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토교통

2월 주택 통계(미분양, 매매·전월세거래량 및 건설실적) 발표

- (미분양 주택) 2월말 전국 미분양 주택 25,254호로 전월 대비 16.2% 증가

- (거래량) 2월 주택 매매거래량 4.3만 건으로 전월 대비 3.5% 증가, 전월세 거래량 24.1만 건으로 전월 대비 17.8% 증가

- (건설실적) 2월 누계 인허가는 7.0만호로 전년 동기 대비 17.2% 증가, 착공 4.4만호로 36.9% 감소, 분양 4.4만호로 34.4% 증가, 준공 4.6만호로 30.8% 감소

 

1. 미분양 주택

 

 ‘22.2월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총 25,254호로 집계되었으며, 전월(21,727호) 대비 16.2%(3,527호) 증가하였다.

 

 

   * ‘21.2월 15,786호 → ‘21.6월 16,289호 → ‘21.10월 14,075호 → ‘22.2월 25,254호

 

  수도권은 2,318호로 전월(1,325호) 대비 74.9%(993호) 증가하였으며, 지방은 22,936호로 전월(20,402호) 대비 12.4%(2,534호) 증가하였다.

 

   * (수도권) ‘21.2월 1,597호 → ‘21.6월 1,666호 → ‘21.10월 1,290호 → ‘22.2월 2,318호

   * (지   방) ‘21.2월 14,189호 → ‘21.6월 14,623호 → ‘21.10월 12,785호 → ‘22.2월 22,936호

 

 준공 후 미분양은 7,133호로 전월(7,165호) 대비 0.4%(32호) 감소하였다.

 

   * ‘21.2월 10,779호 → ‘21.6월 9,008호 → ‘21.10월 7,740호 → ‘22.2월 7,133호

 

 규모별로 전체 미분양 물량을 보면,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은 2,019호로 전월(1,424호) 대비 41.8%(595호) 증가하였고, 85㎡ 이하는 23,235호로 전월(20,303호) 대비 14.4%(2,932호) 증가하였다.

 

2. 주택 거래량

 

【➊ 주택 매매거래량】

 

 ’22.2월 주택 매매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43,179건으로 집계되었다.

 

  전월(‘22.1월, 41,709건) 대비 3.5% 증가, 전년 동월(’21.2월, 87,021건) 대비 50.4% 감소하였으며, 5년 평균(75,778건) 대비 43.0% 감소하였다.

 

   *  연도별 2월 거래량(만건):  (’18)7.0 → (’19)4.3→ (’20)11.5→ (’21)8.7→ (’22)4.3

 

  또한, ’22.2월까지 누계 주택 매매거래량은 84,888건으로 전년 동기(177,700건) 대비 52.2% 감소, 5년 평균(150,017건) 대비 43.4% 감소하였다.

 

    *  연도별 2월 누계(만건):  (’18)14.0→ (’19)9.4→ (’20)21.7→ (’21)17.8→ (’22)8.5

 

< 월별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 >

< 월별 서울 주택 매매거래량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그림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576pixel, 세로 919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그림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12pixel, 세로 921pixel

 

 (지역별) 수도권(16,149건)은 전월 대비 0.4% 감소, 전년 동월 대비 66.0% 감소, 지방(27,030건)은 전월 대비 6.0% 증가, 전년 동월 대비 31.7% 감소

 

  ’22.2월까지 누계 기준, 수도권(32,358건)은 전년동기 대비 65.8% 감소, 지방(52,530건)은 36.8% 감소하였다.

 

< ’22.2월 지역별 거래량 및 증감률(단위: 건) >

구 분

’22.2월

’22.1월

’21.2월

증감률(’22년 2월)

누계(1∼2월)

전월比

전년

동월比

5년 2월

평균比

거래량

전년

동기比

5년 2월누계평균比

전 국

43,179

41,709

87,021

3.5%

△50.4%

△43.0%

84,888

△52.2%

△43.4%

수도권

16,149

16,209

47,433

△0.4%

△66.0%

△59.9%

32,358

△65.8%

△58.5%

서 울

4,615

4,831

12,707

△4.5%

△63.7%

△62.4%

9,446

△62.2%

△60.9%

지 방

27,030

25,500

39,588

6.0%

△31.7%

△23.9%

52,530

△36.8%

△27.1%

 

 (유형별) 아파트(26,232건)는 전월 대비 7.2% 증가, 전년 동월 대비 56.3% 감소, 아파트 외(16,947건)는 전월 대비 1.7% 감소, 전년 동월 대비 37.1% 감소

 

  ’22.2월까지 누계 기준, 아파트 거래량(50,697건)은 전년동기 대비 59.3% 감소, 아파트 외(34,191건)는 35.8% 감소하였다.

 

< ’22.2월 주택 유형별 거래량 및 증감률(단위: 건) >

구 분

’22.2월

’22.1월

’21.2월

증감률(’22년 2월)

누계(1∼2월)

전월比

전년

동월比

5년 2월

평균比

거래량

전년

동기比

5년

2월누계평균比

전체

43,179

41,709

87,021

3.5%

△50.4%

△43.0%

84,888

△52.2%

△43.4%

아파트

26,232

24,465

60,057

7.2%

△56.3%

△50.7%

50,697

△59.3%

△51.5%

(수도권)

6,881

6,866

30,255

△0.1%

△77.3%

△74.5%

13,767

△77.7%

△73.4%

(서  울)

1,404

1,281

5,435

9.6%

△74.2%

△78.9%

2,685

△76.4%

△79.7%

아파트외

16,947

17,244

26,964

△1.7%

△37.1%

△25.1%

34,191

△35.8%

△24.7%

 

【➋ 전월세 거래량】

 ※ (유의사항) 6월 1일부터 「주택 임대차 신고제」가 시행되어 집계범위가 확대
됨에 따라 시계열 데이터(전월比, 전년동월比, 5년평균比) 사용에 유의할 필요

 

  ㅇ 또한, 상대적으로 확정일자 신고율이 낮은 갱신 계약 거래 건수가 과소 반영될 가능성이 높음(동 사유로 전월세 거래량은 국가승인통계가 아님)

 

 임대차 신고제 자료와 확정일자 신고* 자료를 합산한 ’22.2월 전월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240,881건**으로 집계되었다.

 

    * 임대차 신고대상이 아닌 계약의 경우 종전방식의 확정일자로 신고

   ** 임대차신고제 16.0만 건 + 확정일자 8.1만 건

 

  전월(204,497건) 대비 17.8% 증가, 전년 동월(199,157건) 대비 21.0% 증가, 5년 평균(190,387건) 대비 26.5% 증가하였다.

 

    * 연도별 2월 거래량(만건) :   (’18)16.4→(’19)18.7→(’20)22.4→(’21)19.9→(’22)24.1

 

  또한, ’22.2월까지 누계 전월세 거래량(445,378건)은 전년 동기(378,694건) 대비 17.6% 증가, 5년 평균(349,431건) 대비 27.5% 증가하였다.

 

    * 연도별 2월 누계(만건) : (’18)31.4→(’19)35.6→(’20)39.8→(’21)37.9→(’22)44.5

 

< 월별 전국 전월세 거래량 >

< 월별 서울 전월세 거래량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그림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956pixel, 세로 99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그림4.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838pixel, 세로 935pixel

 

 

□ (지역별) 수도권(158,769건)은 전월 대비 19.6% 증가, 전년 동월 대비 21.4% 증가, 지방(82,112건)은 전월 대비 14.5% 증가, 전년 동월 대비 20.1% 증가

 

< ’22.2월 지역별 전월세 거래량 (단위: 건) >

구 분

’22.2월

’22.1월

’21.2월

증감률(’22년 2월)

누계(1~2월)

전월比

전년동월比

5년 2월

평균比

거래량

전년

동기比

5년 2월누계평균比

전 국

240,881

204,497

199,157

17.8%

21.0%

26.5%

445,378

17.6%

27.5%

수도권

158,769

132,788

130,762

19.6%

21.4%

28.2%

291,557

17.8%

28.5%

서 울

77,962

64,062

63,337

21.7%

23.1%

25.9%

142,024

19.2%

26.4%

지 방

82,112

71,709

68,395

14.5%

20.1%

23.5%

153,821

17.2%

25.6%

 

 (유형별) 아파트(110,583건)는 전월 대비 12.0% 증가, 전년 동월 대비 20.8% 증가, 5년 평균 대비 22.7% 증가하였으며, 아파트 외(130,298건)는 전월 대비 23.2% 증가, 전년 동월 대비 21.1% 증가, 5년 평균대비 30.0% 증가하였다.

 

《 ’22.2월 주택유형별 전월세 거래량 (단위: 건) 》

구 분

전체주택

아파트

아파트 외

거래량

거래량

전월 比

전년동월 比

5년평균 比

거래량

전월 比

전년동월 比

5년평균 比

전 국

240,881

110,583

12.0%

20.8%

22.7%

130,298

23.2%

21.1%

30.0%

수도권

158,769

67,569

17.3%

22.9%

23.3%

91,200

21.3%

20.4%

32.0%

서 울

77,962

24,856

19.4%

20.7%

15.8%

53,106

22.8%

24.2%

31.3%

지 방

82,112

43,014

4.6%

17.7%

21.6%

39,098

27.8%

22.7%

25.6%

 

 (임차유형별) 전세 거래량(124,102건)은 전월 대비 11.5% 증가, 전년 동월 대비 8.2% 증가, 5년 평균대비 11.4% 증가하였다.

 

  월세 거래량(116,779건)은 전월 대비 25.3% 증가, 전년 동월 대비 38.3% 증가, 5년 평균 대비 47.9% 증가하였다.

 

《 ’22.2월 임차유형별 전월세 거래량 (단위: 건) 》

구 분

’22.2월 거래량

증감률 (전월 比 / 전년동월 比 / 5년 평균 比)

합계

전세

월세

합계

전세

월세

전 국

240,881

124,102

116,779

17.8% /  21.0% / 26.5%

11.5% / 8.2% / 11.4%

25.3% / 38.3% / 47.9%

수도권

158,769

81,535

77,234

19.6% / 21.4% / 28.2%

13.0% / 8.1% / 11.8%

27.3% / 39.5% / 51.6%

서 울

77,962

37,370

40,592

21.7% / 23.1% / 25.9%

14.1% / 9.0% / 8.9%

29.7% / 39.7% / 47.0%

지 방

82,112

42,567

39,545

14.5% /  20.1% / 23.5%

8.6% / 8.2% / 10.6%

21.6% / 36.1% / 41.2%

 

  ‘22.2월까지 누계 기준, 월세 거래량 비중은 47.1%로 전년 동월(41.7%) 대비 5.4%p 증가, 5년 평균(41.3%) 대비 5.8%p 증가하였다.

 

   * 연도별 2월 누계(%) : (’18)41.4→ (’19)40.3→ (’20)39.5→ (’21)41.7→ (’22)47.1

 

《 ‘22.2월 누계 거래 건 중 월세 거래량 비중 (단위: %) 》

구 분

전체주택

아파트

아파트 외

5년 평균

'20

'21

'22

5년 평균

’20

’21

’22

5년 평균

’20

’21

’22

전 국

41.3

39.5

41.7

47.1

34.6

33.6

36.0

38.8

47.3

45.2

46.7

54.6

수도권

40.8

39.1

41.8

47.3

34.7

34.3

38.0

41.1

45.6

43.2

44.6

52.0

서 울

43.8

40.3

44.8

50.6

33.1

28.2

39.3

41.2

49.3

46.5

47.4

55.1

지 방

42.1

40.2

41.6

46.8

34.4

32.5

33.1

35.3

51.1

49.9

51.7

60.8

 

  ※ 해당 자료는 전체 임차시장의 전‧월세 비율이 아닌 확정일자(임대차신고 포함) 신고 집계건의 전·월세 비율이며, 상대적으로 갱신계약 비율이 높은 전세거래 건수가 과소 추정 될 수 있으므로 자료 해석에 유의할 필요

 

 주택 매매거래량 및 전월세 거래량 등에 대한 세부 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www.reb.or.kr/r-one, 부동산정보 앱) 또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누리집(r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주택 건설실적

 * 전체주택 대상, 2월 누계기준

 

【➊ 인허가 실적】

 

(종합)   2월 누계 주택 인허가실적은 전국 70,128호로 전년 동기 대비(59,830호) 17.2% 증가하였다.

 

< 월별 인허가 실적 추이 >

< 연간 2월 누계 인허가 실적 추이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인허가 선1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19pixel, 세로 53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인허가막대22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84pixel, 세로 462pixel

 

 (지역별) 수도권은 25,959호로 전년 동기 대비 15.5% 감소, 지방은 44,169호로 전년 동기 대비 51.8% 증가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2022

2021

전년대비 증감

5년대비 증감

10년대비 증감

2월

1∼2월

2월

1∼2월

2월

1∼2월

2월

1∼2월

2월

1∼2월

전 국

30,514

70,128

33,647

59,830

△9.3%

17.2%

△26.2%

△4.4%

△19.1%

0.8%

수도권

10,795

25,959

18,575

30,738

△41.9%

△15.5%

△53.5%

△34.1%

△43.6%

△25.6%

(서울)

6,007

9,797

6,904

9,599

△13.0%

2.1%

△2.4%

△12.1%

11.4%

△2.5%

(인천)

364

810

702

2,029

△48.1%

△60.1%

△88.0%

△83.5%

△83.5%

△78.6%

(경기)

4,424

15,352

10,969

19,110

△59.7%

△19.7%

△68.5%

△34.2%

△61.7%

△27.1%

지  방

19,719

44,169

15,072

29,092

30.8%

51.8%

8.6%

30.1%

6.1%

27.3%

 

 (유형별) 전국 아파트는 57,012호로 전년 동기 대비 25.8% 증가하였으며, 아파트 외 주택은 13,116호로 전년 동기 대비 9.5%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2022

2021

전년대비 증감

5년대비 증감

10년대비 증감

2월

1∼2월

2월

1∼2월

2월

1∼2월

2월

1∼2월

2월

1∼2월

30,514

70,128

33,647

59,830

△9.3%

17.2%

△26.2%

△4.4%

△19.1%

0.8%

아파트

23,491

57,012

25,789

45,330

△8.9%

25.8%

△26.4%

5.2%

△12.4%

18.1%

(수도권)

6,607

18,406

14,028

22,070

△52.9%

△16.6%

△62.6%

△34.2%

△49.5%

△19.3%

(서울)

4,072

6,466

4,777

5,480

△14.8%

18.0%

8.6%

6.0%

45.9%

33.8%

비아파트

7,023

13,116

7,858

14,500

△10.6%

△9.5%

△25.8%

△31.5%

△35.7%

△38.5%

 

【➋ 착공 실적】

 

  (종합) 2월 누계 주택 착공실적은 전국 44,352호로 전년 동기 대비(70,288호) 36.9% 감소하였다.

< 월별 착공 실적 추이 >

< 연간 2월 누계 착공 실적 추이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착공선.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04pixel, 세로 399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착공 막대11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46pixel, 세로 498pixel

 

  (지역별) 수도권은 27,781호로 전년 동기 대비 35.8% 감소, 지방은 16,571호로 전년 동기 대비 38.7%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2022

2021

전년대비 증감

5년대비 증감

10년대비 증감

2월

1∼2월

2월

1∼2월

2월

1∼2월

2월

1∼2월

2월

1∼2월

전 국

25,504

44,352

42,306

70,288

△39.7%

△36.9%

△15.2%

△18.2%

△13.2%

△17.0%

수도권

17,504

27,781

26,016

43,272

△32.7%

△35.8%

2.8%

△8.1%

16.7%

4.9%

(서울)

4,232

8,882

4,615

6,694

△8.3%

32.7%

△23.1%

1.1%

△11.1%

6.3%

(인천)

3,508

3,818

2,485

2,785

41.2%

37.1%

115.5%

31.4%

203.0%

71.3%

(경기)

9,764

15,081

18,916

33,793

△48.4%

△55.4%

△1.3%

△18.7%

7.5%

△5.2%

지  방

8,000

16,571

16,290

27,016

△50.9%

△38.7%

△38.6%

△30.9%

△44.4%

△38.6%

 

 (유형별) 전국 아파트는 32,928호로 전년 동기 대비 43.7% 감소하였으며, 아파트 외 주택은 11,424호로 전년 동기 대비 3.1%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2022

2021

전년대비 증감

5년대비 증감

10년대비 증감

2월

1∼2월

2월

1∼2월

2월

1∼2월

2월

1∼2월

2월

1∼2월

25,504

44,352

42,306

70,288

△39.7%

△36.9%

△15.2%

△18.2%

△13.2%

△17.0%

아파트

19,424

32,928

35,962

58,502

△46.0%

△43.7%

△9.6%

△12.1%

1.9%

△4.1%

(수도권)

14,002

21,042

22,279

36,150

△37.2%

△41.8%

18.0%

5.0%

53.6%

35.5%

(서울)

2,889

5,988

3,112

3,693

△7.2%

62.1%

△12.4%

36.0%

33.3%

64.4%

비아파트

6,080

11,424

6,344

11,786

△4.2%

△3.1%

△29.2%

△31.9%

△41.1%

△40.3%

 

【➌ 분양(승인) 실적】

 

(종합) 2월 누계 공동주택 분양실적은 전국 44,233호로 전년 동기 대비(32,901호) 34.4% 증가하였다.

< 월별 분양 실적 추이 >

< 연간 2월 누계 분양 실적 추이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분양 선11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97pixel, 세로 411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분양 막대22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85pixel, 세로 415pixel

 

  (지역별) 수도권은 24,478호로 전년 동기 대비 24.7% 증가, 지방은 19,755호로 전년 동기 대비 48.9% 증가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2022

2021

전년대비 증감

5년대비 증감

10년대비 증감

2월

1∼2월

2월

1∼2월

2월

1∼2월

2월

1∼2월

2월

1∼2월

전 국

24,386

44,233

19,447

32,901

25.4%

34.4%

83.6%

93.3%

82.1%

99.1%

수도권

11,368

24,478

11,011

19,634

3.2%

24.7%

58.0%

104.7%

87.1%

159.7%

(서울)

717

2,118

1,205

1,378

△40.5%

53.7%

△40.7%

34.7%

△40.2%

11.6%

(인천)

1,667

2,781

15

4,151

11013.3%

△33.0%

43.6%

△9.1%

99.4%

45.0%

(경기)

8,984

19,579

9,791

14,105

△8.2%

38.8%

86.1%

167.2%

122.3%

249.1%

지  방

13,018

19,755

8,436

13,267

54.3%

48.9%

113.9%

80.9%

77.9%

54.4%

 

  (유형별) 일반분양은 35,898호로 전년 동기 대비 25.1% 증가, 임대주택은 4,265호로 전년 동기 대비 497.3% 증가, 조합원분은 4,070호로 전년대비 16.2% 증가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2022

2021

전년대비 증감

5년대비 증감

10년대비 증감

2월

1∼2월

2월

1∼2월

2월

1∼2월

2월

1∼2월

2월

1∼2월

24,386

44,233

19,447

32,901

25.4%

34.4%

83.6%

93.3%

82.1%

99.1%

일반분양

19,408

35,898

17,128

28,684

13.3%

25.1%

93.9%

101.9%

81.3%

101.9%

임대주택

2,739

4,265

84

714

3160.7%

497.3%

150.0%

193.9%

108.9%

121.6%

조합원분

2,239

4,070

2,235

3,503

0.2%

16.2%

2.9%

11.3%

62.2%

62.2%

 

【➍ 준공(입주) 실적】

 

  (종합) 2월 누계 주택 준공실적은 전국 45,986호로 전년 동기 대비(66,417호) 30.8% 감소하였다.

< 월별 준공 실적 추이 >

< 연간 2월 누계 준공 실적 추이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준공 선 11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28pixel, 세로 49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준공 막대2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50pixel, 세로 458pixel

 

  (지역별) 수도권은 28,444호로 전년 동기 대비 34.5% 감소, 지방은 17,542호로 전년 동기 대비 23.8%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2022

2021

전년대비 증감

5년대비 증감

10년대비 증감

2월

1∼2월

2월

1∼2월

2월

1∼2월

2월

1∼2월

2월

1∼2월

전 국

24,678

45,986

32,905

66,417

△25.0%

△30.8%

△44.2%

△46.0%

△32.2%

△36.0%

수도권

15,125

28,444

20,566

43,395

△26.5%

△34.5%

△34.0%

△36.8%

△18.0%

△21.2%

(서울)

3,986

10,007

10,656

15,932

△62.6%

△37.2%

△54.2%

△28.3%

△39.7%

△19.0%

(인천)

3,136

7,008

388

2,344

708.2%

199.0%

259.6%

150.0%

201.1%

186.5%

(경기)

8,003

11,429

9,522

25,119

△16.0%

△54.5%

△40.1%

△59.5%

△25.8%

△46.4%

지  방

9,553

17,542

12,339

23,022

△22.6%

△23.8%

△55.1%

△56.4%

△46.9%

△51.0%

 

 (유형별) 전국 아파트는 31,421호로 전년 동기 대비 37.6% 감소하였으며, 아파트 외 주택은 14,565호로 전년 동기 대비 9.3%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2022

2021

전년대비 증감

5년대비 증감

10년대비 증감

2월

1∼2월

2월

1∼2월

2월

1∼2월

2월

1∼2월

2월

1∼2월

24,678

45,986

32,905

66,417

△25.0%

△30.8%

△44.2%

△46.0%

△32.2%

△36.0%

아파트

18,074

31,421

25,991

50,354

△30.5%

△37.6%

△47.8%

△50.7%

△30.8%

△35.5%

(수도권)

11,293

19,963

16,302

34,123

△30.7%

△41.5%

△34.1%

△38.3%

△10.7%

△14.3%

(서울)

2,474

6,423

8,884

11,730

△72.2%

△45.2%

△61.4%

△27.1%

△40.3%

△6.3%

비아파트

6,604

14,565

6,914

16,063

△4.5%

△9.3%

△31.0%

△32.3%

△35.8%

△37.2%


농업

더보기
농업 현장, AI 기술 접목으로 데이터 수집과 활용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9월 23일(화) 오후, 경북 상주시 스마트팜 혁신밸리 내 실증 온실에서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스마트농업데이터 수집 및 활용 서비스에 대한 시연회를 개최했다. 이번 시연회는 AI를 활용한 스마트농업데이터 서비스 실증 지원 사업*을 소개하고, 지원을 통해 상용화가 되었거나 예정된 서비스를 실제 현장에서 구현해 봄으로써 기술 수준 및 해당 서비스의 현장 보급 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행사에는 스마트농업에 관심 있는 청년 농업인 및 스마트팜 기업, 솔루션·농자재 업체, 재배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 스마트농업데이터 서비스 실증 지원 사업 개요 : 데이터 및 AI를 적용한 스마트농업 서비스의 현장 실증 및 모델 고도화, 사업화 관련 비용 지원(’23~) 농식품부는 지역의 스마트팜 우수농가 및 스마트팜 혁신밸리,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단지 등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스마트농업 빅데이터 플랫폼(smartfarmkorea.net)에 연계하여 수집하고 이를 개방하고 있다. 아울러,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활용할 수 있도록 AI를 적용한 서비스에 대한 실증사업도 ’23년부터 적극 지원해 오고 있다. 시

축산

더보기
한우 생산혁신 멘토단 본격 운영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한우 사육기간 단축의 일환으로 9월 26일(금) 오전 충남 천안시 소재 상록리조트에서 ‘한우 생산혁신 멘토∙멘티단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지난 4월 출범한 멘토단 16명과 농협경제지주∙축산물품질평가원∙멘토단 등이 논의하여 지난 8월 선발한 멘티단 88명 등을 대상으로 정부의 ‘소 사육방식 개선 방안’ 관련 정책방향과 멘토∙멘티단 운영 계획 등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진다. 향후 한우 생산혁신 멘토단은 후계농과 창업농 등으로 구성된 멘티를 대상으로 농장을 직접 찾아가 암소개량부터 사양기술 및 축사 환경 관리 요령 등을 1:1 개별 멘토링하게 되며, 멘토단과 멘티단이 간담회 방식으로 모여 각종 경험과 기술적 노하우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5~10명 규모의 지역 단위 소규모 학습조직도 별도로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이번 워크숍을 계기로 멘토∙멘티단 운영이 본 궤도에 올라 한우 사육기간 단축 기술과 노하우가 일선 농가들에게 빠르게 전수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생산비 절감을 통한 농가의 수익성 제고 및 한우 소비자가격 합리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농식품부는 한우산업 중장기 경쟁력 강화

식품

더보기
“계절의 맛을 담은 가을 한우 미식” 한우자조금, 제철 과일과 즐기는 한우 이색 레시피 공개
가을은 오감을 만족시키는 미식의 계절이다. 따사로운 햇살을 머금고 무르익은 제철 과일은 그 자체로도 달콤하고 향긋하지만, 깊고 풍부한 맛의 한우와 만나면 더욱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부드러운 한우와 아삭한 과일이 어우러진 이색 조합은 건강과 풍미를 동시에 살리며, 계절이 전하는 낭만까지 식탁 위에 담아낸다. 이에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 이하 한우자조금)는 가을철 제철 과일과 한우가 조화를 이루는 이색 레시피를 소개한다. ◆ 무화과와 한우 안심, 담백하게 완성한 가을의 맛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무화과는 은은한 단맛과 부드러운 식감으로 한우 안심의 담백함을 돋운다. 짧은 수확기로 인해 ‘가을의 보석’이라 불리는 무화과는 초가을 미식을 대표하는 과일로, 상징적 의미도 크다. 먼저 무화과를 4등분하여 190℃로 예열한 오븐에서 약 10분간 가볍게 구워 향을 살리고, 한우 안심은 소금·후추·올리브오일을 뿌려 겉면만 빠르게 구운 뒤 얇게 썬다. 접시에 루꼴라를 깔고 구운 무화과와 얇게 썬 한우 안심을 올린 다음, 그라나 파다노 치즈를 얇게 깎아 얹고 발사믹 글레이즈로 마무리하면 고소함과 감미로움이 균형을 이루는 가벼운 가을 한 접시가 완성된다. 과일의 산

산림

더보기
누구나 즐기는 숲속 요리체험, ‘휴레스토랑’ 개최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23일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소재 피노키오자연휴양림에서 청각장애인 24명이 참여한 가운데 산림문화 행사인 <누구나 즐기는 숲속 체험 ‘휴레스토랑’>을 개최했다. ‘휴레스토랑’은 참가자들이 표고버섯, 취나물 등 국산 임산물을 이용하여 음식을 만들어 먹으며 휴양림의 자연을 만끽하도록 설계된 국립자연휴양림의 대표적인 산림 문화 프로그램이다. 이날 행사는 (사립)피노키오자연휴양림과 협업으로 이뤄졌으며, 청각장애인과 함께 진행하는 프로그램인 만큼 테이블마다 요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 안내문을 비치하였고, 지역 수어 통역센터에서 파견된 수어 통역사가 함께해 원활한 의사소통을 도왔다.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지난 5월, 전북 진안의 (공립)데미샘자연휴양림과 협력해 청각장애인 대상 ‘휴레스토랑’을 한차례 진행한 바 있으며, 오는 30일에도 국립진도자연휴양림에서 동일 행사를 운영할 예정이다. 특히, 국립진도자연휴양림은 점자 안내와 수어 영상이 포함된 ‘수어숲해설 안내판’을 갖추어 시·청각장애인 모두가 제약 없이 숲해설을 즐길 수 있는 휴양림이다. 김판중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산림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장애인들이 더 자주, 더 편안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