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1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IT·통신

공공부문 소프트웨어·정보통신기술장비·정보보호 수요예보 ’22년 확정 사업규모 6조원 돌파

- 상용소프트웨어 구매 전년대비 28.9% 성장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는 3월 29일(화) 「2022년 공공부문 소프트웨어(SW)·정보통신기술(ICT)장비·정보보호 수요예보(확정) 온라인 설명회」를 개최하였다.

 

 

  온라인 설명회는 네이버TV, 카카오TV, 유튜브를 통해 참여할 수 있으며, 이번에 발표된 결과는 소프트웨어 산업정보종합시스템(www.swit.or.kr), 정보통신기술 장비공공수요정보시스템(kcnb.iitp.kr) 및 정보보호산업진흥포털(www.ksecurity.or.kr)을 통해 제공된다.

 

   ※ 소프트웨어진흥법 제41조(SW사업의 수요예보),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 제29조(정보통신장비 수요예보), 정보보호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 제6조(구매수요정보의 제공)에 따라 공공부문의 소프트웨어·정보통신기술장비·정보보호 구매 수요와 소프트웨어·정보통신기술장비·정보보호사업 추진계획 매년2회(11월 : 차년도 예정치, 3월 : 당해년도 확정치)조사하여 발표

 

       - 공공부문(국가기관, 지자체, 교육기관, 공공기관)의 2,235기관 조사

 

 조사결과 종합

 

 2022년 공공부문 소프트웨어·정보통신기술 장비 총 사업금액 확정치는 6조 592억원(전년 확정치 대비 3,122억원, 5.4% 증가)으로 조사되었다.

 

  - 세부적으로는 ① 소프트웨어구축 4조 5,998억원(전년대비 2,887억원, 6.7% 증가), ② 상용소프트웨어구매 3,541억원(전년대비 111억원, 3.0% 감소), ③ 정보통신기술장비 1조 1,053억원(전년대비 346억원, 3.2% 증가)으로 집계되었다.

 

  - 이 중 정보보호 관련 내용이 포함된 사업금액은 총 1조 6,452억원(전년대비 3,357억원, 25.6% 증가)이며, 해당사업 내 정보보호 관련 투자·구매 예산은 7,411억원으로 조사되었다.

(단위 : 억원, %, 건)

            

구분

전체(증감률)

소프트웨어구축(비중)

소프트웨어구매(비중)

정보통신기술장비(비중)

2021년

금액

57,470(13.6)

43,111(75.0)

3,652(6.4)

10,707(18.6)

16,239(△2.0)

8,091(49.8)

4,074(25.1)

4,074(25.1)

2022년

금액

60,592(5.4)

45,998(75.9)

3,541(5.9)

11,053(18.2)

16,094(△0.9)

7,943(49.4)

4,074(25.3)

4,077(25.3)

    * 정보통신기술장비는 네트워크, 컴퓨팅, 방송장비를 구분하여 조사

                                                               

분야별 조사결과

                                                                                               

 < ① 소프트웨어구축 사업 >

                                                                                               

  소프트웨어구축 사업금액은 4조 5,998억원이며, 세부적으로는 ⑴ 운영 및 유지관리 사업 2조 4,085억원(총 사업금액의 52.4%), ⑵ 소프트웨어개발 사업 1조 6,226억원(총 사업금액의 35.3%) 등으로 나타났다.

(단위 : 억원, %, 건)

 

구분

전체

정보화전략계획

소프트웨어개발

운영유지

환경구축

콘텐츠

DB구축

2021년

금액

(비중)

43,111

500(1.1)

17,233(40.0)

22,714(52.7)

1,661(3.8)

158(0.4)

845(2.0)

(비중)

8,091

186(2.3)

1,533(19.0)

5,959(73.6)

236(2.9)

70(0.9)

107(1.3)

2022년

금액

(비중)

45,998

576(1.2)

16,226(35.3)

24,085(52.4)

3,974(8.6)

235(0.5)

902(2.0)

(비중)

7,943

200(2.5)

1,225(15.4)

6,030(75.9)

285(3.6)

75(1.0)

128(1.6)

 

  - 또한 금년도 소프트웨어구축 사업 중 대기업참여제한 예외인정사업을 조사한 결과, 이미 인정받은 사업 및 예외인정 신청을 검토 중이라고 응답한 사업은 각 22건(0.28%)으로 나타났다.

 

 < ② 소프트웨어구매 사업 >

 

  상용소프트웨어 구매는 총 6,430억원으로 전년(4,988억원)대비 28.9% 성장(상용소프트웨어 단독 구매 및 소프트웨어구축 사업내 상용소프트웨어 구매를 포함)

 

    ※ 정보통신기술장비 구매를 제외한 공공소프트웨어사업에서 소프트웨어구매가 차지하는 비중은 13.0% (4조 9,539억원 중 6,430억원)으로, 전년대비 2.3%p 증가

 

  - 상용 소프트웨어 단독 구매 사업은 3,541억원이며, 세부적으로는 ⑴ 사무용소프트웨어 1,550억원(총 사업금액의 43.8%) ⑵ 보안소프트웨어 861억원(총 사업금액의 24.3%) 등으로 나타났다.

 

 (단위 : 억원, %, 건)

 

구분

전체

사무용

보안

운영체계

시스템관리

기타

2021년

금액

(비중)

3,652

1,299(35.6)

972(26.6)

233(6.4)

173(4.7)

975(26.7)

(비중)

4,074

1,333(32.7)

1,632(40.0)

179(4.4)

153(3.8)

777(19.1)

2022년

금액

(비중)

3,541

1,550(43.8)

861(24.3)

210(5.9)

188(5.3)

733(20.7)

(비중)

4,074

1,498(36.8)

1,566(38.4)

168(4.1)

130(3.2)

712(17.5)

                                                                                                                                                           

  - 한편, 소프트웨어구축 사업 내 상용소프트웨어구매 금액은 2,889억원으로 나타났다.

 

 (단위 : 억원)

 

구분

‘18년

‘19년

‘20년

‘21년

‘22년

소프트웨어
구매사업 예산

2,891

3,011

3,212

3,652

3,541

소프트웨어구축 사업 내 구매사업 예산

619

1,067

1,586

1,336

2,889

총합

3,510

4,078

4,798

 4,988

6,430

소프트웨어사업 내 상용
소프트웨어구매 비율

10.7%

11.3%

11.8%

10.7%

13.0%

 

< ③ 정보통신기술장비 구매 사업 >

                                                                                                                     

  정보통신기술장비 구매 사업은 1조 1,053억원이며, 세부적으로는 ⑴ 컴퓨팅장비 8,094억원(총 사업금액의 73.2%), ⑵ 네트워크 장비 2,363억원(총 사업금액의 21.4%), ⑶ 방송장비 596억원(총 사업금액의 5.4%)로 나타났다.

 

(단위 : 억원, %, 건)

 

구분

전체

컴퓨팅

네트워크

방송

2021년

금액(비중)

10,707

6,271(58.6)

3,904(36.5)

532(5.0)

건(비중)

4,074

2,459(60.4)

1,280(31.4)

335(8.2)

2022년

금액(비중)

11,053

8,094(73.2)

2,363(21.4)

596(5.4)

건(비중)

4,077

2,406(59.0)

1,365(33.5)

306(7.5)

 

 < ④ 정보보호 구매수요 >

 

  공공부문 소프트웨어·정보통신기술장비 사업 중에 정보보호 관련 내용이 포함된 사업 예산은 총 1조 6,452억원으로 조사되었으며,

 

  - 해당 사업 내 직접적인 정보보호 관련 제품·서비스 구매 예산을 조사한 결과 총 7,411억원(전년대비 6.8% 증가)으로 집계되었다.

 

  - 분야별로는 ⑴ 정보보안 서비스 4,792억원(총 사업금액의 64.7%), ⑵ 정보보안 제품 1,920억원(총 사업금액의 25.9%), ⑶ 물리보안 제품 488억원(총 사업금액의 6.6%), ⑷ 물리보안서비스 211억원(총 사업금액의 2.8%)으로 나타났다.

 

   (단위 : 억원, %, 건)

   

구 분

전 체

정보보안

물리보안

서비스

제품

서비스

제품

2021년

금액

(비중)

6,939

3,672(52.9)

2,659(38.3)

236(3.4)

372(5.4)

(비중)

4,664

1,674(35.9)

2,364(50.7)

373(8.0)

253(5.4)

2022년

금액

(비중)

7,411

4,792(64.7)

1,920(25.9)

211(2.8)

488(6.6)

(비중)

5,042

1,915(38.0)

2,339(46.4)

575(11.4)

213(4.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허원석 소프트웨어정책관은 “공공 소프트웨어·정보통신기술장비·정보보호 사업 규모가 지속 성장한 결과, 최초로 6조원을 돌파하였다. 특히, 공공소프트웨어사업에서 소프트웨어구매가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했다는 점이 고무적이다.”면서, “정부는 앞으로도 민간의 역량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민간의 혁신적인 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는 교두보가RKD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농업 현장, AI 기술 접목으로 데이터 수집과 활용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9월 23일(화) 오후, 경북 상주시 스마트팜 혁신밸리 내 실증 온실에서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스마트농업데이터 수집 및 활용 서비스에 대한 시연회를 개최했다. 이번 시연회는 AI를 활용한 스마트농업데이터 서비스 실증 지원 사업*을 소개하고, 지원을 통해 상용화가 되었거나 예정된 서비스를 실제 현장에서 구현해 봄으로써 기술 수준 및 해당 서비스의 현장 보급 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행사에는 스마트농업에 관심 있는 청년 농업인 및 스마트팜 기업, 솔루션·농자재 업체, 재배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 스마트농업데이터 서비스 실증 지원 사업 개요 : 데이터 및 AI를 적용한 스마트농업 서비스의 현장 실증 및 모델 고도화, 사업화 관련 비용 지원(’23~) 농식품부는 지역의 스마트팜 우수농가 및 스마트팜 혁신밸리,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단지 등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스마트농업 빅데이터 플랫폼(smartfarmkorea.net)에 연계하여 수집하고 이를 개방하고 있다. 아울러,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활용할 수 있도록 AI를 적용한 서비스에 대한 실증사업도 ’23년부터 적극 지원해 오고 있다. 시

축산

더보기
한우 생산혁신 멘토단 본격 운영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한우 사육기간 단축의 일환으로 9월 26일(금) 오전 충남 천안시 소재 상록리조트에서 ‘한우 생산혁신 멘토∙멘티단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지난 4월 출범한 멘토단 16명과 농협경제지주∙축산물품질평가원∙멘토단 등이 논의하여 지난 8월 선발한 멘티단 88명 등을 대상으로 정부의 ‘소 사육방식 개선 방안’ 관련 정책방향과 멘토∙멘티단 운영 계획 등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진다. 향후 한우 생산혁신 멘토단은 후계농과 창업농 등으로 구성된 멘티를 대상으로 농장을 직접 찾아가 암소개량부터 사양기술 및 축사 환경 관리 요령 등을 1:1 개별 멘토링하게 되며, 멘토단과 멘티단이 간담회 방식으로 모여 각종 경험과 기술적 노하우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5~10명 규모의 지역 단위 소규모 학습조직도 별도로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이번 워크숍을 계기로 멘토∙멘티단 운영이 본 궤도에 올라 한우 사육기간 단축 기술과 노하우가 일선 농가들에게 빠르게 전수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생산비 절감을 통한 농가의 수익성 제고 및 한우 소비자가격 합리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농식품부는 한우산업 중장기 경쟁력 강화

식품

더보기
“계절의 맛을 담은 가을 한우 미식” 한우자조금, 제철 과일과 즐기는 한우 이색 레시피 공개
가을은 오감을 만족시키는 미식의 계절이다. 따사로운 햇살을 머금고 무르익은 제철 과일은 그 자체로도 달콤하고 향긋하지만, 깊고 풍부한 맛의 한우와 만나면 더욱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부드러운 한우와 아삭한 과일이 어우러진 이색 조합은 건강과 풍미를 동시에 살리며, 계절이 전하는 낭만까지 식탁 위에 담아낸다. 이에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 이하 한우자조금)는 가을철 제철 과일과 한우가 조화를 이루는 이색 레시피를 소개한다. ◆ 무화과와 한우 안심, 담백하게 완성한 가을의 맛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무화과는 은은한 단맛과 부드러운 식감으로 한우 안심의 담백함을 돋운다. 짧은 수확기로 인해 ‘가을의 보석’이라 불리는 무화과는 초가을 미식을 대표하는 과일로, 상징적 의미도 크다. 먼저 무화과를 4등분하여 190℃로 예열한 오븐에서 약 10분간 가볍게 구워 향을 살리고, 한우 안심은 소금·후추·올리브오일을 뿌려 겉면만 빠르게 구운 뒤 얇게 썬다. 접시에 루꼴라를 깔고 구운 무화과와 얇게 썬 한우 안심을 올린 다음, 그라나 파다노 치즈를 얇게 깎아 얹고 발사믹 글레이즈로 마무리하면 고소함과 감미로움이 균형을 이루는 가벼운 가을 한 접시가 완성된다. 과일의 산

산림

더보기
누구나 즐기는 숲속 요리체험, ‘휴레스토랑’ 개최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23일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소재 피노키오자연휴양림에서 청각장애인 24명이 참여한 가운데 산림문화 행사인 <누구나 즐기는 숲속 체험 ‘휴레스토랑’>을 개최했다. ‘휴레스토랑’은 참가자들이 표고버섯, 취나물 등 국산 임산물을 이용하여 음식을 만들어 먹으며 휴양림의 자연을 만끽하도록 설계된 국립자연휴양림의 대표적인 산림 문화 프로그램이다. 이날 행사는 (사립)피노키오자연휴양림과 협업으로 이뤄졌으며, 청각장애인과 함께 진행하는 프로그램인 만큼 테이블마다 요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 안내문을 비치하였고, 지역 수어 통역센터에서 파견된 수어 통역사가 함께해 원활한 의사소통을 도왔다.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지난 5월, 전북 진안의 (공립)데미샘자연휴양림과 협력해 청각장애인 대상 ‘휴레스토랑’을 한차례 진행한 바 있으며, 오는 30일에도 국립진도자연휴양림에서 동일 행사를 운영할 예정이다. 특히, 국립진도자연휴양림은 점자 안내와 수어 영상이 포함된 ‘수어숲해설 안내판’을 갖추어 시·청각장애인 모두가 제약 없이 숲해설을 즐길 수 있는 휴양림이다. 김판중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산림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장애인들이 더 자주, 더 편안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