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분양 주택 |
‘22.2월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총 25,254호로 집계되었으며, 전월(21,727호) 대비 16.2%(3,527호) 증가하였다.
* ‘21.2월 15,786호 → ‘21.6월 16,289호 → ‘21.10월 14,075호 → ‘22.2월 25,254호
수도권은 2,318호로 전월(1,325호) 대비 74.9%(993호) 증가하였으며, 지방은 22,936호로 전월(20,402호) 대비 12.4%(2,534호) 증가하였다.
* (수도권) ‘21.2월 1,597호 → ‘21.6월 1,666호 → ‘21.10월 1,290호 → ‘22.2월 2,318호
* (지 방) ‘21.2월 14,189호 → ‘21.6월 14,623호 → ‘21.10월 12,785호 → ‘22.2월 22,936호
준공 후 미분양은 7,133호로 전월(7,165호) 대비 0.4%(32호) 감소하였다.
* ‘21.2월 10,779호 → ‘21.6월 9,008호 → ‘21.10월 7,740호 → ‘22.2월 7,133호
규모별로 전체 미분양 물량을 보면,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은 2,019호로 전월(1,424호) 대비 41.8%(595호) 증가하였고, 85㎡ 이하는 23,235호로 전월(20,303호) 대비 14.4%(2,932호) 증가하였다.
2. 주택 거래량 |
【➊ 주택 매매거래량】
’22.2월 주택 매매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43,179건으로 집계되었다.
전월(‘22.1월, 41,709건) 대비 3.5% 증가, 전년 동월(’21.2월, 87,021건) 대비 50.4% 감소하였으며, 5년 평균(75,778건) 대비 43.0% 감소하였다.
* 연도별 2월 거래량(만건): (’18)7.0 → (’19)4.3→ (’20)11.5→ (’21)8.7→ (’22)4.3
또한, ’22.2월까지 누계 주택 매매거래량은 84,888건으로 전년 동기(177,700건) 대비 52.2% 감소, 5년 평균(150,017건) 대비 43.4% 감소하였다.
* 연도별 2월 누계(만건): (’18)14.0→ (’19)9.4→ (’20)21.7→ (’21)17.8→ (’22)8.5
< 월별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 > |
< 월별 서울 주택 매매거래량 > |
|
|
(지역별) 수도권(16,149건)은 전월 대비 0.4% 감소, 전년 동월 대비 66.0% 감소, 지방(27,030건)은 전월 대비 6.0% 증가, 전년 동월 대비 31.7% 감소
’22.2월까지 누계 기준, 수도권(32,358건)은 전년동기 대비 65.8% 감소, 지방(52,530건)은 36.8% 감소하였다.
< ’22.2월 지역별 거래량 및 증감률(단위: 건) >
구 분 |
’22.2월 |
’22.1월 |
’21.2월 |
증감률(’22년 2월) |
누계(1∼2월) |
||||
전월比 |
전년 동월比 |
5년 2월 평균比 |
거래량 |
전년 동기比 |
5년 2월누계평균比 |
||||
전 국 |
43,179 |
41,709 |
87,021 |
3.5% |
△50.4% |
△43.0% |
84,888 |
△52.2% |
△43.4% |
수도권 |
16,149 |
16,209 |
47,433 |
△0.4% |
△66.0% |
△59.9% |
32,358 |
△65.8% |
△58.5% |
서 울 |
4,615 |
4,831 |
12,707 |
△4.5% |
△63.7% |
△62.4% |
9,446 |
△62.2% |
△60.9% |
지 방 |
27,030 |
25,500 |
39,588 |
6.0% |
△31.7% |
△23.9% |
52,530 |
△36.8% |
△27.1% |
(유형별) 아파트(26,232건)는 전월 대비 7.2% 증가, 전년 동월 대비 56.3% 감소, 아파트 외(16,947건)는 전월 대비 1.7% 감소, 전년 동월 대비 37.1% 감소
’22.2월까지 누계 기준, 아파트 거래량(50,697건)은 전년동기 대비 59.3% 감소, 아파트 외(34,191건)는 35.8% 감소하였다.
< ’22.2월 주택 유형별 거래량 및 증감률(단위: 건) >
구 분 |
’22.2월 |
’22.1월 |
’21.2월 |
증감률(’22년 2월) |
누계(1∼2월) |
||||
전월比 |
전년 동월比 |
5년 2월 평균比 |
거래량 |
전년 동기比 |
5년 2월누계평균比 |
||||
전체 |
43,179 |
41,709 |
87,021 |
3.5% |
△50.4% |
△43.0% |
84,888 |
△52.2% |
△43.4% |
아파트 |
26,232 |
24,465 |
60,057 |
7.2% |
△56.3% |
△50.7% |
50,697 |
△59.3% |
△51.5% |
(수도권) |
6,881 |
6,866 |
30,255 |
△0.1% |
△77.3% |
△74.5% |
13,767 |
△77.7% |
△73.4% |
(서 울) |
1,404 |
1,281 |
5,435 |
9.6% |
△74.2% |
△78.9% |
2,685 |
△76.4% |
△79.7% |
아파트외 |
16,947 |
17,244 |
26,964 |
△1.7% |
△37.1% |
△25.1% |
34,191 |
△35.8% |
△24.7% |
【➋ 전월세 거래량】
※ (유의사항) 6월 1일부터 「주택 임대차 신고제」가 시행되어 집계범위가 확대
ㅇ 또한, 상대적으로 확정일자 신고율이 낮은 갱신 계약 거래 건수가 과소 반영될 가능성이 높음(동 사유로 전월세 거래량은 국가승인통계가 아님) |
임대차 신고제 자료와 확정일자 신고* 자료를 합산한 ’22.2월 전월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240,881건**으로 집계되었다.
* 임대차 신고대상이 아닌 계약의 경우 종전방식의 확정일자로 신고
** 임대차신고제 16.0만 건 + 확정일자 8.1만 건
전월(204,497건) 대비 17.8% 증가, 전년 동월(199,157건) 대비 21.0% 증가, 5년 평균(190,387건) 대비 26.5% 증가하였다.
* 연도별 2월 거래량(만건) : (’18)16.4→(’19)18.7→(’20)22.4→(’21)19.9→(’22)24.1
또한, ’22.2월까지 누계 전월세 거래량(445,378건)은 전년 동기(378,694건) 대비 17.6% 증가, 5년 평균(349,431건) 대비 27.5% 증가하였다.
* 연도별 2월 누계(만건) : (’18)31.4→(’19)35.6→(’20)39.8→(’21)37.9→(’22)44.5
< 월별 전국 전월세 거래량 > |
< 월별 서울 전월세 거래량 > |
|
|
□ (지역별) 수도권(158,769건)은 전월 대비 19.6% 증가, 전년 동월 대비 21.4% 증가, 지방(82,112건)은 전월 대비 14.5% 증가, 전년 동월 대비 20.1% 증가
< ’22.2월 지역별 전월세 거래량 (단위: 건) >
구 분 |
’22.2월 |
’22.1월 |
’21.2월 |
증감률(’22년 2월) |
누계(1~2월) |
||||
전월比 |
전년동월比 |
5년 2월 평균比 |
거래량 |
전년 동기比 |
5년 2월누계평균比 |
||||
전 국 |
240,881 |
204,497 |
199,157 |
17.8% |
21.0% |
26.5% |
445,378 |
17.6% |
27.5% |
수도권 |
158,769 |
132,788 |
130,762 |
19.6% |
21.4% |
28.2% |
291,557 |
17.8% |
28.5% |
서 울 |
77,962 |
64,062 |
63,337 |
21.7% |
23.1% |
25.9% |
142,024 |
19.2% |
26.4% |
지 방 |
82,112 |
71,709 |
68,395 |
14.5% |
20.1% |
23.5% |
153,821 |
17.2% |
25.6% |
(유형별) 아파트(110,583건)는 전월 대비 12.0% 증가, 전년 동월 대비 20.8% 증가, 5년 평균 대비 22.7% 증가하였으며, 아파트 외(130,298건)는 전월 대비 23.2% 증가, 전년 동월 대비 21.1% 증가, 5년 평균대비 30.0% 증가하였다.
《 ’22.2월 주택유형별 전월세 거래량 (단위: 건) 》
구 분 |
전체주택 |
아파트 |
아파트 외 |
||||||
거래량 |
거래량 |
전월 比 |
전년동월 比 |
5년평균 比 |
거래량 |
전월 比 |
전년동월 比 |
5년평균 比 |
|
전 국 |
240,881 |
110,583 |
12.0% |
20.8% |
22.7% |
130,298 |
23.2% |
21.1% |
30.0% |
수도권 |
158,769 |
67,569 |
17.3% |
22.9% |
23.3% |
91,200 |
21.3% |
20.4% |
32.0% |
서 울 |
77,962 |
24,856 |
19.4% |
20.7% |
15.8% |
53,106 |
22.8% |
24.2% |
31.3% |
지 방 |
82,112 |
43,014 |
4.6% |
17.7% |
21.6% |
39,098 |
27.8% |
22.7% |
25.6% |
(임차유형별) 전세 거래량(124,102건)은 전월 대비 11.5% 증가, 전년 동월 대비 8.2% 증가, 5년 평균대비 11.4% 증가하였다.
월세 거래량(116,779건)은 전월 대비 25.3% 증가, 전년 동월 대비 38.3% 증가, 5년 평균 대비 47.9% 증가하였다.
《 ’22.2월 임차유형별 전월세 거래량 (단위: 건) 》
구 분 |
’22.2월 거래량 |
증감률 (전월 比 / 전년동월 比 / 5년 평균 比) |
||||
합계 |
전세 |
월세 |
합계 |
전세 |
월세 |
|
전 국 |
240,881 |
124,102 |
116,779 |
17.8% / 21.0% / 26.5% |
11.5% / 8.2% / 11.4% |
25.3% / 38.3% / 47.9% |
수도권 |
158,769 |
81,535 |
77,234 |
19.6% / 21.4% / 28.2% |
13.0% / 8.1% / 11.8% |
27.3% / 39.5% / 51.6% |
서 울 |
77,962 |
37,370 |
40,592 |
21.7% / 23.1% / 25.9% |
14.1% / 9.0% / 8.9% |
29.7% / 39.7% / 47.0% |
지 방 |
82,112 |
42,567 |
39,545 |
14.5% / 20.1% / 23.5% |
8.6% / 8.2% / 10.6% |
21.6% / 36.1% / 41.2% |
‘22.2월까지 누계 기준, 월세 거래량 비중은 47.1%로 전년 동월(41.7%) 대비 5.4%p 증가, 5년 평균(41.3%) 대비 5.8%p 증가하였다.
* 연도별 2월 누계(%) : (’18)41.4→ (’19)40.3→ (’20)39.5→ (’21)41.7→ (’22)47.1
《 ‘22.2월 누계 거래 건 중 월세 거래량 비중 (단위: %) 》
구 분 |
전체주택 |
아파트 |
아파트 외 |
|||||||||
5년 평균 |
'20 |
'21 |
'22 |
5년 평균 |
’20 |
’21 |
’22 |
5년 평균 |
’20 |
’21 |
’22 |
|
전 국 |
41.3 |
39.5 |
41.7 |
47.1 |
34.6 |
33.6 |
36.0 |
38.8 |
47.3 |
45.2 |
46.7 |
54.6 |
수도권 |
40.8 |
39.1 |
41.8 |
47.3 |
34.7 |
34.3 |
38.0 |
41.1 |
45.6 |
43.2 |
44.6 |
52.0 |
서 울 |
43.8 |
40.3 |
44.8 |
50.6 |
33.1 |
28.2 |
39.3 |
41.2 |
49.3 |
46.5 |
47.4 |
55.1 |
지 방 |
42.1 |
40.2 |
41.6 |
46.8 |
34.4 |
32.5 |
33.1 |
35.3 |
51.1 |
49.9 |
51.7 |
60.8 |
※ 해당 자료는 전체 임차시장의 전‧월세 비율이 아닌 확정일자(임대차신고 포함) 신고 집계건의 전·월세 비율이며, 상대적으로 갱신계약 비율이 높은 전세거래 건수가 과소 추정 될 수 있으므로 자료 해석에 유의할 필요
주택 매매거래량 및 전월세 거래량 등에 대한 세부 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www.reb.or.kr/r-one, 부동산정보 앱) 또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누리집(r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주택 건설실적 |
* 전체주택 대상, 2월 누계기준
【➊ 인허가 실적】
(종합) 2월 누계 주택 인허가실적은 전국 70,128호로 전년 동기 대비(59,830호) 17.2% 증가하였다.
< 월별 인허가 실적 추이 > |
< 연간 2월 누계 인허가 실적 추이 > |
|
|
(지역별) 수도권은 25,959호로 전년 동기 대비 15.5% 감소, 지방은 44,169호로 전년 동기 대비 51.8% 증가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
2022 |
2021 |
전년대비 증감 |
5년대비 증감 |
10년대비 증감 |
|||||
2월 |
1∼2월 |
2월 |
1∼2월 |
2월 |
1∼2월 |
2월 |
1∼2월 |
2월 |
1∼2월 |
|
전 국 |
30,514 |
70,128 |
33,647 |
59,830 |
△9.3% |
17.2% |
△26.2% |
△4.4% |
△19.1% |
0.8% |
수도권 |
10,795 |
25,959 |
18,575 |
30,738 |
△41.9% |
△15.5% |
△53.5% |
△34.1% |
△43.6% |
△25.6% |
(서울) |
6,007 |
9,797 |
6,904 |
9,599 |
△13.0% |
2.1% |
△2.4% |
△12.1% |
11.4% |
△2.5% |
(인천) |
364 |
810 |
702 |
2,029 |
△48.1% |
△60.1% |
△88.0% |
△83.5% |
△83.5% |
△78.6% |
(경기) |
4,424 |
15,352 |
10,969 |
19,110 |
△59.7% |
△19.7% |
△68.5% |
△34.2% |
△61.7% |
△27.1% |
지 방 |
19,719 |
44,169 |
15,072 |
29,092 |
30.8% |
51.8% |
8.6% |
30.1% |
6.1% |
27.3% |
(유형별) 전국 아파트는 57,012호로 전년 동기 대비 25.8% 증가하였으며, 아파트 외 주택은 13,116호로 전년 동기 대비 9.5%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
2022 |
2021 |
전년대비 증감 |
5년대비 증감 |
10년대비 증감 |
|||||
2월 |
1∼2월 |
2월 |
1∼2월 |
2월 |
1∼2월 |
2월 |
1∼2월 |
2월 |
1∼2월 |
|
계 |
30,514 |
70,128 |
33,647 |
59,830 |
△9.3% |
17.2% |
△26.2% |
△4.4% |
△19.1% |
0.8% |
아파트 |
23,491 |
57,012 |
25,789 |
45,330 |
△8.9% |
25.8% |
△26.4% |
5.2% |
△12.4% |
18.1% |
(수도권) |
6,607 |
18,406 |
14,028 |
22,070 |
△52.9% |
△16.6% |
△62.6% |
△34.2% |
△49.5% |
△19.3% |
(서울) |
4,072 |
6,466 |
4,777 |
5,480 |
△14.8% |
18.0% |
8.6% |
6.0% |
45.9% |
33.8% |
비아파트 |
7,023 |
13,116 |
7,858 |
14,500 |
△10.6% |
△9.5% |
△25.8% |
△31.5% |
△35.7% |
△38.5% |
【➋ 착공 실적】
(종합) 2월 누계 주택 착공실적은 전국 44,352호로 전년 동기 대비(70,288호) 36.9% 감소하였다.
< 월별 착공 실적 추이 > |
< 연간 2월 누계 착공 실적 추이 > |
|
|
(지역별) 수도권은 27,781호로 전년 동기 대비 35.8% 감소, 지방은 16,571호로 전년 동기 대비 38.7%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
2022 |
2021 |
전년대비 증감 |
5년대비 증감 |
10년대비 증감 |
|||||
2월 |
1∼2월 |
2월 |
1∼2월 |
2월 |
1∼2월 |
2월 |
1∼2월 |
2월 |
1∼2월 |
|
전 국 |
25,504 |
44,352 |
42,306 |
70,288 |
△39.7% |
△36.9% |
△15.2% |
△18.2% |
△13.2% |
△17.0% |
수도권 |
17,504 |
27,781 |
26,016 |
43,272 |
△32.7% |
△35.8% |
2.8% |
△8.1% |
16.7% |
4.9% |
(서울) |
4,232 |
8,882 |
4,615 |
6,694 |
△8.3% |
32.7% |
△23.1% |
1.1% |
△11.1% |
6.3% |
(인천) |
3,508 |
3,818 |
2,485 |
2,785 |
41.2% |
37.1% |
115.5% |
31.4% |
203.0% |
71.3% |
(경기) |
9,764 |
15,081 |
18,916 |
33,793 |
△48.4% |
△55.4% |
△1.3% |
△18.7% |
7.5% |
△5.2% |
지 방 |
8,000 |
16,571 |
16,290 |
27,016 |
△50.9% |
△38.7% |
△38.6% |
△30.9% |
△44.4% |
△38.6% |
(유형별) 전국 아파트는 32,928호로 전년 동기 대비 43.7% 감소하였으며, 아파트 외 주택은 11,424호로 전년 동기 대비 3.1%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
2022 |
2021 |
전년대비 증감 |
5년대비 증감 |
10년대비 증감 |
|||||
2월 |
1∼2월 |
2월 |
1∼2월 |
2월 |
1∼2월 |
2월 |
1∼2월 |
2월 |
1∼2월 |
|
계 |
25,504 |
44,352 |
42,306 |
70,288 |
△39.7% |
△36.9% |
△15.2% |
△18.2% |
△13.2% |
△17.0% |
아파트 |
19,424 |
32,928 |
35,962 |
58,502 |
△46.0% |
△43.7% |
△9.6% |
△12.1% |
1.9% |
△4.1% |
(수도권) |
14,002 |
21,042 |
22,279 |
36,150 |
△37.2% |
△41.8% |
18.0% |
5.0% |
53.6% |
35.5% |
(서울) |
2,889 |
5,988 |
3,112 |
3,693 |
△7.2% |
62.1% |
△12.4% |
36.0% |
33.3% |
64.4% |
비아파트 |
6,080 |
11,424 |
6,344 |
11,786 |
△4.2% |
△3.1% |
△29.2% |
△31.9% |
△41.1% |
△40.3% |
【➌ 분양(승인) 실적】
(종합) 2월 누계 공동주택 분양실적은 전국 44,233호로 전년 동기 대비(32,901호) 34.4% 증가하였다.
< 월별 분양 실적 추이 > |
< 연간 2월 누계 분양 실적 추이 > |
|
|
(지역별) 수도권은 24,478호로 전년 동기 대비 24.7% 증가, 지방은 19,755호로 전년 동기 대비 48.9% 증가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
2022 |
2021 |
전년대비 증감 |
5년대비 증감 |
10년대비 증감 |
|||||
2월 |
1∼2월 |
2월 |
1∼2월 |
2월 |
1∼2월 |
2월 |
1∼2월 |
2월 |
1∼2월 |
|
전 국 |
24,386 |
44,233 |
19,447 |
32,901 |
25.4% |
34.4% |
83.6% |
93.3% |
82.1% |
99.1% |
수도권 |
11,368 |
24,478 |
11,011 |
19,634 |
3.2% |
24.7% |
58.0% |
104.7% |
87.1% |
159.7% |
(서울) |
717 |
2,118 |
1,205 |
1,378 |
△40.5% |
53.7% |
△40.7% |
34.7% |
△40.2% |
11.6% |
(인천) |
1,667 |
2,781 |
15 |
4,151 |
11013.3% |
△33.0% |
43.6% |
△9.1% |
99.4% |
45.0% |
(경기) |
8,984 |
19,579 |
9,791 |
14,105 |
△8.2% |
38.8% |
86.1% |
167.2% |
122.3% |
249.1% |
지 방 |
13,018 |
19,755 |
8,436 |
13,267 |
54.3% |
48.9% |
113.9% |
80.9% |
77.9% |
54.4% |
(유형별) 일반분양은 35,898호로 전년 동기 대비 25.1% 증가, 임대주택은 4,265호로 전년 동기 대비 497.3% 증가, 조합원분은 4,070호로 전년대비 16.2% 증가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
2022 |
2021 |
전년대비 증감 |
5년대비 증감 |
10년대비 증감 |
|||||
2월 |
1∼2월 |
2월 |
1∼2월 |
2월 |
1∼2월 |
2월 |
1∼2월 |
2월 |
1∼2월 |
|
계 |
24,386 |
44,233 |
19,447 |
32,901 |
25.4% |
34.4% |
83.6% |
93.3% |
82.1% |
99.1% |
일반분양 |
19,408 |
35,898 |
17,128 |
28,684 |
13.3% |
25.1% |
93.9% |
101.9% |
81.3% |
101.9% |
임대주택 |
2,739 |
4,265 |
84 |
714 |
3160.7% |
497.3% |
150.0% |
193.9% |
108.9% |
121.6% |
조합원분 |
2,239 |
4,070 |
2,235 |
3,503 |
0.2% |
16.2% |
2.9% |
11.3% |
62.2% |
62.2% |
【➍ 준공(입주) 실적】
(종합) 2월 누계 주택 준공실적은 전국 45,986호로 전년 동기 대비(66,417호) 30.8% 감소하였다.
< 월별 준공 실적 추이 > |
< 연간 2월 누계 준공 실적 추이 > |
|
|
(지역별) 수도권은 28,444호로 전년 동기 대비 34.5% 감소, 지방은 17,542호로 전년 동기 대비 23.8%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
2022 |
2021 |
전년대비 증감 |
5년대비 증감 |
10년대비 증감 |
|||||
2월 |
1∼2월 |
2월 |
1∼2월 |
2월 |
1∼2월 |
2월 |
1∼2월 |
2월 |
1∼2월 |
|
전 국 |
24,678 |
45,986 |
32,905 |
66,417 |
△25.0% |
△30.8% |
△44.2% |
△46.0% |
△32.2% |
△36.0% |
수도권 |
15,125 |
28,444 |
20,566 |
43,395 |
△26.5% |
△34.5% |
△34.0% |
△36.8% |
△18.0% |
△21.2% |
(서울) |
3,986 |
10,007 |
10,656 |
15,932 |
△62.6% |
△37.2% |
△54.2% |
△28.3% |
△39.7% |
△19.0% |
(인천) |
3,136 |
7,008 |
388 |
2,344 |
708.2% |
199.0% |
259.6% |
150.0% |
201.1% |
186.5% |
(경기) |
8,003 |
11,429 |
9,522 |
25,119 |
△16.0% |
△54.5% |
△40.1% |
△59.5% |
△25.8% |
△46.4% |
지 방 |
9,553 |
17,542 |
12,339 |
23,022 |
△22.6% |
△23.8% |
△55.1% |
△56.4% |
△46.9% |
△51.0% |
(유형별) 전국 아파트는 31,421호로 전년 동기 대비 37.6% 감소하였으며, 아파트 외 주택은 14,565호로 전년 동기 대비 9.3%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
2022 |
2021 |
전년대비 증감 |
5년대비 증감 |
10년대비 증감 |
|||||
2월 |
1∼2월 |
2월 |
1∼2월 |
2월 |
1∼2월 |
2월 |
1∼2월 |
2월 |
1∼2월 |
|
계 |
24,678 |
45,986 |
32,905 |
66,417 |
△25.0% |
△30.8% |
△44.2% |
△46.0% |
△32.2% |
△36.0% |
아파트 |
18,074 |
31,421 |
25,991 |
50,354 |
△30.5% |
△37.6% |
△47.8% |
△50.7% |
△30.8% |
△35.5% |
(수도권) |
11,293 |
19,963 |
16,302 |
34,123 |
△30.7% |
△41.5% |
△34.1% |
△38.3% |
△10.7% |
△14.3% |
(서울) |
2,474 |
6,423 |
8,884 |
11,730 |
△72.2% |
△45.2% |
△61.4% |
△27.1% |
△40.3% |
△6.3% |
비아파트 |
6,604 |
14,565 |
6,914 |
16,063 |
△4.5% |
△9.3% |
△31.0% |
△32.3% |
△35.8% |
△3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