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IT·통신

정보통신기술(ICT) 수출, 역대 최고 월 수출액 달성

- ’21.9월 이후 2개월 만에 최고 수출액 경신, ‘21년 정보통신기술 수출 누적액 2,000억불 상회 -

‘21.11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은 주력 시장과 주력 품목 모두 수출 호조세를 지속, 역대 최고 월 수출액 달성(8개월 연속 두자리 수 증가)

 

  ’21년 11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 214.9억불, 수입 127.6억불,

     무역수지는 87.3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

 

 

구분

전체

ICT

수출

604.4(32.1%↑)

214.9(30.0%↑)

수입

573.6(43.6%↑)

127.6(23.1%↑)

무역수지

30.9

87.3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074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0pixel, 세로 123pixel

’21.11월p 전체 - ICT 수출입 비교(억불)

월별 ICT 수출 순위(억불)

 

 

 중소‧중견기업들도 ICT 수출 비중이 높은 품목 등을 중심으로 13개월 연속 두 자리 증가*를 기록하며 꾸준한 성장세**

 

    * ICT 중소중견기업 수출(억불) : (’20.11) 40.7(16.0%↑) → (’21.11) 51.0(25.2%↑)

   ** (반도체) 13개월(시스템 반도체는 16개월), (컴퓨터‧주변기기) 8개월 연속 두자리 증가

 

 ※ 중소 및 중견기업 ICT 수출 현황 (전년 동월 대비)

 

  - (중소*·중견기업 51.0억불, 25.2%↑) 반도체(25.5억불, 40.1%↑), 접속부품(2.3억불, 16.3%↑), 컴퓨터·주변기기(1.6억불, 16.9%↑) 등은 증가, 전기장비(3.6억불, △2.2%)는 감소

 

‧   * 중소기업(16.6억불, 15.0%↑)의 경우, 반도체(3.3억불, 48.6%↑), 전기장비(1.9억불, 3.3%↑), 접속부품(1.1억불, 9.1%↑) 등은 증가, 컴퓨터‧주변기기(1.1억불, △2.7%)는 감소

 

 

2021년 11월 수출입 주요 통계

 

 

 

 

◈ (수출)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액(214.9억불)은 전년 동월 대비 30.0% 증가, ‘21.9월 이후 2개월 만에 최고 월 수출액 경신(18개월 연속 증가)

 

  * 역대 월별 수출 순위(억불) : ① (’21.11) 214.9, ② (‘21.9) 213.3, ③ (’18.9) 202.7

  ※ ICT 산업 수출 추이(억불) : (’17) 1,975.7 → (‘18) ’2,203.4 → (‘19) 1,768.6 → (’20) 1,835.1 → (‘21.11월 누적) 2,054.8

 

 - 역대 11월 수출액 중 1위이며, 11월 누적 기준 최고치 달성

 

   * 역대 11월 수출 순위(억불) : ① (‘21) 214.9, ② (‘17) 186.1, ③ (’18) 182.9

   * 역대 11월 누적 기준 순위(억불): ① (‘21) 2,054.8, ②(‘18) 2,044.3 ③ (’17) 1,798.6

 

 - 일평균 수출(9.0억불, 24.0일)은 전년 동월(7.2억불, 23.0일) 대비 24.6% 증가, 역대 11월 일평균 수출액 중 1위 기록

 

   * 11월 일평균 수출 순위(억불) :① (’21) 9.0(24.0일), ② (’17) 7.8(24.0일), ③ (’18) 7.6(24.0일)

 

< 최근 ICT 산업 수출입 규모 및 증감률(전년 동월 대비) >

 

구분(억불, %)

’21.8월

’21.9월

’21.10월p

’21.11월p

수 출

202.3(33.0↑)

213.3(21.1↑)

199.2(21.5↑)

214.9(30.0↑)

수 입

113.8(23.7↑)

113.7(18.8↑)

121.1(18.5↑)

127.6(23.1↑)

무역수지

88.5

99.6

78.1

87.3

특 징

역대 8월중 1위

역대 9월중 1위

역대 10월중 2위

역대 11월중 1위

 

 (품목별) 주요 4대 품목 수출 모두 증가(5개월 연속 증가)

 

< 품목별 수출 실적 >

 

구 분

ICT 전체

반도체

디스플레이

휴대폰

컴퓨터·주변기기

기 타

수출액(억불)

214.9(100%*)

120.9(56.3%)  

24.3(11.3%)  

14.8(6.9%)  

17.8(8.3%)  

37.2(17.3%)

증감률(%)

30.0(↑)

39.5(↑)

11.3(↑)

17.0(↑)

70.8(↑)

10.0(↑)

 

  * ICT 전체 수출액 대비 ICT품목이 차지하는 비중

 

  (국가별) 주요 5개국으로의 수출 모두 증가(7개월 연속 증가)

 

< 국가별 수출 실적 >

 

구 분

수출국(전체)

중국(홍콩포함)

베트남

미 국

유럽연합(EU)

일 본

기타

수출액(억불)

214.9(100%*)

100.6(46.8%)

35.3(16.4%)

24.9(11.6%)

12.7(5.9%)

3.8(1.8%)

37.6(17.5%)

증감률(%)

30.0(↑)

30.4(↑)

24.7(↑)

34.7(↑)

26.3(↑)

16.0(↑)

33.9(↑)

 

 * 전체 수출국에서 주요국이 차지하는 비중

 

◈ (수입) 정보통신기술(ICT) 수입액(127.6억불)은 전년 동월 대비 23.1% 증가

 

1

 

정보통신기술(ICT) 수출 현황

 

 주요 품목별

 

◇ 신규 스마트폰 출시 등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휴대폰, 컴퓨터‧주변기기 등 4개 품목 모두 증가세를 보이며 ICT 수출 상승을 견인

 

   * (반도체) 39.5%, (디스플레이) 11.3%, (휴대폰) 17.0%, (컴퓨터·주변기기) 70.8%

 

 (반도체) 전년 동월 대비 39.5% 증가한 120.9억불로 ‘21.5월 이후 7개월 연속 100억불 상회(17개월 연속 증가), 역대 11월 중 가장 높은 실적

 

    * 반도체 수출(억불) : (’18) 1,281.5 → (‘19) 951.6 → (’20) 1,002.5 → (‘21.11월 누적) 1,158.6

    * 역대 11월 수출 순위(억불) : ① (’21) 120.9, ② (‘18) 107.9, ③ (’17) 97.6

 

  - (메모리 반도체) 모바일 및 서버 등 지속적인 수요 증가로 ’20.9월 이후 15개월 연속 꾸준한 증가세* 유지

 

    * 메모리 반도체 수출(억불) : (’20.9) 61.9(9.8%↑) → (‘21.11) 76.4(47.3%↑)

 

  - (시스템 반도체) ’20년 최초 수출 300억불 돌파에 이은 연속 300억불 조기 달성으로 역대 최고 수출액 경신* 하였으며, 파운드리 업황 호조로 7개월 연속 30억불대 기록(39.0억불 31.1%↑)**

 

    * 시스템 반도체 수출(억불) : (’18) 264.7 → (‘19) 257.0 → (’20) 302.6 → (‘21.11월 누적) 358.6

    ** 시스템 반도체 월별 수출(억불) : (’21.5) 30.2(55.7%↑) → (11) 39.0(31.1%↑)

 

< 메모리 반도체 증가율(%) >

< 시스템 반도체 수출액 (억불)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0a8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72pixel, 세로 23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150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73pixel, 세로 232pixel

 

 (디스플레이) 전년 동월 대비 11.3% 증가한 24.3억불로, 수요 지속*에 따른 OLED(유기발광 다이오드, 15.3억불, 14.0%↑) 호조로 15개월 연속 증가세**

 

    * OLED TV 시장 확대, 신규 프리미엄 스마트폰 출시 등

   ** 디스플레이 월별 수출(억불) : (’20.9) 21.1(2.7%↑) → (’21.11) 24.3(11.3%↑)

 

  - OLED는 TV, 프리미엄폰 등 수요가 지속되며 15개월 연속 증가, ‘21.11월 누적 129.9억불로 ‘18년부터 4년 연속 100억불 달성

 

    * OLED 수출(억불) : (’18) 103.0 → (‘19) 102.5 → (’20) 109.1 → (~’21.11) 129.9

    * OLED 월별 수출(억불) : (’20.9) 12.2(3.3%↑) → (‘21.11) 15.3(14.0%↑)

 

 

< OLED 수출액(디스플레이內, 억불) >

< OLED 수출 비중(디스플레이內, %)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150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73pixel, 세로 247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150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73pixel, 세로 247pixel

 

 (휴대폰)  전년 동월 대비 17.0% 증가한 14.8억불로, ‘21.7월 이후 5개월 연속 증가세 기록

 

    * 휴대폰 월별 수출(억불) : (’21.7) 9.6(1.2%↑) → (‘21.11) 14.8(17.0%↑)

 

  - 프리미엄 스마트폰과 고부가가치 부품 수요가 지속되며 완제품(4.3억불, 6.8%↑)과 부분품(10.4억불, 21.8%↑)이 동반 상승

 

  (컴퓨터‧주변기기) 전년 동월 대비 70.8% 증가한 17.8억불로, 보조 기억장치(13.9억불, 102.5%↑)를 중심으로 한 주변기기(15.6억불, 85.1%↑) 수출 확대로 9개월 연속 증가세 기록

 

    * 컴퓨터·주변기기 월별 수출(억불) : (’21.3) 13.1(6.7%↑) → (’21.11) 17.8(70.8%↑)

 

  - 특히, SSD는 디지털전환 가속화로 수요가 급증하면서 7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며 ‘21.11월 누적 기준 110억불 돌파

 

    * SSD 수출(억불) : (’18) 71.4 → (‘19) 49.9 → (’20) 100.6 → (~’21.11) 116.8

 

 

< SSD 수출액(억불) >

< SSD 수출 비중(컴퓨터·주변기기內, %)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150000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73pixel, 세로 26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1500008.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73pixel, 세로 268pixel

 

 주요 국가별

 

◇ 중국, 베트남으로의 수출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휴대폰, 컴퓨터‧주변기기 등 주요 품목 모두 증가, 주요 5개국 모두 7∼23개월 연속 증가세

 

  - 특히, 반도체의 경우 5개국 모두 증가세 기록

  * 중국(홍콩 포함, 71.7억불, 38.8%↑), 베트남(13.9억불, 44.7%↑), 미국(8.4억불, 37.6%↑) 등 증가

 

(중국<홍콩 포함>) ‘21.9월 최초 월 수출액 100억불 돌파(101.2억불)에 이어 2개월 만에 또다시 100억불 경신(100.6억불)

 

  - 반도체(71.7억불, 38.8%↑), 디스플레이(9.1억불, 10.8%↑), 휴대폰(7.0억불, 19.5%↑) 등 주요 품목이 모두 증가*하며 전년 동월 대비 30.4% 증가( 15개월 연속 증가)

 

    * 메모리 반도체(50.9억불, 41.3%↑), 시스템 반도체(18.7억불, 35.4%↑), OLED(2.4억불, 5.4%↑), 휴대폰 부분품(6.7억불, 19.4%↑) 등

 

   ** 중국(홍콩 포함) 수출(억불) : (‘20.9) 81.6(5.6%↑) → (’21.11) 100.6(30.4%↑)

 

 (베트남) 전년 동월 대비 24.7% 증가한 35.3억불로, 반도체(13.9억불, 44.7%↑), 디스플레이(14.1억불, 11.2%↑)를 중심으로 8개월 연속 증가** 지속

 

    * 메모리 반도체(6.3억불, 133.1%↑), OLED(12.8억불, 16.2%↑) 등

 

   ** 베트남 수출(억불) : (‘21.4) 23.9(67.0%↑) → (’21.11) 35.3(24.7%↑)

 

  (미국) 반도체(8.4억불, 37.6%↑), 컴퓨터·주변기기(5.7억불, 102.4%↑), 이차전지 (2.4억불, 24.2%↑) 등을 중심으로 전년 동월 대비 34.7% 증가한 24.9억불 기록, 23개월 연속 증가세* 지속

 

    * 미국 수출(억불) : (‘20.1) 15.4(5.4%↑) → (’21.11) 24.9(34.7%↑)

 

  (유럽연합) 전년 동월 대비 26.3% 증가한 12.7억불이며, 컴퓨터· 주변기기(3.4억불, 140.5%↑), 반도체(2.5억불, 19.5%↑), 휴대폰(1.5억불, 19.0%↑) 등을 중심으로 15개월 연속 증가세* 지속

 

    * EU 수출(억불) : (‘20.9) 9.8(12.1%↑) → (’21.11) 12.7(26.3%↑)

 

  (일본) 전년 동월 대비 16.0% 증가한 3.8억불로, 반도체(1.3억불, 43.7%↑), 이차전지(0.3억불, 10.2%↑) 등을 중심으로 7개월 연속 증가세* 지속

 

    * 일본 수출(억불) : (‘21.5) 3.3(12.8%↑) → (’21.11) 3.8(16.0%↑)

 

 < ‘21.11월 주요 품목별‧국가별 ICT 수출 세부 현황(억불) >

구 분

반도체

디스플레이

휴대폰

컴퓨터·주변기기

기 타

중국(홍콩 포함)

(100.6, 30.4%↑)

71.7(38.8%↑) 

9.1(10.8%↑) 

7.0(19.5%↑) 

6.1(49.0%↑)

6.6(△8.7%)

베트남

(35.3, 24.7%↑)

13.9(44.7%↑) 

14.1(11.2%↑)

2.6(27.0%↑)

0.2(110.8%↑) 

4.7(16.5%↑)

미국

(24.9, 34.7%↑)

8.4(37.6%↑)

0.1(45.3%↑)

1.4(△28.9%)

5.7(102.4%↑) 

9.3(23.2%↑)

유럽연합(EU)

(12.7, 26.3%↑)

2.5(19.5%↑)

0.2(△2.1%)

1.5(19.0%↑) 

3.4(140.5%↑) 

5.0(0.2%↑)

일본

(3.8, 16.0%↑)

1.3(43.7%↑)

0.1(33.7%↑)

0.3(82.4%↑) 

0.3(△11.2%) 

1.7(△0.3%)

기타

(37.6, 33.9%↑)

23.1(41.4%↑)

0.6(19.6%↑)

2.0(45.8%↑)

2.0(26.5%↑)

9.9(19.5%↑)

합 계

120.9(39.5%↑)

24.3(11.3%↑)

14.8(17.0%↑)

17.8(70.8%↑)

37.2(10.0%↑)

 

 

2

 

정보통신기술(ICT) 수입 현황

 

 주요 품목별

 

 반도체(61.0억불, 32.8%↑), 컴퓨터·주변기기(13.9억불, 15.4%↑), 디스플레이 (4.0억불, 56.0%↑) 등은 증가하였으나, 휴대폰(10.0억불, △10.6%)은 감소

 

 주요 국가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홍콩 포함, 48.1억불, 0.4%↑)을 비롯하여 대만(15.7억불, 28.3%↑), 일본(11.2억불, 18.5%↑), 베트남(8.9억불, 41.5%↑) 등은 증가하였으나, 미국(6.8억불, △0.1%)은 감소

 

 

주요 품목별 수입 비중

주요 국가별 수입 비중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0a8000f.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0pixel, 세로 29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0a80010.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0pixel, 세로 292pixel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내 손으로 만드는 축산유통 서비스 …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축산유통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축산 유통 서비스 혁신을 위해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축산유통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소비자, 축산업 종사자, 학계, 대학생 등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대국민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공모한다. 공모 주제는 기획 분야와 자율 분야로 구분된다. 기획 분야는 축산유통 디지털화와 스마트 축산 활성화 등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 분야는 품질 평가, 이력제도, 축산유통, 정책 지원, 상생협력 및 지역 발전 등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 전반을 주제로 의견을 공모해 국민이 가진 다양한 축산 유통 관련 의견을 경청한다. 접수 방법은 두 가지이다. 기획안은 구글 폼과 전자 우편으로, 영상(쇼트 폼)은 전자 우편으로 접수할 수 있다. 구글 폼은 포스터 내 정보무늬(큐알코드)와 누리집을 통해 바로 접속 가능하다. * 2025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전자 우편 주소: ekape@kois.co.kr 축산물품질평가원은 6월 30일까지 접수된 내용들을 1차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경인지원,스마트 해썹 확산을 위한 견학 프로그램 운영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경인지원은 5월 29일(목)에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와 협력하여 인천 지역의 중소 식품제조업체 25개소를 대상으로 스마트 해썹 현장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번 현장 견학 프로그램은 스마트 해썹 등록업체인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을 직접 방문하여 스마트 해썹 시스템의 운영 사례와 효과를 현장에서 체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은 최첨단 생산설비를 갖추고 볶음김치, 냉동나물을 생산하는 업체로서 ▲공정별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이력추적 ▲설비 자동 제어 등 디지털 기반 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한 대표적인 스마트 해썹 등록 업체이다. 견학에 참가한 업체들은 기존 해썹에서 스마트 해썹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성과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견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업체 관계자는 “생산 및 관리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전송되는 스마트 해썹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품질을 점검하는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 향후 스마트 해썹 도입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 김정희 센터장은 “관내 식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