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분양 주택 |
‘22.1월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총 21,727호로 집계되었으며, 전월(17,710호) 대비 22.7%(4,017호) 증가하였다.
* ‘21.1월 17,130호 → ‘21.5월 15,660호 → ‘21.9월 13,842호 → ‘22.1월 21,727호
수도권은 1,325호로 전월(1,509호) 대비 12.2%(184호) 감소하였으며, 지방은 20,402호로 전월(16,201호) 대비 25.9%(4,201호) 증가하였다.
* (수도권) ‘21.1월 1,861호 → ‘21.5월 1,303호 → ‘21.9월 1,413호 → ‘22.1월 1,325호
* (지 방) ‘21.1월 15,269호 → ‘21.5월 14,357호 → ‘21.9월 12,429호 → ‘22.1월 20,402호
준공 후 미분양은 7,165호로 전월(7,449호) 대비 3.8%(284호) 감소하였다.
* ‘21.1월 10,988호 → ‘21.5월 9,235호 → ‘21.9월 7,963호 → ‘22.1월 7,165호
규모별로 전체 미분양 물량을 보면,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은 1,424호로 전월(1,019호) 대비 39.7%(405호) 증가하였고, 85㎡ 이하는 20,303호로 전월(16,691호) 대비 21.6%(3,612호) 증가하였다.
2. 주택 거래량 |
【➊ 주택 매매거래량】
22.1월 주택 매매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41,709건으로 집계되었다.
전월(‘21.12월, 53,774건) 대비 22.4% 감소, 전년 동월(’21.1월, 90,679건) 대비 54.0% 감소하였다.
* 연도별 1월 거래량(만건): (’18)7.0 → (’19)5.0 → (’20)10.1 → (’21)9.1 → (’22)4.2
< 월별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 > |
< 월별 서울 주택 매매거래량 > |
|
|
(지역별) 수도권(16,209건)은 전월 대비 24.9% 감소, 전년 동월 대비 65.6% 감소, 지방(25,500건)은 전월 대비 20.8% 감소, 전년 동월 대비 41.4% 감소
5년 평균 1월 거래량 대비로는 수도권은 57.0% 감소, 지방은 30.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22.1월 지역별 거래량 및 증감률(단위: 건) >
구 분 |
’22.1월 |
’21.12월 |
’21.1월 |
증감률(’22년 1월) |
||
전월比 |
전년동월比 |
5년 1월 평균比 |
||||
전 국 |
41,709 |
53,774 |
90,679 |
△22.4% |
△54.0% |
△43.8% |
수도권 |
16,209 |
21,573 |
47,132 |
△24.9% |
△65.6% |
△57.0% |
서 울 |
4,831 |
6,394 |
12,275 |
△24.4% |
△60.6% |
△59.4% |
지 방 |
25,500 |
32,201 |
43,547 |
△20.8% |
△41.4% |
△30.3% |
(유형별) 아파트(24,465건)는 전월 대비 19.7% 감소, 전년 동월 대비 62.0% 감소, 아파트 외(17,244건)는 전월 대비 26.0% 감소, 전년 동월 대비 34.5% 감소
5년 평균 1월 거래량 대비로는 아파트는 52.5%, 아파트 외는 24.3% 각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22.1월 주택 유형별 거래량 및 증감률(단위: 건) >
구 분 |
’22.1월 |
’21.12월 |
’21.1월 |
증감률(’22년 1월) |
||
전월比 |
전년 동월比 |
5년 1월 평균比 |
||||
전체 |
41,709 |
53,774 |
90,679 |
△22.4% |
△54.0% |
△43.8% |
아파트 |
24,465 |
30,484 |
64,371 |
△19.7% |
△62.0% |
△52.5% |
(수도권) |
6,866 |
8,952 |
31,411 |
△23.1% |
△78.1% |
△72.2% |
(서 울) |
1,281 |
1,634 |
5,945 |
△21.6% |
△78.5% |
△80.5% |
아파트외 |
17,244 |
23,290 |
26,308 |
△26.0% |
△34.5% |
△24.3% |
【➋ 전월세 거래량】
※ (유의사항) 6월 1일부터 「주택 임대차 신고제」가 시행되어 집계범위가 확대
ㅇ 또한, 상대적으로 확정일자 신고율이 낮은 갱신 계약 거래 건수가 과소 반영될 가능성이 높음(동 사유로 전월세 거래량은 국가승인통계가 아님) |
임대차 신고제 자료와 확정일자 신고* 자료를 합산한 ’22.1월 전월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204,497건**으로 집계되었다.
* 임대차 신고대상이 아니거나 6월 이전계약의 경우 종전방식의 확정일자로 신고
** 임대차신고제 13.0만 건 + 확정일자 7.5만 건
전월(215,392건) 대비 5.1% 감소, 전년 동월(179,537건) 대비 13.9% 증가, 5년 평균(159,044건) 대비 28.6% 증가하였다.
* 연도별 1월 거래량(만건) : (’18)15.0→(’19)16.9→(’20)17.4→(’21)18.0→(’22)20.4
< 월별 전국 전월세 거래량 > |
< 월별 서울 전월세 거래량 > |
|
|
(지역별) 수도권(132,788건)은 전월 대비 5.6% 감소, 전년 동월 대비 13.8% 증가, 지방(71,709건)은 전월 대비 4.0% 감소, 전년 동월 대비 14.1% 증가
< ’22.1월 지역별 전월세 거래량 (단위: 건) >
구 분 |
’22.1월 |
’21.12월 |
’21.1월 |
증감률(’22년 1월) |
||
전월比 |
전년동월比 |
5년 1월 평균比 |
||||
전 국 |
204,497 |
215,392 |
179,537 |
△5.1% |
13.9% |
28.6% |
수도권 |
132,788 |
140,702 |
116,684 |
△5.6% |
13.8% |
28.9% |
서 울 |
64,062 |
67,622 |
55,797 |
△5.3% |
14.8% |
27.1% |
지 방 |
71,709 |
74,690 |
62,853 |
△4.0% |
14.1% |
28.0% |
(유형별) 아파트(98,742건)는 전월 대비 7.1% 감소, 전년 동월 대비 16.3% 증가, 5년 평균 대비 30.4% 증가하였으며, 아파트 외(105,755건)는 전월 대비 3.1% 감소, 전년 동월 대비 11.8% 증가, 5년 평균대비 26.9% 증가하였다.
《 ’22.1월 주택유형별 전월세 거래량 (단위: 건) 》
구 분 |
전체주택 |
아파트 |
아파트 외 |
||||||
거래량 |
거래량 |
전월 比 |
전년동월 比 |
5년평균 比 |
거래량 |
전월 比 |
전년동월 比 |
5년평균 比 |
|
전 국 |
204,497 |
98,742 |
△7.1% |
16.3% |
30.4% |
105,755 |
△3.1% |
11.8% |
26.9% |
수도권 |
132,788 |
57,615 |
△7.7% |
14.9% |
28.0% |
75,173 |
△4.0% |
13.0% |
29.6% |
서 울 |
64,062 |
20,816 |
△12.8% |
17.3% |
25.0% |
43,246 |
△1.1% |
13.6% |
28.1% |
지 방 |
71,709 |
41,127 |
△6.3% |
18.4% |
34.0% |
30,582 |
△0.7% |
8.8% |
20.8% |
(임차유형별) 전세 거래량(111,319건)은 전월 대비 4.0% 감소, 전년 동월 대비 5.1% 증가, 5년 평균대비 18.3% 증가하였다.
《 ’22.1월 임차유형별 전월세 거래량 (단위: 건) 》
구 분 |
’22.1월 거래량 |
증감률 (전월 比 / 전년동월 比 / 5년 평균 比) |
||||
합계 |
전세 |
월세 |
합계 |
전세 |
월세 |
|
전 국 |
204,497 |
111,319 |
93,178 |
△5.1% / 13.9% / 28.6% |
△4.0% / 5.1% / 18.3% |
△6.3% / 26.5% / 43.4% |
수도권 |
132,788 |
72,126 |
60,662 |
△5.6% / 13.8% / 28.9% |
△4.0% / 5.1% / 17.2% |
△7.4% / 26.3% / 46.1% |
서 울 |
64,062 |
32,765 |
31,297 |
△5.3% / 14.8% / 27.1% |
△4.8% / 4.0% / 12.9% |
△5.7% / 28.8% / 46.4% |
지 방 |
71,709 |
39,193 |
32,516 |
△4.0% / 14.1% / 28.0% |
△4.0% / 5.2% / 20.4% |
△4.0% / 27.1% / 38.6% |
‘22.1월 월세 거래량 비중은 45.6%로 전년 동월(41.0%) 대비 4.6%p 증가, 5년 평균(41.1%) 대비 4.5%p 증가하였다.
* 연도별 1월(%) : (’18)42.5→ (’19)39.3→ (’20)38.3→ (’21)41.0→(’22)45.6
《 ‘22.1월 거래 건 중 월세 거래량 비중 (단위: %) 》
구 분 |
전체주택 |
아파트 |
아파트 외 |
|||||||||
5년 평균 |
’20 |
’21 |
’22 |
5년 평균 |
’20 |
’21 |
’22 |
5년 평균 |
’20 |
’21 |
’22 |
|
전 국 |
41.1 |
38.3 |
41.0 |
45.6 |
35.2 |
32.4 |
37.0 |
38.2 |
46.4 |
44.1 |
44.6 |
52.4 |
수도권 |
40.5 |
37.8 |
41.2 |
45.7 |
34.8 |
32.2 |
39.0 |
40.1 |
44.9 |
42.5 |
42.8 |
50.0 |
서 울 |
42.7 |
39.0 |
43.6 |
48.9 |
32.1 |
26.8 |
39.5 |
40.9 |
48.0 |
45.2 |
45.5 |
52.7 |
지 방 |
42.1 |
39.2 |
40.7 |
45.3 |
35.9 |
32.7 |
34.2 |
35.7 |
49.7 |
48.0 |
48.8 |
58.4 |
※ 해당 자료는 전체 임차시장의 전·월세 비율이 아닌 확정일자(임대차신고 포함) 신고 집계건의 전·월세 비율이며, 상대적으로 갱신계약 비율이 높은 전세거래 건수가 과소 추정 될 수 있으므로 자료 해석에 유의할 필요
주택 매매거래량 및 전월세 거래량 등에 대한 세부 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시스템(www.r-one.co.kr, 부동산정보 앱) 또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누리집(r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주택 건설실적 |
* 전체주택 대상, 1월 기준
【➊ 인허가 실적】
(종합) 1월 주택 인허가실적은 전국 39,614호로 전년 동월 대비(26,183호) 51.3% 증가하였다.
< 월별 인허가 실적 추이 > |
< 연간 1월 인허가 실적 추이 > |
|
|
(지역별) 수도권은 15,164호로 전년 동월 대비 24.7% 증가, 지방은 24,450호로 전년 동월 대비 74.4% 증가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
‘22.1월 |
‘21.1월 |
전년대비 증감 |
5년대비 증감 |
10년대비 증감 |
전 국 |
39,614 |
26,183 |
51.3% |
24.0% |
24.4% |
수도권 |
15,164 |
12,163 |
24.7% |
△6.2% |
△3.7% |
(서울) |
3,790 |
2,695 |
40.6% |
△24.1% |
△18.6% |
(인천) |
446 |
1,327 |
△66.4% |
△76.3% |
△71.8% |
(경기) |
10,928 |
8,141 |
34.2% |
17.6% |
14.8% |
지 방 |
24,450 |
14,020 |
74.4% |
54.8% |
51.9% |
(유형별) 전국 아파트는 33,521호로 전년 동월 대비 71.5% 증가하였으며, 아파트 외 주택은 6,093호로 전년 동월 대비 8.3%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
‘22.1월 |
‘21.1월 |
전년대비 증감 |
5년대비 증감 |
10년대비 증감 |
계 |
39,614 |
26,183 |
51.3% |
24.0% |
24.4% |
아파트 |
33,521 |
19,541 |
71.5% |
50.4% |
56.2% |
(수도권) |
11,799 |
8,042 |
46.7% |
14.6% |
21.3% |
(서울) |
2,394 |
703 |
240.5% |
1.8% |
17.3% |
비아파트 |
6,093 |
6,642 |
△8.3% |
△37.0% |
△41.4% |
【➋ 착공 실적】
(종합) 1월 주택 착공실적은 전국 18,848호로 전년 동월 대비(27,982호) 32.6% 감소였다.
< 월별 착공 실적 추이 > |
< 연간 1월 착공 실적 추이 > |
|
|
(지역별) 수도권은 10,277호로 전년 동월 대비 40.4% 감소, 지방은 8,571호로 전년 동월 대비 20.1%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
‘22.1월 |
‘21.1월 |
전년대비 증감 |
5년대비 증감 |
10년대비 증감 |
전 국 |
18,848 |
27,982 |
△32.6% |
△22.0% |
△21.7% |
수도권 |
10,277 |
17,256 |
△40.4% |
△22.2% |
△10.6% |
(서울) |
4,650 |
2,079 |
123.7% |
41.5% |
29.3% |
(인천) |
310 |
300 |
3.3% |
△75.7% |
△71.1% |
(경기) |
5,317 |
14,877 |
△64.3% |
△38.6% |
△22.1% |
지 방 |
8,571 |
10,726 |
△20.1% |
△21.7% |
△31.9% |
(유형별) 전국 아파트는 13,504호로 전년 동월 대비 40.1% 감소하였으며, 아파트 외 주택은 5,344호로 전년 동월 대비 1.8%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
‘22.1월 |
‘21.1월 |
전년대비 증감 |
5년대비 증감 |
10년대비 증감 |
계 |
18,848 |
27,982 |
△32.6% |
△22.0% |
△21.7% |
아파트 |
13,504 |
22,540 |
△40.1% |
△15.5% |
△11.5% |
(수도권) |
7,040 |
13,871 |
△49.2% |
△14.0% |
9.7% |
(서울) |
3,099 |
581 |
433.4% |
180.0% |
110.0% |
비아파트 |
5,344 |
5,442 |
△1.8% |
△34.7% |
△39.4% |
【➌ 분양(승인) 실적】
(종합) 1월 공동주택 분양실적은 전국 19,847호로 전년 동월 대비(13,454호) 47.5% 증가하였다.
< 월별 분양 실적 추이 > |
< 연간 1월 분양 실적 추이 > |
|
|
(지역별) 수도권은 13,110호로 전년 동월 대비 52.0% 증가, 지방은 6,737호로 전년 동기 대비 39.5% 증가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
‘22.1월 |
‘21.1월 |
전년대비 증감 |
5년대비 증감 |
10년대비 증감 |
전 국 |
19,847 |
13,454 |
47.5% |
106.7% |
124.9% |
수도권 |
13,110 |
8,623 |
52.0% |
175.2% |
291.5% |
(서울) |
1,401 |
173 |
709.8% |
284.3% |
100.0% |
(인천) |
1,114 |
4,136 |
△73.1% |
△41.3% |
3.0% |
(경기) |
10,595 |
4,314 |
145.6% |
323.7% |
576.3% |
지 방 |
6,737 |
4,831 |
39.5% |
39.3% |
23.1% |
(유형별) 일반분양은 16,490호로 전년 동월 대비 42.7% 증가, 임대주택은 1,526호로 전년 동월 대비 142.2% 증가, 조합원분은 1,831호로 전년 동월 대비 44.4% 증가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
‘22.1월 |
‘21.1월 |
전년대비 증감 |
5년대비 증감 |
10년대비 증감 |
계 |
19,847 |
13,454 |
47.5% |
106.7% |
124.9% |
일반분양 |
16,490 |
11,556 |
42.7% |
112.3% |
132.9% |
임대주택 |
1,526 |
630 |
142.2% |
329.1% |
148.8% |
조합원분 |
1,831 |
1,268 |
44.4% |
23.8% |
62.3% |
【➍ 준공(입주) 실적】
(종합) 1월 주택 준공실적은 전국 21,308호로 전년 동월 대비(33,512호) 36.4% 감소하였다.
< 월별 준공 실적 추이 > |
< 연간 1월 준공 실적 추이 > |
|
|
(지역별) 수도권은 13,319호로 전년 동월 대비 41.7% 감소, 지방은 7,989호로 전년 동월 대비 25.2%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
‘22.1월 |
‘21.1월 |
전년대비 증감 |
5년대비 증감 |
10년대비 증감 |
전 국 |
21,308 |
33,512 |
△36.4% |
△48.1% |
△39.9% |
수도권 |
13,319 |
22,829 |
△41.7% |
△39.6% |
△24.6% |
(서울) |
6,021 |
5,276 |
14.1% |
14.6% |
4.8% |
(인천) |
3,872 |
1,956 |
98.0% |
100.5% |
175.6% |
(경기) |
3,426 |
15,597 |
△78.0% |
△76.9% |
△67.4% |
지 방 |
7,989 |
10,683 |
△25.2% |
△57.9% |
△55.1% |
(유형별) 전국 아파트는 13,347호로 전년 동월 대비 45.2% 감소하였으며, 아파트 외 주택은 7,961호로 전년 동월 대비 13.0%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
‘22.1월 |
‘21.1월 |
전년대비 증감 |
5년대비 증감 |
10년대비 증감 |
계 |
21,308 |
33,512 |
△36.4% |
△48.1% |
△39.9% |
아파트 |
13,347 |
24,363 |
△45.2% |
△54.1% |
△40.9% |
(수도권) |
8,670 |
17,821 |
△51.3% |
△43.1% |
△18.5% |
(서울) |
3,949 |
2,846 |
38.8% |
64.7% |
46.0% |
비아파트 |
7,961 |
9,149 |
△13.0% |
△33.3% |
△3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