월 5일 사이에 역병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해당 지역 농가와 씨감자 생산 기관 등에 철저한 방제를 당부했다.

 

 감자 역병(Phytophthora infestans)은 서늘한 온도(15∼22℃)와 다습한(상대습도 90% 이상) 조건에서 잘 발생한다. 강릉시 왕산면 등 주요 고랭지 재배지의 최근 기상 조건으로 발생을 예측한 결과, 올해는 6월 28일∼7월 5일 사이에 역병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됐다. 따라서 6월 23일∼6월 27일에 살균제를 살포, 방제해야 한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사본 -역병 잎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72pixel, 세로 2304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0년 08월 19일 오후 10:03 카메라 제조 업체 : OLYMPUS IMAGING CORP.   카메라 모델 : u760,S760        프로그램 이름 : Version 1.0                     F-스톱 : 3.4 노출 시간 : 1/250초 IOS 감도 : 80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자동 화이트 밸런스 : 자동 대비 : 일반 채도 : 일반 선명도 : 일반 프로그램 노출 : 자동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평가 측광 플래시 모드 : 플래시 끔 EXIF 버전 : 0221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924bec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13pixel, 세로 56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보성 역병 포장.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591pixel

병든 잎

피해 밭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괴경역병.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24pixel, 세로 768pixel 사진 찍은 날짜: 2005년 12월 21일 오후 10:35 카메라 제조 업체 : NIKON 카메라 모델 : E5700 프로그램 이름 : E5700v1.1 F-스톱 : 3.2 노출 시간 : 10/163초 ISO 감도 : 100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자동 35mm 초점 거리 : 66 대비 : 일반 채도 : 일반 선명도 : 일반 선명도 : 일반 거리영역 : 매크로 프로그램 노출 : 자동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스팟 측광 플래시 모드 : 플래시 끔 EXIF 버전 : 0220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역병(괴경 절단).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24pixel, 세로 768pixel 사진 찍은 날짜: 2005년 12월 21일 오후 10:40 카메라 제조 업체 : NIKON 카메라 모델 : E5700 프로그램 이름 : E5700v1.1 F-스톱 : 3.5 노출 시간 : 10/361초 ISO 감도 : 100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자동 35mm 초점 거리 : 83 대비 : 일반 채도 : 일반 선명도 : 일반 선명도 : 일반 거리영역 : 매크로 프로그램 노출 : 자동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스팟 측광 플래시 모드 : 플래시 끔 EXIF 버전 : 0220

병든 감자(표면)

병든 감자(절단면)

 

 감자 역병은 7일 이내 밭 전체를 감염시켜 막대한 수확량 감소를 가져오는 위협적인 병으로 약제 방제가 필수적이다. 특히 주요 씨감자 생산지인 강릉시 왕산면, 평창군 대관령면, 홍천군 내면 등의 농가와 씨감자 생산 기관에서는 역병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방제해야 한다.

 

 

 보호 살균제는 역병 예보일인 6월 23일부터 살포한다. 지역별 기상 차이 등으로 병이 이미 발생했다면 치료 살균제를 살포해야 한다. 감자 역병에 등록된 보호 및 치료 살균제는 농촌진흥청 농약안전정보시스템 누리집(http://psis.rda.go.kr/psis)을 참고해 안전사용기준에 맞게 사용한다.* 약효 유지와 저항성 균 출현을 억제하기 위해 작용 기작이 다른 약제와 번갈아 살포하는 것이 좋다.

* 2019년 1월 1일부터 농약허용기준강화제도[PLS: Positive List System]가 실시됨에 따라 국내에서 생산되는 모든 작물에는 등록된 약제만 사용할 수 있음.

 

 감자 역병은 환경조건만 맞으면 생육 후기까지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비가 올 때 잎에서 씻겨 내려간 병원균이 얕게 묻힌 덩이줄기를 감염시키면 수확 전후나 저장 중에 부패를 일으키거나, 이듬해 씨감자로 사용할 때 전염원이 된다. 따라서 생육 후기에도 흙을 충분히 덮어 덩이줄기가 흙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이틀 이상 비 예보가 있으면 줄기와 잎이 살아 있는 동안에는 살균제를 처리해야 한다.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조지홍 소장은 “감자 역병은 확산 속도가 매우 빨라 방제하지 않으면, 수확량 감소가 크다.”라며, “발생 예보에 따라 철저히 예방하고 수확 때까지 약제로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건강기능식품 수출지원 본격화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은 8월 26일(화)부터 27일(수)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2025 건강기능식품 글로벌 수출전략 세미나 및 1:1 수출상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6개국 유통 전문가와 300여 명의 국내 건강기능식품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회장 정명수, 건기식협회)와 공동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국내 건강기능식품의 해외시장 진출 확대와 국제적 협력 관계 구축을 목표로 추진됐다. 미국, 베트남, 대만,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주요 수출 대상 국가의 유통사 구매 담당자 10명을 초청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행사 첫날에는 국내 건강기능식품 업체 34개소가 ‘1:1 수출상담회’에 참여했다. 상담회를 통해 각 업체는 유통사별로 제품 소개 및 수출 애로사항에 대해 구매 담당자와 직접 소통했고, 일부 업체는 별도의 회의까지 연계되는 성과를 거뒀다. 행사 마지막 날에는 ‘수출전략 세미나’가 열렸다. 세미나에서는 ▲전 세계 최대 온라인 쇼핑몰인 아마존을 통한 일본 시장 진출 전략 ▲중국 최대 온라인 유통 플랫폼 티몰*(Tmall)을 활용한 중국 진출 전략 ▲미국 한인 대표 유통

산림

더보기
산림청, 백두대간법 20주년 맞아 성과 및 미래 방향성 공유
산림청(청장 김인호)은 서울 국회도서관에서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백두대간법)’ 시행 20주년을 기념해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임호선 국회의원, 한국환경생태학회,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녹색연합, 백두대간옛길보존회, 백두대간보전회 등 관련 단체와 함께 △백두대간 산림생태계의 20년간 변화상 △백두대간 보호·산림복원의 성과와 미래비전 △백두대간 보전과 시민사회의 역할 등 다양한 의견을 나눴으며, 내년에 수립되는 10년 기본계획에 반영해 백두대간 보전 가치를 제고할 계획이다. 백두대간법은 2005년 무분별한 개발행위로 인한 산림 훼손을 방지함으로써 국토를 건전하게 보전하고 쾌적한 자연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시행됐다. 산림청은 현재 6개도, 108개 읍·면·동을 포함하는 27만7,645헥타르(ha)의 백두대간보호지역을 지정해 보전·관리하고 있다. 또한 2011년부터 백두대간 생태축을 연결·복원하는 사업을 통해 도로로 단절됐던 이화령, 육십령 등 13개소를 복원해 야생동물과 국민들의 지역 간 이동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주변에 자생하는 식물을 식재하고 통행자와 작업자의 안전 등을 고려한 특수 건축공법을 활용해 백두대간의 생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