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6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농업

새싹 삼, 이끼 대신 기체 조절(MA) 포장재 사용하세요

- 농촌진흥청, 새싹 삼 포장별 미생물 발생 조사 -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새싹 삼 포장별 미생물 발생을 조사한 결과, 이끼보다 기체 조절(MA) 포장재가 위생적인 것을 확인했다.

 

 새싹 삼은 진세노사이드1) 가 식물 전체에 분포돼 있어 잎, 뿌리, 줄기를 모두 먹는 약용채소로 재배 기간은 한 달 이내, 유통기간은 1∼2주로 짧은 편이다.

 

 농가에서는 새싹 삼을 포장할 때 삼이 마르는 것을 막고 싱싱하게 보이기 위해 이끼를 뿌리 부분에 덮어 출하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저장유통과는 인삼류를 싱싱하고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도록 전용 기체 조절(MA, Modified Atmorsphere) 포장 필름2) 을 개발해 보급했다.

 

 새싹 삼, 이끼로 덮은 새싹 삼, 삼 전용 MA 포장재를 사용한 새싹 삼의 곰팡이와 세균의 총 균 수를 조사한 결과, 이끼 사용 새싹 삼이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새싹 삼을 4도에서 7일 동안 보관한 결과, 이끼로 덮은 새싹 삼에서 총 곰팡이와 세균수가 처음보다 각각 29배, 4배 증가했다. 반면, MA 포장재 새싹 삼의 곰팡이와 세균수는 이끼로 덮은 새싹 삼의 27%, 56% 수준이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처리별 사진.png.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66pixel, 세로 377pixel

 

 포장 상자 안 습도와 새싹 삼 뿌리의 수분 함량은 이끼 사용 여부와는 크게 관련 없었다.

 

 이끼의 가격이 MA 포장재보다 높은 점을 감안할 때 MA 포장재를 사용하는 것이 위생, 상품성, 경제성면에서 유익하다는 의견이다.

 

 농촌진흥청 유해생물과 전익성 과장은 “새싹 삼의 위생이나 경제성 등을 고려해 볼 때 이끼보다는 MA 포장재를 사용한 것이 좋다.”라고 전했다.

 

 전남 장성에서 새싹 삼을 재배하는 임선호 농업인은 “새싹 삼의 수요가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라며, “앞으로 소비자가 믿고 찾는 새싹 삼을 생산하고 보다 안전하게 유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농경지 왕우렁이 “월별 점검표대로 관리·중간물떼기 후 거둬들여야”
농촌진흥청은 벼농사를 지을 때 친환경 잡초 방제용으로 사용되는 왕우렁이의 농경지 유출을 막기 위해 왕우렁이 관리 월별 점검표를 숙지해 관리해 줄 것을 당부했다. 왕우렁이 농법은 적은 비용과 노동력으로 제초 효과를 크게 볼 수 있어 친환경 벼 재배 농가에서 선호하고 있다.* * 친환경 벼 재배 농가 78.9% 활용 중(2024년 기준, 농림축산식품부) 최근 들어 지구 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농경지에서 월동한 왕우렁이가 남부 일부 지역에서 모내기 직후 모와 어린 벼를 갉아 먹어 문제가 되고 있다. 올해는 겨울철 기온이 낮아 현재까지 보고된 피해는 없지만, 왕우렁이 사용 농가에서는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 대비해야 한다. 농가에서는 월별 점검표에 따라 왕우렁이를 철저히 관리해 농경지 유출을 최대한 막고, 중간물떼기 이후 왕우렁이를 거둬들이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용‧배수로에 차단망 등을 설치 ∆집중호우나 장마에 논물이 넘치지 않도록 적정 수위 유지 ∆논둑을 높이거나 누수를 점검하는 논둑 정비 등을 해야 한다. 또한, 중간물떼기(7월 중하순) 이후 승용 물길 조성기 등으로 논 가장자리에 물길을 조성하고 이틀에 걸쳐 천천히 물을 빼면서 논 가장자리 물길이나 배수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라죽으로 즐기는 보양 한 끼” 하림, 삼계탕면에 말아먹기 좋은 ‘찹쌀밥’ 출시
종합식품기업 하림은 초복을 앞두고 보양식 라면인 ‘삼계탕면’과 함께 즐기기 좋은 ‘찹쌀밥’을 출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에 선보인 찹쌀밥은 진한 삼계탕 국물에 밥을 말아먹는 ‘삼계죽’ 형태로 즐기기 좋은 제품으로, 간편하지만 든든한 한 끼를 원하는 소비자를 위해 기획됐다. 삼계탕 또는 삼계탕면의 뜨끈한 국물에 찹쌀밥을 말아먹으면 보양식 느낌을 살린 삼계죽 혹은 라죽(라면죽) 스타일의 식사가 완성된다. 찹쌀밥은 국내산 찹쌀 80%, 백미 20%의 황금 비율로 지어 찹쌀의 쫀득한 식감과 백미의 부드러움을 고루 살렸다. 밥알이 퍼지지 않고 국물에 잘 어우러져, 삼계탕 한 그릇만으로는 아쉬웠던 소비자들에게 든든한 곁들임으로 안성맞춤이다. 특히 하림은 생산라인의 무균화를 통해 별도의 보존료 없이 100% 찹쌀, 쌀, 물로만 지었다. 이를 통해 밥 본연의 풍미를 살리고, 이취 없이 깔끔하고 고소한 밥맛을 구현했다. 또한 냉수가 아닌 온수로 천천히 뜸 들이는 공정으로 밥알에 제대로 뜸이 들도록 했으며, 용기 포장 필름과 밥 사이에 자연스러운 공기층을 형성시켜 밥알이 눌리지 않도록 했다. 덕분에 전자레인지로 간편하게 조리해도 밥 한 알 한 알의 쫀득한 식감이 그대로 살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