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9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해양수산

2021년 컨테이너 물동량 코로나 이전으로 회복

- 컨테이너 물동량 3,000 만 TEU 시대 눈앞, 전국 항만물동량은 5.4% 증가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2021년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물동량이 총 15억 8,071만 톤으로 전년(14억 9,925만 톤) 대비 5.4%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 (1분기) 0.1%↑, (2분기) 9.3%↑, (3분기) 9.8%↑, (4분기) 3.0%↑

 

  수출입 물동량은 세계 경기 회복세에 따른 자동차 및 기계류 수출 물동량 및 철광석 수입 물동량 증가, 석유제품 수출입 물동량 증가 등으로 전년(12억 7,623만 톤) 대비 5.9% 증가한 13억 5,113만 톤으로 집계되었다.

 

    * (1분기) 1.3%↑, (2분기) 10.2%↑, (3분기) 9.8%↑, (4분기) 2.7%↑

 

  컨테이너 물동량(TEU 기준)은 지난해 세계 주요 항만들의 컨테이너 물류 적체 현상에도 불구하고 전년(2,910만 TEU) 대비 3.1% 증가한 3,000만 TEU(29,997천 TEU)를 기록하였다. 이는 코로나19 위기 이전인 2019년(2,923만 TEU) 보다 2.6% 증가한 실적이다. 

 

    * (’19년) 2,923만 TEU, (’20년) 2,910만 TEU, (’21년) 3,000만 TEU

 

  연안 물동량의 경우 주택공급정책 확대 및 경제회복에 따른 시멘트 및 광석 물동량 증가 영향으로 전년(2억 2,302만 톤) 대비 2.9% 증가로 총 2억 2,958만 톤을 처리하였다.

 

  한편, 2021년 12월 항만물동량은 총 1억 3,477만 톤으로 전년 동월(1억 2,915만 톤) 대비 4.4% 증가하였고, 그 중 수출입 물동량은 1억 1,371만 톤으로 전년 동월(1억 925만 톤) 대비 4.1% 증가하였다.

 

 

[ 전국 무역항 항만물동량(2021년) ]

(단위 : 만 톤, %)

 

구 분

2020년

최근 3개월

2021년

’21.10월

’21.11월

’21.12월

총물동량

149,925

13,650

12,937

13,477

158,071

전년 동기 대비 

△8.8

5.9

△1.2

4.4

5.4

 

수 출 입

127,623

11,582

10,953

11,371

135,113

 

연    안

22,302

2,068

1,984

2,106

22,958

 

  항만별(물동량 기준)로 보면 부산항, 광양항, 인천항이 전년 대비 각각 7.6%, 6.9%, 3.8% 증가하는 등 대부분의 항만이 전년 대비 증가세를 기록하였으나, 울산항은 1.7% 감소하였다.

 

[ 주요 무역항별 물동량(2021년) ]

(단위: 만 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a9c241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69pixel, 세로 417pixel

 

《 컨테이너 화물 》

 

  2021년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수출입 물동량 증가 및 환적 물량의 증가에 힘입어 전체적으로는 전년(2,910만 TEU) 대비 3.1% 증가한 3,000만 TEU를 기록하였다.

 

  수출입은 미국(11.1%), 중국(3.3%) 등 주요 국가의 물동량이 증가하여, 전년(1,643만 TEU) 대비 4.3% 증가한 1,714만 TEU를 기록하였다. 전년과 대비하여 수출 물동량은 3.2% 증가한 855만 TEU, 수입 물동량은 5.4% 증가한 858만 TEU를 달성하였다.

 

  환적은 전년(1,249만 TEU) 대비 1.5% 증가한 1,268만 TEU를 기록하였다.

 

[ 전국 무역항 컨테이너 물동량(2021년) ]

(단위 : 천TEU, %)

 

구 분

2020년

최근 3개월

2021년

’21.10월

’21.11월

’21.12월

총물동량

29,101

2,602

2,413

2,489

29,997

전년 동기 대비 

△0.4

3.1

△6.6

△0.5

3.1

 

수 출 입

16,429

1,476

1,357

1,438

17,135

환    적

12,487

1,112

1,041

1,033

12,681

 

연    안

185

14

15

18

181

 

  부산항은 전년(2,182만 TEU) 대비 4.0% 증가한 2,269만 TEU를 기록하였다.

 

 수출입은 전년(980만 TEU) 대비 6.4% 증가한 1,043만 TEU를 처리하였으며, 이는 주요 교역국들의 물동량 증가(중국 5.2%↑, 미국 10.6%↑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환적은 전년(1,202만 TEU) 대비 2.0% 증가한 1,226만 TEU를 처리하였는데, 이는 대(對) 중국 물동량 증가(1.4%↑)와 대(對) 러시아 물동량 증가(30.6%↑)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인천항은 전년(327만 TEU) 대비 2.5% 증가한 335만 TEU를 기록해 인천항 개장 이후, 최대 컨테이너 처리실적을 기록하였다.

 

  수출입은 전년(319만 TEU) 대비 3.1% 증가한 329만 TEU를 처리하였으며, 이는 2020년 개설한 중국․베트남 신규항로 개설효과가 지속(중국 2.3%↑, 베트남 3.3%↑)된 것으로 분석된다. 환적은 전년(6.9만 TEU) 대비 21.8% 감소한 5.4만 TEU를 처리하였는데, 이는 일부 선사들이 중국 항만 적체에 따라 인천항 환적을 기피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광양항은 전년(216만 TEU) 대비 1.6% 감소한 212만 TEU를 기록하였다.

 

  수출입은 전년(179만 TEU) 수준을 유지한 179만 TEU를 처리하였으며,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미국과 베트남 물동량은 각각 14.0%, 1.0% 증가하였으나 중국과 일본 물동량은 각각 8.5%, 14.2% 감소하였다. 환적은 전년(37만 TEU) 대비 다소 감소한 33만 TEU를 처리하였다. 이는 중국, 미국, 일본 환적 물동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 비컨테이너 화물 》

 

  전국 항만의 2021년 비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총 10억 4,956만 톤으로 전년(9억 9,949만 톤) 대비 5.0% 증가하였고, 광양항, 인천항, 평택·당진항 등은 증가세를 나타냈으나 울산항은 감소세를 나타냈다.

 

[ 전국 무역항 비컨테이너 물동량(2021년) ]

(단위 : 만 톤, %)

 

구 분

2020년

최근 3개월

2021년

’21.10월

’21.11월

’21.12월

총물동량

99,949

9,023

8,577

9,037

104,956

전년 동기 대비 

△6.5

7.0

1.5

6,4

5.0

 

수 출 입

77,811

6,967

6,607

6,949

82,160

 

연    안

22,138

2,056

1,970

2,088

22,796

 

  광양항은 철강수요의 증가에 따른 제철산업(철광석 수입, 유연탄 수입, 철강제품 수출) 관련 물동량 증가, 유류와 자동차 물동량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년(2억 3,918만 톤) 대비 7.9% 증가한 2억 5,801만 톤을 기록하였다.

 

 

  울산항은 자동차 수송 물동량과 석유화학제품(석유정제품, 화학공업제품)의 수입 물동량은 증가하였으나 원유 및 기타광석 등이 감소하면서 전년(1억 8,132만 톤) 대비 1.3% 감소한 1억 7,901만 톤을 기록하였다.

 

  인천항은 유연탄 수입 물동량은 감소하였으나, 원유 및 석유가스의 수입 물동량과 자동차 수출 물동량의 증가 영향으로 전년(1억 156만 톤) 대비 4.0% 증가한 1억 563만 톤을 기록하였다.

 

  평택·당진항은 유연탄 수입 물동량은 감소하였으나, 유류(석유정제품 및 석유가스)와 철광석 수입 물동량, 자동차 수출 물동량의 증가 영향으로 전년(9,485만톤) 대비 7.9% 증가한 1억 230만 톤을 기록하였다.

 

  대산항은 유연탄 수입 물동량은 감소하였으나 석유화학 생산시설 운영 재개 및 석유제품 수요 증가 영향으로 원유 수입량과 화학공업제품 수송 물동량 증가로 전년(8,315만 톤) 대비 4.4% 증가한 8,683만톤을 기록하였다.

 

  품목별로 보면 유류, 광석, 유연탄, 자동차가 각각 3.3%, 5.4%, 4.9% 22.9% 증가하였다.

 

  유류는 석유제품의 수출 물동량 감소에 따른 원유 수입량은 소폭 감소하였으나 LNG 기지가 소재한 평택·당진항, 마산항, 호산항 등의 수입 물동량 증가 영향으로 전년(4억 4,919만 톤) 대비 3.2% 증가한 4억 6,402만 톤을 기록하였다.

 

  광석은 브라질 수입 물동량은 감소하였으나, 우리나라 주요 수입국인 호주와 아프리카, 중국의 수입 물동량 증가로 전년(1억 3,361만 톤) 대비 5.4% 증가한 1억 4,087만 톤을 기록하였다.

 

  유연탄은 발전소가 소재한 인천항, 보령항, 대산항, 삼천포항 등의 수입 물동량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비발전산업용(광양항 및 포항항 제철 생산용) 물동량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년(1억 2,095만 톤) 대비 4.9% 증가한 1억 2,682만 톤을 기록하였다.

 

  자동차는 수입 및 환적 물동량의 증가에 따라 전년(6,933만 톤) 대비 22.9% 증가한 8,522만 톤을 기록하였다.

 

 

  이민석 해양수산부 항만물류기획과장은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수출과 무역의 호조로 인해 2021년 컨테이너 물동량은 코로나 이전으로 회복하였다.”라고 밝혔다. “다만, 세계 주요 항만의 연쇄적 적체로 인한 글로벌 해상물류 차질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므로, 터미널 장치율(컨테이너의 쌓여 있는 정도) 관리 및 수출화물 임시 보관 장소의 원활한 운영을 통해 수출입 물류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농업 현장, AI 기술 접목으로 데이터 수집과 활용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9월 23일(화) 오후, 경북 상주시 스마트팜 혁신밸리 내 실증 온실에서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스마트농업데이터 수집 및 활용 서비스에 대한 시연회를 개최했다. 이번 시연회는 AI를 활용한 스마트농업데이터 서비스 실증 지원 사업*을 소개하고, 지원을 통해 상용화가 되었거나 예정된 서비스를 실제 현장에서 구현해 봄으로써 기술 수준 및 해당 서비스의 현장 보급 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행사에는 스마트농업에 관심 있는 청년 농업인 및 스마트팜 기업, 솔루션·농자재 업체, 재배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 스마트농업데이터 서비스 실증 지원 사업 개요 : 데이터 및 AI를 적용한 스마트농업 서비스의 현장 실증 및 모델 고도화, 사업화 관련 비용 지원(’23~) 농식품부는 지역의 스마트팜 우수농가 및 스마트팜 혁신밸리,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단지 등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스마트농업 빅데이터 플랫폼(smartfarmkorea.net)에 연계하여 수집하고 이를 개방하고 있다. 아울러,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활용할 수 있도록 AI를 적용한 서비스에 대한 실증사업도 ’23년부터 적극 지원해 오고 있다. 시

축산

더보기
한우 생산혁신 멘토단 본격 운영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한우 사육기간 단축의 일환으로 9월 26일(금) 오전 충남 천안시 소재 상록리조트에서 ‘한우 생산혁신 멘토∙멘티단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지난 4월 출범한 멘토단 16명과 농협경제지주∙축산물품질평가원∙멘토단 등이 논의하여 지난 8월 선발한 멘티단 88명 등을 대상으로 정부의 ‘소 사육방식 개선 방안’ 관련 정책방향과 멘토∙멘티단 운영 계획 등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진다. 향후 한우 생산혁신 멘토단은 후계농과 창업농 등으로 구성된 멘티를 대상으로 농장을 직접 찾아가 암소개량부터 사양기술 및 축사 환경 관리 요령 등을 1:1 개별 멘토링하게 되며, 멘토단과 멘티단이 간담회 방식으로 모여 각종 경험과 기술적 노하우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5~10명 규모의 지역 단위 소규모 학습조직도 별도로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이번 워크숍을 계기로 멘토∙멘티단 운영이 본 궤도에 올라 한우 사육기간 단축 기술과 노하우가 일선 농가들에게 빠르게 전수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생산비 절감을 통한 농가의 수익성 제고 및 한우 소비자가격 합리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농식품부는 한우산업 중장기 경쟁력 강화

식품

더보기
“계절의 맛을 담은 가을 한우 미식” 한우자조금, 제철 과일과 즐기는 한우 이색 레시피 공개
가을은 오감을 만족시키는 미식의 계절이다. 따사로운 햇살을 머금고 무르익은 제철 과일은 그 자체로도 달콤하고 향긋하지만, 깊고 풍부한 맛의 한우와 만나면 더욱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부드러운 한우와 아삭한 과일이 어우러진 이색 조합은 건강과 풍미를 동시에 살리며, 계절이 전하는 낭만까지 식탁 위에 담아낸다. 이에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 이하 한우자조금)는 가을철 제철 과일과 한우가 조화를 이루는 이색 레시피를 소개한다. ◆ 무화과와 한우 안심, 담백하게 완성한 가을의 맛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무화과는 은은한 단맛과 부드러운 식감으로 한우 안심의 담백함을 돋운다. 짧은 수확기로 인해 ‘가을의 보석’이라 불리는 무화과는 초가을 미식을 대표하는 과일로, 상징적 의미도 크다. 먼저 무화과를 4등분하여 190℃로 예열한 오븐에서 약 10분간 가볍게 구워 향을 살리고, 한우 안심은 소금·후추·올리브오일을 뿌려 겉면만 빠르게 구운 뒤 얇게 썬다. 접시에 루꼴라를 깔고 구운 무화과와 얇게 썬 한우 안심을 올린 다음, 그라나 파다노 치즈를 얇게 깎아 얹고 발사믹 글레이즈로 마무리하면 고소함과 감미로움이 균형을 이루는 가벼운 가을 한 접시가 완성된다. 과일의 산

산림

더보기
누구나 즐기는 숲속 요리체험, ‘휴레스토랑’ 개최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23일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소재 피노키오자연휴양림에서 청각장애인 24명이 참여한 가운데 산림문화 행사인 <누구나 즐기는 숲속 체험 ‘휴레스토랑’>을 개최했다. ‘휴레스토랑’은 참가자들이 표고버섯, 취나물 등 국산 임산물을 이용하여 음식을 만들어 먹으며 휴양림의 자연을 만끽하도록 설계된 국립자연휴양림의 대표적인 산림 문화 프로그램이다. 이날 행사는 (사립)피노키오자연휴양림과 협업으로 이뤄졌으며, 청각장애인과 함께 진행하는 프로그램인 만큼 테이블마다 요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 안내문을 비치하였고, 지역 수어 통역센터에서 파견된 수어 통역사가 함께해 원활한 의사소통을 도왔다.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지난 5월, 전북 진안의 (공립)데미샘자연휴양림과 협력해 청각장애인 대상 ‘휴레스토랑’을 한차례 진행한 바 있으며, 오는 30일에도 국립진도자연휴양림에서 동일 행사를 운영할 예정이다. 특히, 국립진도자연휴양림은 점자 안내와 수어 영상이 포함된 ‘수어숲해설 안내판’을 갖추어 시·청각장애인 모두가 제약 없이 숲해설을 즐길 수 있는 휴양림이다. 김판중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산림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장애인들이 더 자주, 더 편안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