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분양 주택 |
‘22.6월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총 27,910호로 집계되었으며, 전월(27,375호) 대비 2.0%(535호) 증가하였다.
* ‘21.6월 16,289호 → ‘21.10월 14,075호 → ‘22.2월 25,254호 → ‘22.6월 27,910호
수도권은 4,456호로 전월(3,563호) 대비 25.1%(893호) 증가하였으며, 지방은 23,454호로 전월(23,812호) 대비 1.5%(358호) 감소하였다.
* (수도권) ‘21.6월 1,666호 → ‘21.10월 1,290호 → ‘22.2월 2,318호 → ‘22.6월 4,456호
* (지 방) ‘21.6월 14,623호 → ‘21.10월 12,785호 → ‘22.2월 22,936호 → ‘22.6월 23,454호
준공 후 미분양은 7,130호로 전월(6,830호) 대비 4.4%(300호) 증가하였다.
* ‘21.6월 9,008호 → ‘21.10월 7,740호 → ‘22.2월 7,133호 → ‘22.6월 7,130호
규모별로 전체 미분양 물량을 보면,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은 2,024호로 전월(1,703호) 대비 18.8%(321호) 증가하였고, 85㎡ 이하는 25,886호로 전월(25,672호) 대비 0.8%(214호) 증가하였다.
2. 주택 거래량 |
【➊ 주택 매매거래량】
‘22.6월 주택 매매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50,304건으로 집계되었다.
전월(‘22.5월, 63,200건) 대비 20.4% 감소, 전년 동월(‘21.6월, 88,922건) 대비 43.4% 감소하였으며, 5년 평균(89,084건) 대비 43.5% 감소하였다.
* 연도별 6월 거래량(만건): (‘18)6.5 → (‘19)5.5→ (‘20)13.9→ (‘21)8.9→ (‘22)5.0
또한, ‘22.6월까지 누계 주택 매매거래량은 310,260건으로 전년 동기(559,323건) 대비 44.5% 감소, 5년 평균(477,892건) 대비 35.1% 감소하였다.
* 연도별 6월 누계(만건): (‘18)43.7→ (‘19)31.4→ (‘20)62.1→ (‘21)55.9→ (‘22)31.0
< 월별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 > |
< 월별 서울 주택 매매거래량 > |
|
|
(지역별) 수도권(21,704건)은 전월 대비 17.5% 감소, 전년 동월 대비 48.3% 감소, 지방(28,600건)은 전월 대비 22.5% 감소, 전년 동월 대비 39.0% 감소
’22.6월까지 누계 기준, 수도권(123,831건)은 전년 동기 대비 55.5% 감소, 지방(186,429건)은 33.7% 감소하였다.
< ’22.6월 지역별 거래량 및 증감률(단위: 건) >
구 분 |
’22.6월 |
’22.5월 |
’21.6월 |
증감률(’22년 6월) |
누계(1∼6월) |
||||
전월比 |
전년 동월比 |
5년 6월 평균比 |
거래량 |
전년 동기比 |
5년 6월누계평균比 |
||||
전 국 |
50,304 |
63,200 |
88,922 |
△20.4% |
△43.4% |
△43.5% |
310,260 |
△44.5% |
△35.1% |
수도권 |
21,704 |
26,314 |
42,016 |
△17.5% |
△48.3% |
△53.5% |
123,831 |
△55.5% |
△49.7% |
서 울 |
6,617 |
7,664 |
11,721 |
△13.7% |
△43.5% |
△55.6% |
34,945 |
△52.0% |
△54.4% |
지 방 |
28,600 |
36,886 |
46,906 |
△22.5% |
△39.0% |
△32.6% |
186,429 |
△33.7% |
△19.5% |
(유형별) 아파트(28,147건)는 전월 대비 24.2% 감소, 전년 동월 대비 51.4% 감소, 아파트 외(22,157건)는 전월 대비 15.0% 감소, 전년 동월 대비 28.7% 감소
’22.6월까지 누계 기준, 아파트 거래량(184,134건)은 전년 동기 대비 50.6% 감소, 아파트 외(126,126건)는 32.3% 감소하였다.
< ’22.6월 주택 유형별 거래량 및 증감률(단위: 건) >
구 분 |
’22.6월 |
’22.5월 |
’21.6월 |
증감률(’22년 6월) |
누계(1∼6월) |
||||
전월比 |
전년 동월比 |
5년 6월 평균比 |
거래량 |
전년 동기比 |
5년 6월누계평균比 |
||||
전체 |
50,304 |
63,200 |
88,922 |
△20.4% |
△43.4% |
△43.5% |
310,260 |
△44.5% |
△35.1% |
아파트 |
28,147 |
37,124 |
57,861 |
△24.2% |
△51.4% |
△53.1% |
184,134 |
△50.6% |
△42.6% |
(수도권) |
8,867 |
11,555 |
23,324 |
△23.3% |
△62.0% |
△69.9% |
53,408 |
△68.1% |
△65.5% |
(서 울) |
2,014 |
2,372 |
4,240 |
△15.1% |
△52.5% |
△74.5% |
9,931 |
△66.2% |
△74.7% |
아파트외 |
22,157 |
26,076 |
31,061 |
△15.0% |
△28.7% |
△23.6% |
126,126 |
△32.3% |
△19.9% |
【➋ 전월세 거래량】
※ (유의사항) 6월 1일부터 「주택 임대차 신고제」가 시행되어 집계범위가 확대
또한, 상대적으로 확정일자 신고율이 낮은 갱신 계약 거래 건수가 과소 반영될 가능성이 높음(동 사유로 전월세 거래량은 국가승인통계가 아님) |
임대차 신고제 자료와 확정일자 신고* 자료를 합산한 ’22.6월 전월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212,656건**으로 집계되었다.
* 임대차 신고대상이 아닌 계약의 경우 종전방식의 확정일자로 신고
** 임대차신고제 14.6만 건 + 확정일자 6.6만 건
전월(404,036건) 대비 47.4% 감소, 전년 동월(200,547건) 대비 6.0% 증가, 5년 평균(159,854건) 대비 33.0% 증가하였다.
* 연도별 6월 거래량(만건) : (‘18)13.9→(‘19)13.9→(‘20)18.8→(‘21)20.1→(‘22)21.3
※ ’22.6월 전월대비 거래량 감소는 전월 과태료 부과 계도기간 만료일(‘22.5월말)이 도래됨에 따라 신고를 미뤄왔던 임대차 계약의 일시적인 신고건수 증가에 따른 영향으로 실제 전월세 거래가 감소된 것이 아님에 유의 |
또한, ’22.6월까지 누계 전월세 거래량(1,570,467건)은 전년 동기(1,158,889건) 대비 35.5% 증가, 5년 평균(1,017,166건) 대비 54.4% 증가하였다.
* 연도별 6월 누계(만건) : (‘18)93.4→(‘19)99.3→(‘20)112.6→(‘21)115.9→(‘22)157.0
< 월별 전국 전월세 거래량 > |
< 월별 서울 전월세 거래량 > |
|
|
(지역별) 수도권(143,208건)은 전월 대비 48.0% 감소, 전년 동월 대비 3.3% 증가, 지방(69,448건)은 전월 대비 45.9% 감소, 전년 동월 대비 12.2% 증가
< ‘22.6월 지역별 전월세 거래량 (단위: 건) >
구 분 |
’22.6월 |
’22.5월 |
’21.6월 |
증감률(’22년 6월) |
누계(1∼6월) |
||||
전월比 |
전년 동월比 |
5년 6월 평균比 |
거래량 |
전년 동기比 |
5년 6월누계평균比 |
||||
전 국 |
212,656 |
404,036 |
200,547 |
△47.4% |
6.0% |
33.0% |
1,570,467 |
35.5% |
54.4% |
수도권 |
143,208 |
275,616 |
138,676 |
△48.0% |
3.3% |
32.1% |
1,060,665 |
35.1% |
56.4% |
서 울 |
64,451 |
120,102 |
64,345 |
△46.3% |
0.2% |
25.3% |
486,740 |
30.5% |
48.0% |
지 방 |
69,448 |
128,420 |
61,871 |
△45.9% |
12.2% |
35.0% |
509,802 |
36.3% |
50.5% |
(유형별) 아파트(99,782건)는 전월 대비 38.9% 감소, 전년 동월 대비 7.7% 증가, 5년 평균 대비 36.0% 증가하였으며, 아파트 외(112,874건)는 전월 대비 53.1% 감소, 전년 동월 대비 4.7% 증가, 5년 평균 대비 30.5% 증가하였다.
< ‘22.6월 주택유형별 전월세 거래량 (단위: 건) >
구 분 |
전체주택 |
아파트 |
아파트 외 |
||||||
거래량 |
거래량 |
전월 比 |
전년 동월 比 |
5년평균 比 |
거래량 |
전월 比 |
전년 동월 比 |
5년평균 比 |
|
전 국 |
212,656 |
99,782 |
△38.9% |
7.7% |
36.0% |
112,874 |
△53.1% |
4.7% |
30.5% |
수도권 |
143,208 |
59,618 |
△40.0% |
3.8% |
35.5% |
83,590 |
△52.6% |
2.9% |
29.8% |
서 울 |
64,451 |
19,785 |
△40.5% |
△2.3% |
26.1% |
44,666 |
△48.6% |
1.3% |
25.0% |
지 방 |
69,448 |
40,164 |
△37.2% |
14.0% |
36.8% |
29,284 |
△54.6% |
10.0% |
32.5% |
(임차유형별) 전세 거래량(105,964건)은 전월 대비 35.3% 감소, 전년 동월 대비 8.4% 감소, 5년 평균 대비 13.0% 증가하였다.
월세 거래량(106,692건)은 전월 대비 55.6% 감소, 전년 동월 대비 25.7% 증가, 5년 평균 대비 61.4% 증가하였다.
* 월세는 보증부월세, 반전세 등 포함
< ’22.6월 임차유형별 전월세 거래량 (단위: 건) >
구 분 |
’22.6월 거래량 |
증감률 (전월 比 / 전년동월 比 / 5년 평균 比) |
||||
합계 |
전세 |
월세 |
합계 |
전세 |
월세 |
|
전 국 |
212,656 |
105,964 |
106,692 |
△47.4% / 6.0% / 33.0% |
△35.3% / △8.4% / 13.0% |
△55.6% / 25.7% / 61.4% |
수도권 |
143,208 |
71,581 |
71,627 |
△48.0% / 3.3% / 32.1% |
△37.9% / △12.0% / 10.4% |
△55.3% / 24.8% / 64.3% |
서 울 |
64,451 |
31,249 |
33,202 |
△46.3% / 0.2% / 25.3% |
△38.6% / △13.6% / 5.7% |
△52.0% / 17.9% / 51.8% |
지 방 |
69,448 |
34,383 |
35,065 |
△45.9% / 12.2% / 35.0% |
△29.1% / 0.1% / 18.8% |
△56.1% / 27.4% / 55.7% |
‘22.6월까지 누계 기준, 월세 거래량 비중은 51.6%로 전년 동월(42.0%) 대비 9.6%p 증가, 5년 평균(41.4%) 대비 10.2%p 증가하였다.
* 연도별 6월 누계(%) : (‘18)40.6→ (‘19)40.4→ (‘20)40.5→ (‘21)42.0→ (‘22)51.6
< ‘22.6월 누계 거래 건 중 월세 거래량 비중 (단위: %) >
구 분 |
전체주택 |
아파트 |
아파트 외 |
|||||||||
5년 평균 |
'20 |
'21 |
'22 |
5년 평균 |
’20 |
’21 |
’22 |
5년 평균 |
’20 |
’21 |
’22 |
|
전 국 |
41.4 |
40.5 |
42.0 |
51.6 |
35.2 |
34.8 |
36.3 |
41.8 |
46.7 |
45.8 |
46.8 |
59.7 |
수도권 |
40.3 |
39.5 |
41.2 |
51.2 |
34.3 |
33.8 |
37.1 |
43.2 |
44.5 |
43.8 |
44.1 |
56.7 |
서 울 |
43.0 |
41.7 |
44.5 |
52.9 |
33.0 |
29.7 |
39.6 |
43.2 |
47.8 |
47.3 |
46.8 |
57.2 |
지 방 |
43.7 |
42.7 |
43.6 |
52.6 |
36.6 |
36.3 |
34.9 |
39.7 |
52.3 |
51.1 |
54.5 |
67.9 |
※ 월세 비중 누계 수치는 전월 과태료 부과 계도기간 만료일(‘22.5월말)이 도래됨에 따라 기존 미신고 경향이 높았던 비아파트 등의 월세거래 신고 증가 영향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월세 비중이 실제보다 높아 보이는 수치에 유의할 필요 * 22년 월별 월세 비중(%) : (1월)45.6→ (2월)48.5→ (3월)49.5→ (4월)50.4→ (5월)59.5→(6월)50.2 |
주택 매매거래량 및 전월세 거래량 등에 대한 세부 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www.reb.or.kr/r-one, 부동산정보 앱) 또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누리집(r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주택 건설실적 |
【➊ 인허가 실적】 * 전체주택 대상
(종합) 6월 누계 주택 인허가실적은 전국 259,759호로 전년 동기 대비(230,761호) 12.6% 증가하였다.
< 월별 인허가 실적 추이 > |
< 연간 6월 누계 인허가 실적 추이 > |
|
|
(지역별) 수도권은 96,157호로 전년 동기 대비 17.8% 감소, 지방은 163,602호로 전년 동기 대비 43.9% 증가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
2022 |
2021 |
전년대비 증감 |
5년대비 증감 |
10년대비 증감 |
|||||
6월 |
1∼6월 |
6월 |
1∼6월 |
6월 |
1∼6월 |
6월 |
1∼6월 |
6월 |
1∼6월 |
|
전 국 |
50,701 |
259,759 |
44,018 |
230,761 |
15.2% |
12.6% |
16.6% |
8.8% |
1.1% |
4.4% |
수도권 |
22,886 |
96,157 |
22,895 |
117,039 |
△0.0% |
△17.8% |
26.1% |
△18.5% |
0.6% |
△18.5% |
(서울) |
5,885 |
25,057 |
6,279 |
37,194 |
△6.3% |
△32.6% |
32.9% |
△25.9% |
△3.5% |
△26.9% |
(인천) |
473 |
7,018 |
416 |
3,962 |
13.7% |
77.1% |
△77.5% |
△41.1% |
△79.5% |
△34.2% |
(경기) |
16,528 |
64,082 |
16,200 |
75,883 |
2.0% |
△15.6% |
42.2% |
△11.3% |
15.3% |
△12.2% |
지 방 |
27,815 |
163,602 |
21,123 |
113,722 |
31.7% |
43.9% |
9.8% |
35.5% |
1.4% |
25.1% |
□ (유형별) 전국 아파트는 208,257호로 전년 동기 대비 21.4% 증가하였으며, 아파트 외 주택은 51,502호로 전년 동기 대비 13.0%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
2022 |
2021 |
전년대비 증감 |
5년대비 증감 |
10년대비 증감 |
|||||
6월 |
1∼6월 |
6월 |
1∼6월 |
6월 |
1∼6월 |
6월 |
1∼6월 |
6월 |
1∼6월 |
|
계 |
50,701 |
259,759 |
44,018 |
230,761 |
15.2% |
12.6% |
16.6% |
8.8% |
1.1% |
4.4% |
아파트 |
41,010 |
208,257 |
32,106 |
171,574 |
27.7% |
21.4% |
31.1% |
22.8% |
18.0% |
25.8% |
(수도권) |
17,354 |
67,955 |
16,055 |
83,331 |
8.1% |
△18.5% |
48.9% |
△14.7% |
18.5% |
△8.0% |
(서울) |
3,473 |
14,361 |
3,036 |
22,427 |
14.4% |
△36.0% |
98.3% |
△20.3% |
31.9% |
△9.5% |
비아파트 |
9,691 |
51,502 |
11,912 |
59,187 |
△18.6% |
△13.0% |
△20.6% |
△25.5% |
△37.1% |
△38.1% |
【➋ 착공 실적】 * 전체주택 대상
(종합) 6월 누계 주택 착공실적은 전국 188,449호로 전년 동기 대비(269,289호) 30.0% 감소하였다.
< 월별 착공 실적 추이 > |
< 연간 6월 누계 착공 실적 추이 > |
|
|
(지역별) 수도권은 100,787호로 전년 동기 대비 25.8% 감소, 지방은 87,662호로 전년 동기 대비 34.3%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
2022 |
2021 |
전년대비 증감 |
5년대비 증감 |
10년대비 증감 |
|||||
6월 |
1∼6월 |
6월 |
1∼6월 |
6월 |
1∼6월 |
6월 |
1∼6월 |
6월 |
1∼6월 |
|
전 국 |
39,430 |
188,449 |
42,595 |
269,289 |
△7.4% |
△30.0% |
△10.9% |
△17.1% |
△18.2% |
△19.8% |
수도권 |
20,118 |
100,787 |
22,205 |
135,838 |
△9.4% |
△25.8% |
△18.7% |
△17.0% |
△18.6% |
△13.0% |
(서울) |
9,296 |
35,327 |
6,658 |
24,213 |
39.6% |
45.9% |
18.7% |
4.7% |
27.5% |
6.8% |
(인천) |
1,693 |
15,078 |
708 |
14,819 |
139.1% |
1.7% |
△7.6% |
10.6% |
△12.3% |
44.8% |
(경기) |
9,129 |
50,382 |
14,839 |
96,806 |
△38.5% |
△48.0% |
△39.5% |
△32.0% |
△41.1% |
△30.4% |
지 방 |
19,312 |
87,662 |
20,390 |
133,451 |
△5.3% |
△34.3% |
△1.0% |
△17.3% |
△17.8% |
△26.3% |
(유형별) 전국 아파트는 139,759호로 전년 동기 대비 30.1% 감소하였으며, 아파트 외 주택은 48,690호로 전년 동기 대비 29.7%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
2022 |
2021 |
전년대비 증감 |
5년대비 증감 |
10년대비 증감 |
|||||
6월 |
1∼6월 |
6월 |
1∼6월 |
6월 |
1∼6월 |
6월 |
1∼6월 |
6월 |
1∼6월 |
|
계 |
39,430 |
188,449 |
42,595 |
269,289 |
△7.4% |
△30.0% |
△10.9% |
△17.1% |
△18.2% |
△19.8% |
아파트 |
30,397 |
139,759 |
33,077 |
200,015 |
△8.1% |
△30.1% |
△8.9% |
△12.4% |
△11.1% |
△9.3% |
(수도권) |
15,176 |
73,564 |
16,407 |
104,788 |
△7.5% |
△29.8% |
△19.3% |
△12.7% |
△11.5% |
1.3% |
(서울) |
7,312 |
25,164 |
4,379 |
12,342 |
67.0% |
103.9% |
32.2% |
35.1% |
71.0% |
65.1% |
비아파트 |
9,033 |
48,690 |
9,518 |
69,274 |
△5.1% |
△29.7% |
△17.2% |
△28.2% |
△35.4% |
△39.7% |
【➌ 분양(승인) 실적】* 공동주택 대상(주택법상 입주자모집 승인 대상)
(종합) 6월 누계 공동주택 분양실적은 전국 116,619호로 전년 동기 대비(159,673호) 27.0% 감소하였다.
< 월별 분양 실적 추이 > |
< 연간 6월 누계 분양 실적 추이 > |
|
|
(지역별) 수도권은 55,868호로 전년 동기 대비 26.4% 감소, 지방은 60,751호로 전년 동기 대비 27.5%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
2022 |
2021 |
전년대비 증감 |
5년대비 증감 |
10년대비 증감 |
|||||
6월 |
1∼6월 |
6월 |
1∼6월 |
6월 |
1∼6월 |
6월 |
1∼6월 |
6월 |
1∼6월 |
|
전 국 |
20,367 |
116,619 |
39,243 |
159,673 |
△48.1% |
△27.0% |
△48.0% |
△20.8% |
△47.8% |
△26.1% |
수도권 |
7,721 |
55,868 |
21,492 |
75,865 |
△64.1% |
△26.4% |
△67.0% |
△28.4% |
△59.5% |
△24.5% |
(서울) |
211 |
3,747 |
3,312 |
5,618 |
△93.6% |
△33.3% |
△95.5% |
△67.2% |
△95.2% |
△72.0% |
(인천) |
880 |
9,849 |
1,676 |
14,744 |
△47.5% |
△33.2% |
△74.3% |
△29.2% |
△60.2% |
1.3% |
(경기) |
6,630 |
42,272 |
16,504 |
55,503 |
△59.8% |
△23.8% |
△56.5% |
△19.8% |
△46.9% |
△16.9% |
지 방 |
12,646 |
60,751 |
17,751 |
83,808 |
△28.8% |
△27.5% |
△19.9% |
△12.1% |
△36.6% |
△27.6% |
(유형별) 일반분양은 92,710호로 전년 동기 대비 20.7% 감소, 임대주택은 10,911호로 전년 동기 대비 56.1% 감소, 조합원분은 12,998호로 전년 동기 대비 27.4%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
2022 |
2021 |
전년대비 증감 |
5년대비 증감 |
10년대비 증감 |
|||||
6월 |
1∼6월 |
6월 |
1∼6월 |
6월 |
1∼6월 |
6월 |
1∼6월 |
6월 |
1∼6월 |
|
계 |
20,367 |
116,619 |
39,243 |
159,673 |
△48.1% |
△27.0% |
△48.0% |
△20.8% |
△47.8% |
△26.1% |
일반분양 |
14,799 |
92,710 |
21,490 |
116,906 |
△31.1% |
△20.7% |
△33.4% |
△5.6% |
△42.8% |
△16.4% |
임대주택 |
2,918 |
10,911 |
11,913 |
24,859 |
△75.5% |
△56.1% |
△69.6% |
△55.8% |
△64.6% |
△61.7% |
조합원분 |
2,650 |
12,998 |
5,840 |
17,908 |
△54.6% |
△27.4% |
△63.9% |
△46.5% |
△45.8% |
△29.7% |
【➍ 준공(입주) 실적】 * 전체주택 대상
(종합) 6월 누계 주택 준공실적은 전국 183,277호로 전년 동기 대비(177,906호) 3.0% 증가하였다.
< 월별 준공 실적 추이 > |
< 연간 6월 누계 준공 실적 추이 > |
|
|
(지역별) 수도권은 96,674호로 전년 동기 대비 7.4% 감소, 지방은 86,603호로 전년 동기 대비 17.9% 증가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
2022 |
2021 |
전년대비 증감 |
5년대비 증감 |
10년대비 증감 |
|||||
6월 |
1∼6월 |
6월 |
1∼6월 |
6월 |
1∼6월 |
6월 |
1∼6월 |
6월 |
1∼6월 |
|
전 국 |
30,999 |
183,277 |
33,819 |
177,906 |
△8.3% |
3.0% |
△34.5% |
△25.3% |
△31.0% |
△16.6% |
수도권 |
13,664 |
96,674 |
18,887 |
104,431 |
△27.7% |
△7.4% |
△48.2% |
△24.0% |
△41.9% |
△12.4% |
(서울) |
3,061 |
28,277 |
5,112 |
34,587 |
△40.1% |
△18.2% |
△49.7% |
△20.2% |
△45.2% |
△17.4% |
(인천) |
886 |
20,024 |
3,484 |
9,522 |
△74.6% |
110.3% |
△34.8% |
171.2% |
△64.6% |
134.5% |
(경기) |
9,717 |
48,373 |
10,291 |
60,322 |
△5.6% |
△19.8% |
△48.6% |
△42.7% |
△37.0% |
△28.4% |
지 방 |
17,335 |
86,603 |
14,932 |
73,475 |
16.1% |
17.9% |
△17.4% |
△26.7% |
△19.0% |
△20.9% |
(유형별) 전국 아파트는 139,265호로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하였으며, 아파트 외 주택은 44,012호로 전년 동기 대비 3.8% 감소하였다.
(단위 : 호)
구 분 |
2022 |
2021 |
전년대비 증감 |
5년대비 증감 |
10년대비 증감 |
|||||
6월 |
1∼6월 |
6월 |
1∼6월 |
6월 |
1∼6월 |
6월 |
1∼6월 |
6월 |
1∼6월 |
|
계 |
30,999 |
183,277 |
33,819 |
177,906 |
△8.3% |
3.0% |
△34.5% |
△25.3% |
△31.0% |
△16.6% |
아파트 |
22,459 |
139,265 |
25,727 |
132,173 |
△12.7% |
5.4% |
△38.3% |
△24.0% |
△29.7% |
△7.5% |
(수도권) |
8,418 |
70,680 |
14,150 |
77,873 |
△40.5% |
△9.2% |
△57.4% |
△21.5% |
△48.0% |
0.2% |
(서울) |
833 |
17,233 |
2,992 |
22,300 |
△72.2% |
△22.7% |
△75.9% |
△13.2% |
△68.0% |
1.4% |
비아파트 |
8,540 |
44,012 |
8,092 |
45,733 |
5.5% |
△3.8% |
△21.8% |
△29.1% |
△34.1% |
△3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