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15일 오후 부산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에서 ‘친환경선박 전주기 혁신기술개발사업 통합사업단’을 출범하고 사업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최근 글로벌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 온실가스 배출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동 사업은 국제규제를 만족하는 친환경 선박 및 관련 기자재들의 조기 상용화를 위하여 양 부처가 10년 동안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 ‘50년까지 국제해운 온실가스 총 배출량 50% 감축 목표(‘23년 목표상향 예정)
|
【 사업개요 】 |
|
|
|
|
▪ 사업명 : 친환경선박 전주기 혁신기술개발 사업 ▪ 사업기간 및 규모 : 2022~2031(10년), 총사업비 2,540억원 (국비 1,873억원) ▪ 추진부처 : 해양수산부, 산업통상자원부 공동추진 ▪ 전문기관 :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사업내용 : 국제해사기구 (IMO)의 온실가스 배출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중·대형 친환경 선박 및 구성시스템들의 핵심기술 개발 및 실증을 통한 조기 상용화 기반 확보 |
친환경 선박은 선박 엔진의 연료 전환(암모니아, 수소 등), 연료전지·배터리 등 전기추진 및 에너지 최적화 시스템 등을 탑재하여 선박의 탄소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차세대 고부가가치 선박이다.
동 사업으로 국제해사기구(IMO)의 온실가스 배출규제 대응과 미래선박 시장에서의 신기술 선도를 위하여 2030년까지 수소·암모니아 기반의 무탄소 추진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시험·실증 및 국제 표준화(ISO)와 IMO 의제 개발 활동을 동시에 진행하여 우리나라 기술이 글로벌 시장을 주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친환경선박 전주기 혁신기술개발 사업 비전 및 목표>
통합사업단은 개발 분야(산업통상자원부 지원)와 실증 분야(해양수산부 지원)로 구성되며 개발 분야는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에서, 실증 분야는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에서 주관하여 긴밀한 협력을 통하여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속한 기술자문위원회 운영을 통해 산업계·학계 등 다양한 의견수렴을 진행할 예정이며, 사업 내 기술개발 내용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운영될 예정이다.
해양수산부 송상근 차관은 통합사업단 출범을 축하하며, 미래선박 시장 선도를 위한 “친환경 선박 전주기 혁신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해운·조선 분야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여 줄 것을 당부하였다.
아울러 해양수산부는 국제해사기구(IMO) 등과 적극 협력하여 우리나라의 기술개발 결과물이 국제기준을 주도하고 세계시장을 이끌어 갈 수 있도록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