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토교통

자동차 등록대수 2,500만대 돌파… 2명당 1대 보유

- [친환경] 125만대 기록하며 전체 등록비중 5% 차지
- 반도체 수급 부족으로 신규등록은 전분기 대비 감소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는  ‘22년 1분기 자동차 누적등록 대수는 25,070천대로 전 분기 대비 0.6%(159천대) 증가하였으며, 인구 2.06명당 1대의 자동차를 보유하였다고 밝혔다.

 

   * 자동차 1대당 인구수 : 서울 2.99, 부산 2.27, 인천 1.75, 제주 1.01(명)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df4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03pixel, 세로 35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bf4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45pixel, 세로 288pixel

 

 

  원산지별로 국산차의 누적점유율은 88.0%(22,069천대)이며, 수입차의 누적점유율*은 12.0%(3,001천대)로 수입차 대수가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 수입차 점유율 : (‘18) 9.4% → (‘19) 10.2% → (‘20) 11.0%  → (‘21) 11.8% → (‘22.1Q) 12.0%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bf4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5pixel, 세로 28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bf4be1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62pixel, 세로 340pixel

 

 

 사용 연료별로는 친환경차*(전기․수소․하이브리드차)가 전분기말 대비 7.7%(89천대) 증가하여 누적등록 대수는 5.0%(1,248천대) 기록하였다.

 * 친환경차 지역별 등록대수 비중 : 제주 8.4%, 세종 7.1%, 인천 6.6%, 서울 6.1% 순

 

  ① 전기차는 전년동기(148천대) 대비 74.9%(110천대) 증가, 전 분기 대비 11.6%(26,810대)증가하여 258,253대 누적 등록되었다.

 

  ② 수소차는 누적 등록대수 20,683대로 전분기 대비 6.6%(1,279대) 증가, 전년 동기(12,439대) 대비 66.3%(8,244대) 증가되었으며,

 

  ③ 하이브리드차는 전 분기 대비 6.7%(+61천대) 증가하여 총 969천대 등록(누적)되었다.

   * 하이브리드차 : (‘17) 314천대, (‘18) 405천대, (‘19) 506천대, (‘20) 674천대, (‘21) 908천대, (‘22.3) 969천대

<친환경차 등록 추이>     

                                                               (단위 : 대, %)

구 분

‘15말

‘16말

‘17말

‘18말

‘19말

‘20말

‘21말

‘21.3월

전체자동차

20,989,885

21,803,351

22,528,295

23,202,555

23,677,366

24,365,979

24,911,101

25,070,180

하이브리드

174,620

233,216

313,856

405,084

506,047

674,461

908,240

968,955

전기차

5,712

10,855

25,108

55,756

89,918

134,962

231,443

258,253

수소차

29

87

170

893

5,083

10,906

19,404

20,683

친환경차

180,361

244,158

339,134

461,733

601,048

820,329

 1,159,087

1,247,891

친환경차

등록비중(%)

0.9

1.1

1.5

2.0

2.5

3.4

4.7

5.0

 

 

 ④ 휘발유차는 전분기 대비 0.7%(81천대) 증가하였으며, 경유*․LPG차는 △0.1%(12천대) 감소하였다.

 * 전 분기 대비 승용 △0.1%, 승합 △1.1% 감소, 화물  0.3%, 특수 2.1% 증가

 

 1분기 자동차 신규등록 대수는 반도체 수급부족으로 신규등록은 393천대로 전분기(407천대) 대비 △3.3%(14천대) 감소, 전년 동기대비 △12.6%(450천대) 감소되었다. 

 

  지역별로는 울산(△22.4%), 경남(△19.2%), 서울(△18.3%) 순으로 신규등록 감소폭이 컸다.

 

  차종별*로는 승용 △5.8%, 승합 △28.3%, 특수 △9.8% 전분기 대비 각각 감소하였으나, 화물차는 14.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전 분기 대비 차종별 신규등록대수(대) : 승용 349,164 → 328,873, 승합 5,513 → 3,953, 화물 49,286 → 56,593, 특수 3,579 → 3,230

 

  * 수입차 점유율 : (‘18) 9.4% → (‘19) 10.2% → (‘20) 11.0%  → (‘21) 11.8% → (‘22.1Q) 12.0%

 

 전기차의 신규등록 대수는 28천대로 전 분기(31천대) 대비 △11.2%(3천대) 감소하였다.

 

  최근 1년간 월별 신규등록 대수를 보면 전기차 구매보조금 지원시기에 따라 작년 6월과 올 3월 많은 등록을 나타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bf4000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46pixel, 세로 30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bf4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1pixel, 세로 288pixel

 

 

 전기차의 원산지별, 지역별, 차종별, 제작자별 등록현황을 살펴보면

 

  ① 원산지별 ‘21년 신규등록 국산차 점유율*은 74.1%(74천대)였으며, 올 1분기 국산차 점유율은 79.0%(22천대)로 나타내었다. 

    * ‘21.1Q 국산(66.3%), 2Q 국산(59.0%), 3Q 국산(78.8%), 4Q 국산(85.6%)

 

  ② 지역별로는 경기·서울·제주도에 전기차(115,799대)가 다수 등록(44.8%)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산이 가장 높은 23.9% 증가, 울산(19.7%), 충북(18.2%) 순으로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 누적등록 : 전분기 대비 부산 15,330대(2,955대↑), 울산 3,789대(623대↑), 충북 9,683대(1,489대↑) 

 

  ③ 전기차 차종별로는 승용 78.7%(203,311대), 화물 19.8%(51,153대), 승합 1.4%(3,651대), 특수 0.1%(138대) 등록되어 있으며,

 

  - 전기 화물차는 구매보조금과 한시적인 영업용번호판 발급총량 예외 정책* 등에 따라 ’19년말 1.1천대에서 ‘22년 3월말 51천대로 대폭 증가하였다. 

   * 1.5톤 미만 전기트럭에 영업용 번호판 발급을 ‘22.4.13.까지 총량예외(화물자동차운수사업법)  

 

   ④ 제작사별로는 현대(44.2%), 기아(24.3%), 테슬라(13.8%) 순으로 누적등록 점유율을 보이며, 현대자동차의 등록 비중이 높다.

 

  또한 ‘22년 3월 기준 누적등록 상위 전기차 모델을 살펴보면 코나 일렉트릭(12.6%, 32,548대), 아이오닉5(11.3%, 29,292대), 포터Ⅱ(11.0%, 28,503대), 테슬라 모델3 (9.3%, 24,143대), 니로EV(7.7%, 19,783대) 순으로 나타났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bf4000b.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23pixel, 세로 40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bf4000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43pixel, 세로 296pixel

 

 

 국토교통부 박지홍 자동차정책관은 “올해 1분기에 자동차 등록대수가 2천 5백만대를 돌파하였으며 전기차, 수소차 등 친환경차량 보급은 지속적으로 높은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면서,

 

  “시장의 흐름과 시대변화에 맞는 자동차 정책의 수립․시행이 가능하도록 자동차 등록현황을 세분화하여 국민이 원하는 맞춤형 통계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급식 관계자들과 함께 저탄소 축산물 인증 농장 견학 … 미래 세대와 친환경 가치 나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8월 12일, 당진시‘대주 농장’에서 학교 급식 관계자, 학부모 지킴이, 정책 관계자들과 함께하는‘저탄소 축산물 인증 농장 견학’을 진행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저탄소 축산물 인증제의 도입 배경 설명 △저탄소 인증 돼지고기 생산 과정 견학 △저탄소 축산물 학교 급식 확대를 위한 간담회 등을 진행해 저탄소 인증 축산물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특히, 지난해 저탄소 인증을 받은 대주농장에서 탄소 감축 기술과 분뇨 악취 저감 시설 등을 살펴보고, 농장에서 생산된 돼지고기를 현장에서 시식하는 등 저탄소 인증 축산물을 직접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해 참여자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현재 저탄소 인증 축산물을 급식에 사용하는 지자체는 △아산시 △천안시 △논산시이며 하반기까지 △부여군 △홍성군 △세종시 △경기도까지 확대한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와 함께, 일부 지자체와 ‘저탄소 급식데이’를 시범 운영하고 미래 세대에게 저탄소 인증 축산물의 필요성과 가치소비에 대한 교육을 확대하는 등 친환경 가치를 나누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다. 박병홍 축산물품질평가원 원장은 “급식에서 저탄소 인증 축산물을 접하는 기회를 확대하여, 미래 세

식품

더보기
‘도드람한돈’, 돼지고기 브랜드 최초 상기도 5년 연속 1위 한돈 시장 리딩 브랜드로 입지 확고
국내 돼지고기 시장에서 ‘도드람한돈’이 소비자들이 가장 먼저 떠올리는 대표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브랜드 인지도와 선호도, 구매 경험 등 모든 부문에서 연이어 1위를 차지하며 한돈 시장의 선두 주자로서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한돈 전문 식품 브랜드 도드람(조합장 박광욱)은 외부 리서치 전문기관에 의뢰해 돼지고기 취식 경험이 있는 전국 25세~59세 남녀 2,200명을 대상으로 국내 브랜드 인식 조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전체 응답자 중 브랜드 관여도가 높은 30~50대 여성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도드람한돈’은 돼지고기 최선호 브랜드(44.5%), 보조인지도(87.3%), 주구입 브랜드(44.7%)에서 10년 연속 1위를, 돼지고기 브랜드 최초 상기도(9.5%)는 5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최초 상기도는 소비자들에게 가장 먼저 생각나는 브랜드, 보조인지도는 해당 브랜드에 대해 소비자가 ‘알고 있다’는 것을 의미다. 이 지표들에 대한 1위 기록은 돼지고기 브랜드 중 도드람한돈의 높은 대표성과 선호도를 설명한다. 도드람은 주 구입 유통경로와 프리미엄 제품 인식 등 소비자의 돼지고기 구매 형태와 기준에 대해서도 함께 설문을 진행했다. 우선

산림

더보기
창문 너머 바다, 오션뷰 국립자연휴양림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소장 김명종)는 18일 바다에 인접하거나 해변과 도보 거리 내에 위치해 여름철 이용하기 좋은 국립자연휴양림 4곳을 추천했다. 이번에 소개된 국립자연휴양림들은 오션뷰 객실, 해변 산책로, 일몰 명소 등 바다 감상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지리적 특성을 가지며, 숲속 힐링과 해양 피서의 두 가지 매력을 동시에 누릴 수 있어 주목받고 있다. 전북 부안의 변산자연휴양림은 전 객실 오션뷰이며 특히, 일부 객실은 넓은 전창을 통해 서해 바다를 방 안에서 조망할 수 있어 이용객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전북 군산의 신시도자연휴양림은 아름다운 서해 일몰 명소이며, 해안 산책로가 인접해 차분한 여름 휴양지로 알맞다. 전남 진도의 진도자연휴양림은 탁 트인 남해 바다와 점점이 흩어진 섬들이 만드는 자연 비경이 방문객들에게 특별한 감동을 선사한다. 인천 중구의 무의도자연휴양림은 수도권에서 차로 1~2시간 이내에 도착할 수 있어 접근성이 뛰어나고, 하나개해수욕장이 도보 거리 내에 있어 가족단위 여행객들에게 특히 인기가 많다. 김명종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바다와 맞닿은 국립자연휴양림은 숲의 치유력과 해변의 여유로움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복합 휴양 공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