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토교통

‘21년 공급실적 및 12월 주택통계(미분양, 거래량, 건설실적)

⑴ (‘21년 실적) ’21년들어 인허가, 착공 등 주택 공급 선행 지표가 개선되어 향후 입주 실적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예정입니다.  

 

  ➊ (인허가) 전체주택 54.5만호, 아파트 42.3만호로 전년 대비 각각 19.2%, 20.4% 증가하였으며, 특히, 서울 아파트의 경우 5.4만호로 전년(3.0만호) 대비 76.5% 급증하였습니다.

 

    * 연도별 전국 주택 인허가 실적(만호): (‘18) 55.4 (’19) 48.8 (‘20) 45.8 (’21) 54.5

             서울 APT 인허가 실적(만호): (‘18) 3.3 (’19) 3.6 (‘20) 3.0 (’21) 5.4

 

주택 인허가 실적(단위:만호)

주택 착공 실적(단위:만호)

 

 

 

 

  ➋ (착공) 분양·입주와 직결되는 착공 실적도 전체 58.4만호, 아파트 47.3만호로 전년(52.6, 42.3) 대비 각각 10.9%, 11.6% 증가하였습니다.

 

   - 특히, 아파트 착공실적(47.3만호)이 예년(‘11~’20, 36.2만호)대비 크게 늘고 있어 향후 아파트 분양·입주실적도 증가할 전망입니다.  

 

    * 연도별 전국 주택 착공실적(만호): (‘18) 47.1 (’19) 47.9 (‘20) 52.6 (’21) 58.4

             전국 APT 착공실적(만호): (‘18) 33.5 (’19) 37.4 (‘20) 42.3 (’21) 47.3

 

  ➌ (분양) 분양(사전청약 포함) 실적은 37.5만호로 작년(34.9만호)대비
7.3% 증가하여 실수요자에게 보다 많은 주택이 공급되었습니다.

 

    * 연도별 전국 분양 실적(만호): (‘18) 28.3 (’19) 31.4 (‘20) 34.9 (’21) 37.5(사전청약 3.8만호)

 

    ※ 서울 분양실적은 0.9만호로 저조하나, 작년 서울 APT 착공 실적이 예년(4.0만호) 및 전년(4.2만호) 대비 각각 10.8%, 3.8% 증가한 4.3만호인 점을 감안 시, 사업 착수지연이 아닌 단순 분양순연으로 입주 지연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

 

      ⇨ 순연 물량으로 금년에는 예년(3.5만호)대비 1.5만호 많은 5만호 이상 분양 예정 

 

 ➍ (준공) 준공은 43.1만호로 전년(47.1만호) 대비 소폭 감소하였습니다.

 

   - 다만, 수급 핵심지표인 아파트 입주물량은 전국, 수도권, 서울 모두 예년 수준을 크게 상회*하고 있으며, 선행 지표 개선, 공급대책 본격화 등으로 ‘22년부터 본격 증가할 예정입니다.

 

    * APT 준공실적(‘21vs10년 平): [전국] 33.2 vs 31.7 [수도권] 19.0 vs 14.8 [서울] 4.7 vs 3.7

 

⑵ (‘22년 전망) 금년에는 선행지표 개선 영향으로 분양, 준공 등
모든 건설지표가 전년 대비 대폭 증가할 전망입니다.

 

    * 공급지표 전망(‘21→’22E) : [분양] 37.5(사전청약 3.8)→46.0(사전청약 7.0), [입주] 43.1→48.8

       <‘11~’20년 평균>                      <34.8>                    <46.9>

 

 

  ➊ (분양) 올해에는 전국 39만호 분양물량에 사전청약 7.0만호까지 합쳐 예년(‘11년∼’20)  대비 30% 많은 총 46만호가 공급될 예정으로 수급안정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특히, 서울에서만 약 5만호 수준의 분양이 계획*되어 있으며, 전년(3.8만호) 대비 두 배 수준인 7만호에 달하는 사전청약 물량도 매분기별 1만호 이상 공급해 나갈 계획으로 실수요자에게 충분한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민간기관 분양전망(만호): [전국] 41.8~49.7 [수도권] 20.4~23.8 [서울] 4.9~5.2

 

< 연도별 분양실적 및 전망(단위 만호) >

 

37.5만호

(33.7+3.8)

46.0만호

(39.0+7.0)

그림입니다.

 

 

  ➋ (준공) 선행지표 개선, 전세대책 등 본격화로 전체 입주 물량은  ‘22년부터 본격적인 증가세로 전환됩니다.

 

    * 입주 전망(‘21→’22E): [전국] 43.1→48.8 [수도권] 24.7→27.3 [서울] 7.1→8.1

 

⑶ (중장기) `23년 이후에는 3기 신도시 등 공급대책 본격화 등으로 연평균 전국 56만호 규모의 주택이 공급될 예정입니다.

 

 ㅇ 향후 정부 공급대책과 서울시 신통기획(연 2.6만호)등 본격 추진으로 공공·민간이 함께 시너지를 발휘하면 중장기 공급여건은 더욱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전국·수도권 전체주택 입주전망(단위: 만호)

전국·수도권 APT 입주전망(단위: 만호)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ce60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1pixel, 세로 289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ce603a5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1pixel, 세로 289pixel

 

 

< 중장기 공급전망(국토부 추정, 단위 : 만호) >

 

 

10년平

‘21

‘22e

‘23e

‘21~’30E平

전국

전체

46.9

43.1

48.8

54.0

56.3

APT

31.7

33.2

35.7

40.7

43.6

수도권

전체

23.4

24.7

27.3

31.7

31.4

APT

14.8

19.0

19.1

23.3

23.6

서울

전체

7.3

7.1

8.1

8.3

10.7

APT

3.7

4.7

3.6

4.8

6.9

 

Ⅱ. ‘21.12월 주택통계(미분양, 거래량, 건설실적) 

 

 

1. 미분양 주택

 

□ ‘21.12월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총 17,710호로 집계되었으며, 전월(14,094호) 대비 25.7%(3,616호) 증가하였습니다.

 

   * ‘20.12월 19,005호 → ‘21.4월 15,798호 → ‘21.8월 14,864호 → ‘21.12월 17,710호

 

 ㅇ 수도권은 1,509호로 전월(1,472호) 대비 2.5%(37호) 증가하였으며, 지방은 16,201호로 전월(12,622호) 대비 28.4%(3,579호) 증가하였습니다.

 

   * (수도권) ‘20.12월 2,131호 → ‘21.4월 1,589호 → ‘21.8월 1,183호 → ‘21.12월 1,509호

   * (지   방) ‘20.12월 16,874호 → ‘21.4월 14,209호 → ‘21.8월 13,681호 → ‘21.12월 16,201호

 

□ 준공 후 미분양은 7,449호로 전월(7,388호) 대비 0.8%(61호) 증가하였습니다.

 

   * ‘20.12월 12,006호 → ‘21.4월 9,440호 → ‘21.8월 8,177호 → ‘21.12월 7,449호

 

□ 규모별로 전체 미분양 물량을 보면,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은 1,019호로 전월(402호) 대비 153.5%(617호) 증가하였고, 85㎡ 이하는 16,691호로 전월(13,692호) 대비 21.9%(2,999호) 증가하였습니다.

 

2. 주택 거래량

 

【➊ 주택 매매거래량】

 

□ ’21.12월 주택 매매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53,774건으로 집계되었습니다.

 

 ㅇ 전월(‘21.11월, 67,159건) 대비 19.9% 감소, 전년 동월(’20.12월, 140,281건) 대비 61.7% 감소하였으며, 동월 기준 ‘08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였습니다. 

 

    * 연도별 12월 거래량(만건):  (‘08)4.0→(’17)7.2 → (’18)5.6→ (’19)11.8→ (’20)14.0→ (’21)5.4

 

 ㅇ 또한, ’21.12월까지 누계 주택 매매거래량은 1,015,171건으로 전년 동기(1,279,305건) 대비 20.6% 감소하였습니다.

 

   *  연도별 12월 누계(만건):  (’17)94.7→ (’18)85.6→ (’19)80.5→ (’20)127.9→ (’21)101.5

 

 

< 월별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 >

< 월별 서울 주택 매매거래량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2b8ec12ec.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9pixel, 세로 269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2b8e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8pixel, 세로 268pixel

 

 

(지역별) 수도권(21,573건)은 전월 대비 18.2% 감소, 전년 동월 대비 65.9% 감소, 지방(32,201건)은 전월 대비 21.1% 감소, 전년 동월 대비 58.2% 감소

 

 ’21.12월까지 누계 기준, 수도권(479,227건)은 전년동기 대비 25.4% 감소, 지방(535,944건)은 15.8% 감소하였습니다.

 

< ’21.12월 지역별 거래량 및 증감률(단위: 건) >

구 분

’21.12월

’21.11월

’20.12월

증감률(’21년 12월)

누계(1∼12월)

전월比

전년동월比

5년 12월

평균比

거래량

전년

동기比

5년 12월누계평균比

전 국

53,774

67,159

140,281

△19.9%

△61.7%

△43.4%

1,015,171

△20.6%

2.7%

수도권

21,573

26,365

63,203

△18.2%

△65.9%

△54.0%

479,227

△25.4%

△7.3%

서 울

6,394

7,801

16,190

△18.0%

△60.5%

△57.8%

126,834

△28.6%

△28.0%

지 방

32,201

40,794

77,078

△21.1%

△58.2%

△33.0%

535,944

△15.8%

13.7%

 

 (유형별) 아파트(30,484건)는 전월 대비 25.9% 감소, 전년 동월 대비 71.2% 감소, 아파트 외(23,290건)는 전월 대비 10.5% 감소, 전년 동월 대비 32.0% 감소

 

  ’21.12월까지 누계 기준, 아파트 거래량(669,182건)은 전년동기 대비 28.4% 감소, 아파트 외(345,989건)는 0.2% 증가하였습니다.

 

< ’21.12월 주택 유형별 거래량 및 증감률(단위: 건) >

구 분

’21.12월

’21.11월

’20.12월

증감률(’21년 12월)

누계(1∼12월)

전월比

전년

동월比

5년 12월

평균比

거래량

전년

동기比

5년

12월누계평균比

전체

53,774

67,159

140,281

△19.9%

△61.7%

△43.4%

1,015,171

△20.6%

2.7%

아파트

30,484

41,141

106,027

△25.9%

△71.2%

△54.1%

669,182

△28.4%

0.1%

(수도권)

8,952

11,919

44,640

△24.9%

△79.9%

△70.8%

275,141

△37.6%

△17.1%

(서  울)

1,634

2,305

8,764

△29.1%

△81.4%

△81.2%

49,751

△47.0%

△49.5%

아파트외

23,290

26,018

34,254

△10.5%

△32.0%

△18.2%

345,989

0.2%

8.2%

 

【➋ 전월세 거래량】

 ※ (유의사항) ‘21.6.1일부터 「주택 임대차 신고제」가 시행되어 집계범위가 확대
됨에 따라 시계열 데이터(전월比, 전년동월比, 5년평균比) 사용에 유의할 필요

 

  ㅇ 또한, 상대적으로 확정일자 신고율이 낮은 갱신 계약 거래 건수가 과소 반영될 가능성이 높음(동 사유로 전월세 거래량은 국가승인통계가 아님)

 

  임대차 신고제 자료와 확정일자 신고* 자료를 합산한 ’21.12월 전월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215,392건**으로 집계되었습니다.

 

    * 임대차 신고대상이 아니거나 6월 이전계약의 경우 종전방식의 확정일자로 신고

   ** 임대차신고제 13.4만 건 + 확정일자 8.1만 건

 

  전월(192,990건) 대비 11.6% 증가, 전년 동월(183,230건) 대비 17.6% 증가,  5년 평균(150,835건) 대비 42.8% 증가하였습니다.

 

    * 연도별 12월 거래량(만건) :   (’17)12.7→(’18)14.3→(’19)16.7→(’20)18.3→(’21)21.5

 

 또한, ’21.12월까지 누계 전월세 거래량(2,351,574건)은 전년 동기(2,189,631건) 대비 7.4% 증가, 5년 평균(1,860,922건) 대비 26.4% 증가하였습니다.

 

    * 연도별 12월 누계(만건) : (’17)167.4→(’18)183.1→(’19)195.4→(’20)219.0→(’21)235.2

< 월별 전국 전월세 거래량 >

< 월별 서울 전월세 거래량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360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33pixel, 세로 29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8360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36pixel, 세로 273pixel

 

 

 (지역별) 수도권(140,702건)은 전월 대비 9.6% 증가, 전년 동월 대비 16.0% 증가, 지방(74,690건)은 전월 대비 15.6% 증가, 전년 동월 대비 20.5% 증가

 

< ’21.12월 지역별 전월세 거래량 (단위: 건) >

구 분

’21.12월

’21.11월

’20.12월

증감률(’21년 12월)

누계(1∼12월)

전월比

전년동월比

5년 12월

평균比

거래량

전년

동기比

5년 12월누계평균比

전 국

215,392

192,990

183,230

11.6%

17.6%

42.8%

2,351,574  

7.4%

26.4%

수도권

140,702

128,382

121,249

9.6%

16.0%

42.2%

1,593,491

7.1%

28.4%

서 울

67,622

58,616

57,007

15.4%

18.6%

43.5%

744,903

6.7%

25.6%

지 방

74,690

64,608

61,981

15.6%

20.5%

44.0%

758,083

8.0%

22.3%

 

 (유형별) 아파트(106,289건)는 전월 대비 12.5% 증가, 전년 동월 대비 20.2% 증가, 5년 평균 대비 42.8% 증가하였으며, 아파트 외(109,103건)는 전월 대비 10.8% 증가, 전년 동월 대비 15.1% 증가, 5년 평균대비 42.8% 증가하였습니다.

 

《 ’21.12월 주택유형별 전월세 거래량 (단위: 건) 》

구 분

전체주택

아파트

아파트 외

거래량

거래량

전월 比

전년동월 比

5년평균 比

거래량

전월 比

전년동월 比

5년평균 比

전 국

215,392

106,289

12.5%

20.2%

42.8%

109,103  

10.8%

15.1%

42.8%

수도권

140,702

62,389

13.3%

19.3%

40.4%

78,313

6.8%

13.5%

43.6%

서 울

67,622

23,882

29.0%

25.9%

45.2%

43,740

9.1%

15.0%

42.6%

지 방

74,690

43,900

11.3%

21.5%

46.3%

30,790

22.3%

19.1%

40.9%

 

 (임차유형별) 전세 거래량(115,989건)은 전월 대비 9.0% 증가, 전년 동월 대비 7.3% 증가, 5년 평균대비 30.3% 증가하였습니다.

 

  월세 거래량(99,403건)은 전월 대비 14.8% 증가, 전년 동월 대비 32.3% 증가, 5년 평균 대비 60.8% 증가하였습니다.

 

《 ’21.12월 임차유형별 전월세 거래량 (단위: 건) 》

구 분

’21.12월 거래량

증감률 (전월 比 / 전년동월 比 / 5년 평균 比)

합계

전세

월세

합계

전세

월세

전 국

215,392

115,989

99,403

11.6% /  17.6% / 42.8%

9.0% / 7.3% / 30.3%

14.8% / 32.3% / 60.8%

수도권

140,702

75,170

65,532

9.6% / 16.0% / 42.2%

6.1% / 4.7% / 26.8%

13.8% / 32.6% / 65.0%

서 울

67,622

34,429

33,193

15.4% / 18.6% / 43.5%

8.2% / 5.4% / 24.5%

23.9% / 36.3% / 70.4%

지 방

74,690

40,819

33,871

15.6% /  20.5% / 44.0%

14.8% / 12.5% / 37.2%

16.7% / 31.8% / 53.1%

 

 ㅇ ‘21.12월까지 누계 기준, 월세 거래량 비중은 43.5%로 전년 동월(40.5%) 대비 3.0%p 증가, 5년 평균(41.4%) 대비 2.1%p 증가하였습니다.

 

   * 연도별 12월 누계(%) : (’17)42.5→ (’18)40.5→ (’19)40.1→ (’20)40.5→ (’21)43.5

 

《 ‘21.12월 누계 거래 건 중 월세 거래량 비중 (단위: %) 》

구 분

전체주택

아파트

아파트 외

5년 평균

’19

’20

’21

5년 평균

’19

’20

’21

5년 평균

’19

’20

’21

전 국

41.4

40.1

40.5

43.5

36.1

35.3

35.8

38.0

46.0

44.5

44.9

48.5

수도권

40.0

38.8

39.5

42.9

34.7

34.1

35.3

39.1

44.0

42.3

42.8

45.7

서 울

42.1

40.4

41.1

45.6

31.9

31.1

31.9

40.4

47.2

45.0

45.7

48.1

지 방

44.0

42.5

42.6

44.8

38.3

36.9

36.5

36.3

51.3

50.2

51.0

56.4

 

  ※ 해당 자료는 전체 임차시장의 전·월세 비율이 아닌 확정일자(임대차신고 포함) 신고 집계건의 전·월세 비율이며, 상대적으로 갱신계약 비율이 높은 전세거래 건수가 과소 추정 될 수 있으므로 자료 해석에 유의할 필요

 

3. 주택 건설실적

 * 전체주택 대상, 12월 누계기준

 

【➊ 인허가 실적】

 

 (종합)   12월 누계 주택 인허가실적은 전국 545,412호로 전년 동기 대비(457,514호) 19.2% 증가하였습니다.

< 월별 인허가 실적 추이 >

< 연간 12월 누계 인허가 실적 추이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c6143f30.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4pixel, 세로 266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c614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1pixel, 세로 266pixel

 

 

(지역별) 수도권은 291,348호로 전년 동기 대비 15.5% 증가, 지방은 254,064호로 전년 동기 대비 23.8% 증가하였습니다.

 

(단위 : 호)

구  분

2021

2020

전년대비 증감

5년대비 증감

10년대비 증감

12월

1~12월

12월

1~12월

12월

1~12월

12월

1~12월

12월

1~12월

전 국

97,320

545,412

96,803

457,514

0.5%

19.2%

0.2%

△5.3%

△5.0%

△4.9%

수도권

63,893

291,348

60,737

252,301

5.2%

15.5%

13.3%

△0.7%

13.2%

2.2%

(서울)

5,261

83,260

7,724

58,181

△31.9%

43.1%

△46.0%

11.3%

△50.3%

5.1%

(인천)

6,159

21,764

7,404

28,745

△16.8%

△24.3%

22.8%

△30.9%

16.7%

△24.6%

(경기)

52,473

186,324

45,609

165,375

15.0%

12.7%

26.0%

△0.4%

29.3%

5.2%

지  방

33,427

254,064

36,066

205,213

△7.3%

23.8%

△17.9%

△10.0%

△27.2%

△11.9%

 

(유형별) 전국 아파트는 423,363호로 전년 동기 대비 20.4% 증가하였으며, 아파트 외 주택은 122,049호로 전년 동기 대비 15.3% 증가하였습니다.

 

(단위 : 호)

구 분

2021

2020

전년대비 증감

5년대비 증감

10년대비 증감

12월

1~12월

12월

1~12월

12월

1~12월

12월

1~12월

12월

1~12월

97,320

545,412

96,803

457,514

0.5%

19.2%

0.2%

△5.3%

△5.0%

△4.9%

아파트

84,128

423,363

87,456

351,700

△3.8%

20.4%

△0.3%

0.3%

△3.4%

5.7%

(수도권)

55,956

221,440

55,192

191,615

1.4%

15.6%

14.9%

7.1%

17.1%

15.8%

(서울)

1,552

53,662

5,537

30,404

△72.0%

76.5%

△76.3%

34.4%

△78.0%

32.4%

비아파트

13,192

122,049

9,347

105,814

41.1%

15.3%

3.7%

△20.6%

△13.6%

△29.5%

 

【➋ 착공 실적】

 

 (종합) 12월 누계 주택 착공실적은 전국 583,737호로 전년 동기 대비(526,311호) 10.9% 증가하였습니다.

 

< 월별 착공 실적 추이 >

< 연간 12월 누계 착공 실적 추이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c614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1pixel, 세로 26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c614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6pixel, 세로 266pixel

 

 

 (지역별) 수도권은 300,141호로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 지방은 283,596호로 전년 동기 대비 14.4% 증가하였습니다.

 

(단위 : 호)

구 분

2021

2020

전년대비 증감

5년대비 증감

10년대비 증감

12월

1~12월

12월

1~12월

12월

1~12월

12월

1~12월

12월

1~12월

전 국

81,859

583,737

106,189

526,311

△22.9%

10.9%

△13.7%

9.0%

1.5%

11.5%

수도권

50,713

300,141

63,673

278,516

△20.4%

7.8%

△8.4%

5.1%

13.8%

14.5%

(서울)

9,184

68,619

8,187

68,068

12.2%

0.8%

△23.8%

△12.7%

△16.3%

△10.7%

(인천)

8,145

37,298

8,799

40,505

△7.4%

△7.9%

47.2%

25.3%

99.8%

56.5%

(경기)

33,384

194,224

46,687

169,943

△28.5%

14.3%

△11.6%

9.5%

13.2%

20.3%

지  방

31,146

283,596

42,516

247,795

△26.7%

14.4%

△21.1%

13.5%

△13.7%

8.4%

 

  (유형별) 전국 아파트는 472,751호로 전년 동기 대비 11.6% 증가하였으며, 아파트 외 주택은 110,986호로 전년 동기 대비 7.9% 증가하였습니다.

 

(단위 : 호)

구 분

2021

2020

전년대비 증감

5년대비 증감

10년대비 증감

12월

1~12월

12월

1~12월

12월

1~12월

12월

1~12월

12월

1~12월

81,859

583,737

106,189

526,311

△22.9%

10.9%

△13.7%

9.0%

1.5%

11.5%

아파트

87,982

472,751

97,449

423,477

△9.7%

11.6%

4.0%

20.4%

28.1%

30.6%

(수도권)

45,695

235,882

58,325

218,567

△21.7%

7.9%

△7.1%

15.9%

21.1%

36.4%

(서울)

7,105

43,083

5,897

41,502

20.5%

3.8%

△24.2%

△4.2%

△12.6%

8.6%

비아파트*

-6,123

110,986

8,740

102,834

△170.1%

7.9%

△159.8%

△22.4%

△151.1%

△31.4%

 * 비아파트의 (-)수치는 ‘21년도 최종 마감 확인 과정에서 발생

 

【➌ 분양(승인) 실적】

 

 (종합) 12월 누계 공동주택 분양실적은 전국 336,533호로 전년 동기 대비(349,029호) 3.6% 감소하였습니다.

 

< 월별 분양 실적 추이 >

< 연간 12월 누계 분양 실적 추이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c614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2pixel, 세로 26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c614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2pixel, 세로 266pixel

 

 

  (지역별) 수도권은 142,133호로 전년 동기 대비 20.2% 감소, 지방은 194,400호로 전년 동기 대비 13.8% 증가하였습니다.

 

(단위 : 호)

구  분

2021

2020

전년대비 증감

5년대비 증감

10년대비 증감

12월

1~12월

12월

1~12월

12월

1~12월

12월

1~12월

12월

1~12월

전 국

47,511

336,533

56,028

349,029

△15.2%

△3.6%

24.3%

△2.6%

66.8%

△3.3%

수도권

13,140

142,133

24,555

178,174

△46.5%

△20.2%

△30.2%

△19.7%

2.9%

△13.0%

(서울)

184

8,567

2,267

31,802

△91.9%

△73.1%

△94.2%

△74.5%

△93.3%

△75.8%

(인천)

3,155

33,568

7,960

31,069

△60.4%

8.0%

2.9%

44.8%

83.6%

76.3%

(경기)

9,801

99,998

14,328

115,303

△31.6%

△13.3%

△22.3%

△16.8%

17.8%

△8.2%

지  방

34,371

194,400

31,473

170,855

9.2%

13.8%

77.2%

15.4%

118.8%

5.4%

 

 (유형별) 일반분양은 258,176호로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 임대주택은 38,802호로 전년 동기 대비 12.6% 증가, 조합원분은 39,555호로 전년대비 39.2% 감소하였습니다.

 

(단위 : 호)

구 분

2021

2020

전년대비 증감

5년대비 증감

10년대비 증감

12월

1~12월

12월

1~12월

12월

1~12월

12월

1~12월

12월

1~12월

47,511

336,533

56,028

349,029

△15.2%

△3.6%

24.3%

△2.6%

66.8%

△3.3%

일반분양

39,029

258,176

41,943

249,480

△6.9%

3.5%

46.9%

9.4%

97.7%

4.8%

임대주택

3,404

38,802

8,018

34,450

△57.5%

12.6%

△47.2%

△30.6%

△31.4%

△36.0%

조합원분

5,078

39,555

6,067

65,099

△16.3%

△39.2%

△2.5%

△26.1%

34.4%

△3.6%

※ 다만, 수요자에게 실제 공급되는 사전청약 물량까지 포함할 경우 ‘21년 분양실적은 총 37.5만호(33.7+3.8)로 전년 대비 7.3% 증가 

 

 ㅇ ‘22년의 경우 분양예정물량 39만호와 사전청약 7만호를 합하여 예년 대비 약 30% 많은 46만호 규모 주택이 공급될 전망* 

      * 분양전망(만호, 사전청약 포함) (10년 平) 34.8 (‘20) 34.9 (’21) 37.5 (‘22e) 46.0

 

【➍ 준공(입주) 실적】

 

 (종합) 12월 누계 주택 준공실적은 전국 431,394호로 전년 동기 대비(471,079호) 8.4% 감소하였습니다.

< 월별 준공 실적 추이 >

< 연간 12월 누계 준공 실적 추이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c614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48pixel, 세로 26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c614000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5pixel, 세로 268pixel

 

 

  (지역별) 수도권은 247,220호로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 지방은 184,174호로 전년 동기 대비 16.6% 감소하였습니다.

 

(단위 : 호)

구  분

2021

2020

전년대비 증감

5년대비 증감

10년대비 증감

12월

1~12월

12월

1~12월

12월

1~12월

12월

1~12월

12월

1~12월

전 국

75,358

431,394

41,378

471,079

82.1%

△8.4%

32.2%

△20.1%

47.6%

△8.0%

수도권

41,194

247,220

23,180

250,140

77.7%

△1.2%

38.6%

△10.7%

74.1%

5.8%

(서울)

10,173

71,429

8,702

81,406

16.9%

△12.3%

△7.1%

△8.9%

16.4%

△2.1%

(인천)

5,806

25,894

1,017

11,429

470.9%

126.6%

196.7%

60.3%

525.0%

41.1%

(경기)

25,215

149,897

13,461

157,305

87.3%

△4.7%

50.1%

△17.7%

80.2%

5.3%

지  방

34,164

184,174

18,198

220,939

87.7%

△16.6%

25.1%

△30.0%

24.7%

△21.7%

 

(유형별) 전국 아파트는 331,971호로 전년 동기 대비 11.1% 감소하였으며, 아파트 외 주택은 99,423호로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하였습니다.

 

(단위 : 호)

구 분

2021

2020

전년대비 증감

5년대비 증감

10년대비 증감

12월

1~12월

12월

1~12월

12월

1~12월

12월

1~12월

12월

1~12월

75,358

431,394

41,378

471,079

82.1%

△8.4%

32.2%

△20.1%

47.6%

△8.0%

아파트

64,876

331,971

31,034

373,220

109.0%

△11.1%

50.0%

△15.5%

85.0%

4.6%

(수도권)

35,726

190,152

17,402

193,510

105.3%

△1.7%

62.8%

0.7%

140.4%

28.3%

(서울)

7,851

46,651

6,240

56,784

25.8%

△17.8%

△0.4%

11.3%

52.4%

26.2%

비아파트

10,482

99,423

10,344

97,859

1.3%

2.0%

△23.9%

△32.4%

△34.5%

△34.5%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내 손으로 만드는 축산유통 서비스 …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축산유통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축산 유통 서비스 혁신을 위해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축산유통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소비자, 축산업 종사자, 학계, 대학생 등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대국민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공모한다. 공모 주제는 기획 분야와 자율 분야로 구분된다. 기획 분야는 축산유통 디지털화와 스마트 축산 활성화 등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 분야는 품질 평가, 이력제도, 축산유통, 정책 지원, 상생협력 및 지역 발전 등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 전반을 주제로 의견을 공모해 국민이 가진 다양한 축산 유통 관련 의견을 경청한다. 접수 방법은 두 가지이다. 기획안은 구글 폼과 전자 우편으로, 영상(쇼트 폼)은 전자 우편으로 접수할 수 있다. 구글 폼은 포스터 내 정보무늬(큐알코드)와 누리집을 통해 바로 접속 가능하다. * 2025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전자 우편 주소: ekape@kois.co.kr 축산물품질평가원은 6월 30일까지 접수된 내용들을 1차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경인지원,스마트 해썹 확산을 위한 견학 프로그램 운영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경인지원은 5월 29일(목)에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와 협력하여 인천 지역의 중소 식품제조업체 25개소를 대상으로 스마트 해썹 현장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번 현장 견학 프로그램은 스마트 해썹 등록업체인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을 직접 방문하여 스마트 해썹 시스템의 운영 사례와 효과를 현장에서 체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은 최첨단 생산설비를 갖추고 볶음김치, 냉동나물을 생산하는 업체로서 ▲공정별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이력추적 ▲설비 자동 제어 등 디지털 기반 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한 대표적인 스마트 해썹 등록 업체이다. 견학에 참가한 업체들은 기존 해썹에서 스마트 해썹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성과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견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업체 관계자는 “생산 및 관리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전송되는 스마트 해썹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품질을 점검하는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 향후 스마트 해썹 도입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 김정희 센터장은 “관내 식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