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5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식품

가을철 건강 지킴이, 영양만점‘두부’

- 콩 영양성분 그대로 섭취, 필수아미노산·항산화 기능성분 풍부 -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밭의 쇠고기’로 불리는 콩 수확기를 맞아 영양만점 두부의 건강기능성과 요리법을 알리고, 두부 만들기에 적합한 콩 품종을 소개했다.

 

 두부는 콩을 분쇄, 가열, 여과해 얻은 수용성 단백질을 응고시켜 압착해 만든 전통식품이다. 단백질이 풍부한 반면 열량과 포화지방산1) 함유량이 낮아 체중조절과 건강유지에 도움이 된다.

 

 두부 속에는 필수아미노산2) 이 있어 쌀과 함께 섭취 시 영양 균형을 이룰 수 있으며, 이소플라본, 비타민B2, 칼슘 등의 기능성분이 풍부해 피로해소와 건강회복 효과가 있다. 특히 항산화 기능이 있는 이소플라본 성분은 가을철 건조하고 찬바람에 노출된 피부의 건강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일반두부 성분: (100g당) 수분 85.0g, 단백질 7.6g, 지방 5.9g, 칼슘 44mg, 비타민B2 0.05mg

   * 동결건조 두부 고형물(1g당) 필수아미노산 162.3mg, 이소플라본 894ug 포함

 

 두부는 주로 반찬으로 먹지만, 한 끼 식사대용으로 섭취해도 좋은 훌륭한 식재료다.

 

 대표적인 두부음식으로는 두부전골이 있다. 두부를 납작하게 썰어 노릇하기 지진 다음 다진 쇠고기, 버섯, 무와 당근, 데친 숙주, 양파, 채소 등을 전골냄비에 돌려 담고 국간장과 소금으로 간을 맞춰 끓이면 된다.

 

 두부에 부침가루를 묻혀 바삭하게 구운 뒤 매콤달콤한 양념을 버무리면 아이들 입맛도 사로잡는 두부강정이 완성된다. 볶은 양파, 마늘, 베이컨에 파스타 소스와 두부 면을 넣고 볶으면 두부 파스타가 된다.

 

 농촌진흥청이 2020년에 생산된 주요 콩 품종 ‘선풍’, ‘대찬’, ‘선유2호’를 원료로 두부를 만들어 평가한 결과, 세 품종 모두 두부 가공적성과 영양성분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품종은 수분 흡수가 빨라 잘 불고 응집도 잘돼 가공적성이 좋았다. 수율은 243~249%로 기존 ‘대원콩’ 223%보다 20∼26%p 높았다. 특히 기능성 성분인 이소플라본 함량이 ‘선풍’은 1그램당 1,233마이크로그램(µg), ‘대찬’은 1,092마이크로그램으로 ‘대원콩’ 894마이크로그램보다 18~28%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풍’과 ‘대찬’은 기존 두부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대원콩’보다 수량성이 평균 19% 정도 높고 기계수확에 적합하다.

 

 ‘선유2호’는 생육기간이 짧아 6월에 파종해 10월 초에 수확할 수 있어 이모작 재배에 적합하다. 따라서 국산 콩 원료의 안정적 공급에 기여하고 가공업체뿐만 아니라 농가 경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한편, 검정콩 ‘청자5호’로 만든 흑두부는 대표적 항산화 물질인 안토시아닌이 1그램당 1,175마이크로그램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 두부의 가공적성(수율, 색차, 물성 등)과 성분 함량정도는 절대치가 아니며 가공방법과 원료의 재배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농촌진흥청 밭작물개발과 정찬식 과장은 “두부는 맛좋고 영양가도 높은 전통식품이다. 두부 가공적성과 생산성이 우수한 품종 개발과 보급 확산에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경남 하동에서 콩을 재배하며 손두부를 판매하는 농업인 박권식 씨는 “실제로 ‘선풍’, ‘대찬’을 재배해 보니 수확량도 많고 두부 가공적성도 좋았다. 우수한 콩 품종으로 만든 맛있는 두부를 보다 많은 소비자들에게 알리고 싶다.”라고 바람을 밝혔다.

 

                                                           다양한 두부요리

1. 두부전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43c45b2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924pixel, 세로 1282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7년 07월 13일 오후 5:16 카메라 제조 업체 : Canon 카메라 모델 : Canon EOS 5D Mark III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CC 2017 (Macintosh) F-스톱 : 11.0 노출 시간 : 1/125초 IOS 감도 : 100 노출 모드 : 수동 프로그램 노출 : 메뉴얼 노출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평가 측광 플래시 모드 : 플래시 끔 EXIF 버전 : 0220

○ 재료

 두부 200g(1/2모), 쇠고기(양지머리) 100g, 무 50g, 당근 50g , 숙주 100g , 실파 30g , 미나리 50g, 양파 50g(1/3개), 건표고버섯 12g(4개), 달걀 50g(1개), 잣 3g(1작은술), 녹두 전분 10g(1큰술), 물 400mL(2컵), 식용유 6g(1/2큰술), 국간장 17g(1큰술), 소금 약간

 

 (부재료) <쇠고기 양념> 간장 17g(1큰술), 다진 파 5g(1/2큰술), 다진 마늘 6g(1작은술), 설탕 6g(1/2큰술), 참기름 4g(1작은술), 깨소금 3g(1작은술), 후춧가루 약간 <숙주 양념> 소금 2g(1/2작은술), 참기름 2g(1/2작은술), 후춧가루 약간

 

○ 조리방법

 ① 두부는 납작하게 썰어(4×2.5×0.7cm) 소금을 약간 뿌렸다가 물기를 거둔 다음 겉면에 녹두 전분을 고루 묻혀 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노릇노릇하게 지진다.

 ② 쇠고기는 반은 채 썰고(5×0.2×0.2cm), 나머지 반은 곱게 다진다.

 ③ 건표고버섯은 불려서 채 썰고, 쇠고기 양념을 만들어 2의 쇠고기와 표고버섯에 각각 나누어 양념한다.

 ④ 무와 당근은 5cm 길이로 채 썰고(5×0.2×0.2cm), 숙주는 머리와 꼬리를 떼서 끓는 물에 소금을 약간 넣고 살짝 데쳐 내어 양념을 넣고 무친다.

 ⑤ 양파는 길이로 채 썰고(0.3cm), 실파는 5cm 길이로 썬다. 미나리는 잎을 떼고 다듬어 끓는 물에 데친다.

 ⑥ 지진 두부의 두 장 사이에 양념한 다진 고기를 넣어 데친 미나리로 가운데를 한 번씩 묶는다.

 ⑦ 준비한 채소와 고기, 두부를 전골냄비에 돌려 담고 잣을 고루 뿌린다.

 ⑧ 더운물에 국간장과 소금으로 간을 맞춰서 붓고 불에 올려 끓인다. 두부 등 재료가 익으면 달걀을 넣어 반숙으로 익힌다.

 * 출처 : 농사로(www.nongsaro.go.kr)>생활문화>향토음식

 

2. 두부 강정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DSC042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288pixel, 세로 2848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1년 06월 12일 오후 7:43 카메라 제조 업체 : NIKON CORPORATION 카메라 모델 : NIKON D90 프로그램 이름 : Ver.1.00  F-스톱 : 6.3 노출 시간 : 10/130초 IOS 감도 : 200 노출 모드 : 수동 화이트 밸런스 : 자동 35mm 초점 거리 : 63 대비 : 일반 채도 : 일반 선명도 : 일반 선명도 : 일반 거리영역 : 매크로 프로그램 노출 : 메뉴얼 노출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평가 측광 EXIF 버전 : 0221

○ 재료

 두부 1모, 부침가루, 식용유, 설탕, 다진 마늘, 물엿, 간장, 고추장, 케첩, 고춧가루

○ 조리방법

 ① 설탕 6큰술, 다진 마늘 2큰술, 물엿 6큰술, 간장 1큰술, 고추장 1큰술 반, 케첩 4큰술, 고춧가루 1큰술, 물 약간을 냄비에 넣고 잘 섞이도록 저으면서 중간 불에서 끓인다.

 ② 두부를 먹기 좋은 크기로 썰고 키친타월로 물기를 뺀다.

 ③ 부침가루를 골고루 묻히고 팬에 식용유를 넉넉히 두르고 노릇하게 굽는다.

 ④ ‘1’의 소스에 구운두부를 버무린다.

 

3. 두부면 파스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DSC0360.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288pixel, 세로 2848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1년 06월 12일 오후 6:54 카메라 제조 업체 : NIKON CORPORATION 카메라 모델 : NIKON D90 프로그램 이름 : Ver.1.00  F-스톱 : 13.0 노출 시간 : 10/50초 IOS 감도 : 200 노출 모드 : 수동 화이트 밸런스 : 자동 35mm 초점 거리 : 60 대비 : 일반 채도 : 일반 선명도 : 일반 선명도 : 일반 거리영역 : 매크로 프로그램 노출 : 메뉴얼 노출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평가 측광 EXIF 버전 : 0221

○ 재료

 두부면, 양파, 마늘, 베이컨, 페퍼론치노, 시금치, 간장, 후추

○ 조리방법

 ① 양파 1/4를 얇게 썰고 적당량의 마늘을 일부는 썰기고 일부는 다진다. 베이컨도 썰어준다.

 ② 두부 면을 물에 가볍게 헹군다.

 ③ 팬에 올리브유를 넉넉히 두르고 마늘을 넣어 마늘기름을 낸다.

 ④ 마늘 향이 충분히 올라오면 양파를 넣어 볶아준다.

 ⑤ 양파가 투명하게 볶아지면 페퍼론치노와 베이컨을 넣어 볶는다.

 ⑥ 후추도 살짝 뿌려준다.

 ⑦ 두부 면을 넣은 후 간장 두 큰술을 넣고 볶아준다.

 ⑧ 시금치는 마지막에 넣어주고, 간을 보고 부족한 경우 소금을 살짝 더해 준다.

 

[참고자료 2] 콩 신품종 두부의 가공적성과 영양성분

 

※ 콩은 ‘20년 경남 밀양 생산, 분석은 국립식량과학원 밭작물개발과 수행

※ 두부 시료 제조방법 : ① 콩 150g을 물에 15시간 불림,  ② 가정용 두부제조기에 물2L와 함께 끓인 후 분쇄 두유 여과 및 탈수, ③ 두유에 간수(맛간수733, MgCl2 CaSO4 혼합제품) 넣고 응고, ④ 응고물을 두부 성형틀에 넣고 압착(6kg/cm2, 10분) ⑤ 성분 분석용 시료는 두부를 동결건조

○ 두부의 품종별 가공적성

 

품종명

수율

(%)

비지

수율

(%)

색차*

물성

L

a

b

ΔE

탄력성

검성

응집성

씹힘성

경도

(g)

대원콩

223

133

88.4

-1.6

18.6

-

0.89

1,537

0.78

1,375

1,967

선풍

246

147

88.4

-1.5

19.3

1.74

0.91

1,091

0.81

990

1,346

대찬

243

142

87.6

-1.8

20.1

1.79

0.90

1,141

0.80

1,021

1,430

선유2호

249

144

87.1

-1.6

19.9

0.78

0.85

570

0.77

490

740

청자5호

212

138

61.0

0.4

4.8

30.72

0.88

1,849

0.78

1,634

2,357

* L : 명도, a : (+)빨강 (-)초록, b : (+)노랑 (-)파랑, ΔE : 0.5≤x<1.5 근소한 차이, 1.5≤x<3.0 눈에 띄는 차이, 12≤x 매우 많은 차이

 

○ 두부의 품종별 일반성분

 

품종명

단백질

(%)

지방

(%)

지방산(%)

Pal.

Ste.

Ole.

Li.

Lin.

대원콩

48.2

25.3

9.6

3.6

24.3

54.8

7.6

선풍

50.4

25.8

12.1

2.9

17.2

57.2

10.5

대찬

48.9

24.8

10.1

3.1

18.2

57.2

11.4

선유2호

43.4

24.1

11.5

3.7

25.2

52.6

7.1

청자5호

52.3

24.5

11.2

4.0

18.2

56.6

9.9

 

○ 두부의 품종별 기능성 성분

 

품종명

당함량(mg/g)

이소플라본(µg/g)

안토시아닌

(µg/g)

Stachyose

Sucrose

Glucose

대원콩

4.95

8.20

1.43

14.58

894

-

선풍

5.49

8.97

-

14.46

1,233

-

대찬

4.37

9.99

1.91

16.27

1,092

-

선유2호

5.76

9.79

1.85

17.39

801

-

청자5호

3.68

7.99

1.66

13.33

1,091

1,175

 

○ 품종별 두부 사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0210602_17210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032pixel, 세로 3024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1년 06월 02일 오후 5:21 카메라 제조 업체 : samsung 카메라 모델 : SM-N935S 프로그램 이름 : N935SKSU4CUD1 F-스톱 : 1.7 노출 시간 : 1/60초 IOS 감도 : 125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자동 35mm 초점 거리 : 26 대비 : 일반 채도 : 일반 선명도 : 일반 프로그램 노출 : 자동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스팟 측광 EXIF 버전 : 0220

<‘대원콩’, ‘선풍’, ‘대찬’, ‘선유2호’, ‘청자5호’로 만든 두부(왼쪽부터)>


1)  포화지방산: 상온에서 고체 형태인 지방으로 적당량은 피하지방층 형성에 필요하나 과다 섭취할 경우 몸에 나쁜 저밀도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여 심혈과 질환이나 뇌졸중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음.

2)  필수아미노산: 아미노산은 단백질의 구성 요소로, 생명체에 필수적인 화합물임. 특히, 필수아미노산은 우리 몸에서 합성할 수 없어 식단을 통해 섭취해야 함.

 

 

 


농업

더보기
콩 개화기 이후 병해충 관리 힘써야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꼬투리가 자라고 콩알이 차오르는 생육 후기에 수량과 품질에 큰 영향을 주는 병해충 특징을 소개하며,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9월 기온은 평년보다 높고 강수량이 많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러한 기상 조건은 콩 생육 후기와 맞물려 병해충 발생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탄저병, 미라병, 자주무늬병과 같은 주요 병과 노린재류 해충은 심하면 수량을 크게 떨어뜨리기 때문에 사전 방제가 관건이다. (병 관리) 자주무늬병은 잎이 진한 보라색으로 변하며, 크기와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병반이 나타난다. 감염된 종자는 자줏빛을 띤다. 주로 온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발생하며, 초기 발생 시 등록된 약제를 살포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탄저병은 줄기나 꼬투리에 불규칙한 갈색 반점이 생기며, 콩알이 작아지고 변색한다. 심하면 썩거나 콩알이 맺히지 않아 수확량이 감소한다. 항공방제 전용 약제가 등록돼 있어 무인 항공기 방제가 가능하다. 미라병은 따뜻하고 습한 환경에서 발생해 잎과 꼬투리, 줄기 등 다양한 부위에 감염된다. 줄기에는 작은 검은 점이 한 줄로 생기고, 종자는 회백색으로 변하면서 갈라지거나 모양이 길게 변한다. (해충 관리) 노린재류는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한우 생산성·유전능력 분석 서비스 매뉴얼 발간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9월 3일, 과학적 사양관리를 통한 한우 생산성 향상을 위해 ‘한우 생산성·유전능력 분석 서비스 이용 매뉴얼’을 새롭게 발간했다. 매뉴얼은 한우 개체별 수익성과 유전능력 정보를 농가에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담고 있어 현장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가는 생산성 분석을 통해 개체별 수익, 출하 시기별 월평균 수익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소의 적정 출하 시기를 파악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유전능력 분석으로 사육·출하 개체의 도체중, 근내지방도 등 핵심 형질별 유전능력을 실시간 비교하고 개량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해 사육 기간 단축을 통한 경영비 절감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번 매뉴얼이 농가의 데이터 기반 경영을 확대해 단기적으로는 생산비 절감과 소득 증대 효과를, 장기적으로는 개량 효과를 극대화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한우 생산성·유전능력 분석 서비스 이용 매뉴얼’은 ‘축산물 원패스’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 축산물 원패스 누리집 바로가기:www.ekape.or.kr/kapecp 축산물품질평가원 박병홍 원장은 “한우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데이터

식품

더보기
국산콩으로 농가는 살리고 어르신 건강은 지킨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사장 홍문표)는 4일 전북 전주시 평화사회복지관을 찾아 사단법인 식생활교육국민네트워크(상임대표 권순실)가 진행하는 ‘국산콩 활용 고령층 영양개선 캠페인’ 현장을 점검하고 참가자들을 격려했다. 이번 캠페인은 고령층의 단백질 등 필수 영양소 섭취 부족 문제를 개선하고, 국산콩 소비를 확대하기 위해 8월부터 전국 복지관, 경로당, 마을 회관 등에서 추진되고 있다. 참가자들은 국산콩과 수입콩의 차이를 이해하고 국산콩 제품의 조리 체험, 두부·된장·두유·콩밥 등 다양한 국산콩 레시피를 일상 식단에 활용하는 방법을 배운다. 아울러 aT도 풀무원식품, 이롬, 맑은물에, 건국유업 등 주요 국산콩 식품제조 업체와 함께 국산콩 두유, 두부, 과자류 등 시식·시음 물품도 제공해 참가자들이 손쉽게 국산콩 제품을 접하고 건강한 식생활을 이어가도록 지원하고 있다. 현장을 찾은 aT 문인철 수급이사는 “국산콩은 어르신의 건강을 지켜주는 든든한 영양 보물창고”라며, “오늘 교육처럼 콩을 맛보고 배우며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노력이 어르신들의 건강과 농가의 희망을 함께 키워 나가는 길”이라고 말했다. 한편 농식품부와 aT는 10월까

산림

더보기
기후변화 재난, 산림유량관측망 구축으로 대비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극한 호우에 따른 산지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2031년까지 8년간 전국 400개소에 산림유량관측망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산림유량관측망은 산지 유출수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시스템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해 홍수, 가뭄, 산사태 등 물 관련 산지재난의 발생 특성을 분석, 예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국립산림과학원 생활권도시숲연구센터 연구진은 최근 우리나라 산림유역에 적합한 홍수도달시간 산정식을 개발해 산지 홍수 예측 정확도를 높였다. 홍수도달시간은 가장 높은 강우량 시점에서 수위가 가장 높아진 시점까지 걸리는 시간으로, 일반적으로 짧을수록 재해에 취약하다. 특히 산지에서 실시간 유량변화를 확보하는 것은 지역의 산지재난 발생 위험성을 해석하는 데 중요하다. 이번에 새롭게 추진되는 산림유량관측망 구축은 한국형 실시간 정밀 유량관측을 가능하게 해, 산지재난 대응의 정확도를 높이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연구결과는 산림과학 국제학술지인 「Forests」에 2024년 게재되어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생활권도시숲연구센터 박찬열 센터장은 “산림유량관측망 구축으로 산지재난을 보다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