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IT·통신

정보보호 의무공시 첫해, 주요기업 투자현황 공개

- 정보보호 투자액·전담인력 비중은 정보기술 대비 9~10% -

- 국내 상위 600여개 기업의 정보보호 총 투자액은 약 2조 285억원 -

- 2년 연속 공시기업 투자액, 전담인력 연평균 26.2%, 32.9% 증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는 12월 20일(화) 기업의 정보보호 투자 활성화 및 이용자의 알권리 강화를 위해 “2022년 정보보호 공시 현황 분석보고서”를 발표했다.

 

 

정보보호 공시제도 개요

 

 

 

◇ (목적) 기업의 정보보호 현황을 공개(의무‧자율)하고 관리함으로써 이용자의 안전한 인터넷 이용과 기업의 정보보호 투자 확대 도모

 

   ※ 정보보호 공시 의무화를 반영한「정보보호산업법」개정·시행(‘21.12월)

 

◇ (의무 대상) 인터넷서비스제공자, 인터넷데이터센터, 상급종합병원, 인터넷기반자원공유컴퓨팅 서비스 제공자, 정보보호최고책임자 지정 의무기업 중 매출액 3천억원 이상 및 일일 평균 이용자수 100만명 이상 사업자 등 598개사

             

  이번 보고서는 정보보호 공시 종합 포털(isds.kisa.or.kr)에 공개한 의무·자율공시 기업(648개사)의 정보보호 투자액, 전담인력, 관련 활동 등 정보보호 현황을 주요 업종별*로 분석하였다.

 

   * 제조업(318), 정보통신업(108), 도소매업(60), 보건업(38), 건설업(32), 운수업(21), 금융업(13) 등

                         

   ※ 표본 수가 적은 업종의 경우 결과에 통계적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어 결과 해석에 주의 필요

 

  업종별 투자액 및 전담인력 1위 기업은 각각 제조업 삼성전자(6,939억원, 526.6명), 정보통신업 케이티(1,021억원, 335.8명), 도매 및 소매업 쿠팡(535억원, 170.6명)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주요 업종별 정보보호 투자액 및 전담인력 1위 기업 >

 

업 종

투자액 (단위: 억원, %)

전담인력 (단위: 명, %)

기업명

정보

기술

정보

보호

투자

비중

기업명

정보

기술

정보

보호

인력

비중

정보통신업

(주)케이티

19,493

1,021

5.24

(주)케이티

5,055.3

335.8

6.64

금융·보험업

(주)우리은행

3,697

406

10.97

(주)우리은행

844.0

77.3

9.16

도·소매업

쿠팡 주식회사

7,494

535

7.13

쿠팡 주식회사

2,303.0

170.6

7.41

제 조 업

삼성전자(주)

72,664

6,939

9.55

삼성전자(주)

9,662.7

526.6

5.45

건 설 업

삼성엔지니어링(주)

672

32

4.78

현대건설(주)

89.7

13.0

14.49

보 건 업

서울아산병원

454

43

9.49

삼성서울병원

133.8

8.0

5.98

운 수 업

(주)대한항공

3,429

97

2.82

(주)대한항공

329.5

26.3

7.98

 

  분석 대상 기업의 정보보호 총 투자액은 약 2조 285억원, 기업별 평균 정보보호 투자액은 약 32억원이며, 정보보호 투자 비중(정보기술 투자 대비)의 평균은 약 9.13%으로 나타났다.

 

  주요 7개 업종별 평균 정보보호 투자액은 금융 및 보험업(70억원), 정보통신업(49억원), 제조업(35억원) 순이고, 정보기술 투자 대비 정보보호 투자 비중(평균)은 금융 및 보험업(10.49%), 제조업(9.74%), 건설업(9.62%) 순으로 높다.

 

< 7개 업종별 정보보호 투자액, 투자 비중(평균) 비교>

 

 

 

  주요 업종의 정보보호 투자액 상위기업을 보면 정보통신업은 케이티(1,021억원, 5.24%), 에스케이텔레콤(627억원, 3.66%), 네이버(350억원, 3.79%) 순이고, 제조업은 삼성전자(6,939억원, 9.55%), 에스케이하이닉스(526억원, 5.35%), 엘지전자(455억원, 18.86%) 순으로 높다.

 

< 정보통신업 및 제조업의 정보보호 투자액 상위 10대기업 >

(단위: 억원, %)

 

순위

정보통신업

제조업

기업명

투자액

투자비중

기업명

투자액

투자비중

1

(주)케이티

1,021

5.24

삼성전자(주)

6,939

9.55

2

에스케이텔레콤(주)

627

3.6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526

5.35

3

네이버 주식회사

350

3.79

엘지전자(주)

455

18.86

4

엘지유플러스

292

3.8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364

34.38

5

네이버클라우드 주식회사

280

4.93

(주)엘지화학

159

7.84

6

에스케이브로드밴드 주식회사

234

4.63

현대자동차(주)

148

3.96

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162

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124

5.67

8

(주)엘지씨엔에스

158

5.29

삼성전기(주)

99

5.32

9

삼성에스디에스(주)

145

7.73

기아 주식회사

83

4.80

10

주식회사 카카오

141

3.91

현대모비스(주)

81

6.45

 

  서비스별 주요 기업의 최고 정보보호 투자비중은 플랫폼 카카오 3.91%(141억원), 이통3사 케이티 5.24%(1,021억원), 게임사 넥슨코리아 8.02%(136억원), 전자상거래 쿠팡 7.13%(535억원)이다.

 

< 서비스별 주요 기업의 정보보호 투자 비중(평균) 비교 >

 

 

 

  분석 대상 기업의 전체 정보보호 전담인력은 약 5.8천명, 기업별 평균 정보보호 전담인력은 약 9.3명이며, 정보보호 전담인력 비중(정보기술 인력 대비)의 평균은 약 10.62%으로 나타났다.

 

  주요 7개 업종별 평균 정보보호 전담인력은 정보통신업(22.4명), 금융 및 보험업(19.9명), 도매 및 소매업(9.6명) 순이고, 정보기술 인력 대비 정보보호 전담인력 비중(평균)은 제조업(12.65%), 도매 및 소매업(11.08%) 금융 및 보험업(8.93%) 순으로 높다.

 

 

< 7개 업종별 정보보호 전담인력, 인력 비중(평균) 비교>

 

 

 

  주요 업종의 전담인력 상위기업을 보면 정보통신업은 케이티(335.8명, 6.64%), 에스케이텔레콤(196.1명, 7.76%), 넥슨코리아(156.8명, 32.67%) 순이고, 도·소매업은 쿠팡(170.6명, 7.41%), 십일번가(37명, 7.07%), 위메프(30.2명, 9.75%) 순으로 높다.

< 정보통신업 및 도·소매업의 정보보호 전담인력 상위 10대기업 >

 (단위: 명, %)

 

순위

정보통신업

도·소매업

기업명

전담인력

인력비중

기업명

전담인력

인력비중

1

(주)케이티

335.8

6.64

쿠팡 주식회사

170.6

7.41

2

에스케이텔레콤(주)

196.1

7.76

십일번가 주식회사

37.0

7.07

3

(주)넥슨코리아

156.8

32.67

(주)위메프

30.2

9.75

4

(주)엘지씨엔에스

117.7

5.16

주식회사 인터파크

29.1

9.45

5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108.8

5.45

삼성물산 주식회사

25.5

5.89

6

네이버 주식회사

107.0

3.49

롯데쇼핑(주)

21.7

2.66

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101.4

3.76

(주)지에스리테일

19.1

4.44

8

엘지유플러스

91.2

3.91

(주씨제이 이엔엠

18.6

5.12

9

(주)더존비즈온

85.3

11.87

에스케이네트웍스(주)

16.2

8.70

10

네이버클라우드 주식회사

69.5

8.70

(주)이마트

13.3

5.22

 

  대다수의 기업이 정보보호 인식제고 활동, 침해사고 대응 모의훈련, 보안인증 획득, 정보보호 보험 가입 등 다양한 정보보호 활동을 추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정보보호 공시기업의 주요 정보보호 활동 >

 

구 분

인식제고

모의훈련

인증 획득

보험 가입

비 중

86.0%

66.8%

31.7%

37.6%

 

 

  제조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정보보호 교육, 침해사고 모의훈련, 정보보호 보험 가입 등 정보보호 활동이 평균보다 낮아 정보보호 최고책임자 및 경영진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2년 이상 연속으로 정보보호 공시를 이행한 기업(49개사)의 정보보호 투자액 및 전담인력이 각각 연평균 26.2%, 32.9%씩 모두 증가되었으며, 향후 정보보호 공시제도가 안정화되면 지속적으로 기업의 정보보호 투자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금품요구악성프로그램 등 사이버공격이 업종에 구분 없이 이루어지고 있어 정보보호 투자액 및 전담인력 부문에서 저조하게 나타난 건설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은 정보보호 투자 및 전담인력 투입 확대에 대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김정삼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코로나 이후 비대면 재택근무가 지속되고, 정보보호 침해사고 발생 등으로 인해 기업의 정보보호 투자, 인력 등 정보보호 현황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면서

 

  “이번 보고서가 정보보호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서 기업 간 건전한 경쟁을 유도하고 기업의 정보보호 전략 수립 및 학계의 연구 활동 등 다양한 영역에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미래 축산 기술 공유의 장 마련 … ‘제3회 스마트 축산 AI(인공지능)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미래 축산 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제3회 스마트 축산 AI(인공지능) 경진대회’ 개최를 위한 현장 문제 해결형 상용화 기술 및 알고리즘 공모를 시작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대회는 AI(인공지능)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축산 현장의 문제 해결을 주제로 하며 공모 분야는 △생산관리 △사양관리 △축산 환경개선으로 구분된다. 제출 부문은 상용화 기술과 알고리즘 개발 총 두 개로,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번 대회를 통해 현장 문제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상용화 기술 우수사례와 알고리즘을 발굴해 확산할 예정이다. 상용화 기술 참가 대상은 스마트 축산 인공지능(AI) 솔루션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과 단체이며 알고리즘 개발은 기업·단체 및 대학생(대학원생 포함)이다. 특히 공익적 관점의 환경·사회·투명(ESG) 주제에는 가점을 부여해 지속 가능한 축산을 위한 기술과 사례를 적극 발굴한다. 상용화 기술 부문은 해당 기술을 적용한 농가와 함께 발표를 진행해 현장의 실제 적용 효과를 생생하게 전달할 예정이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오는 7월 18일까지 전자우편 및 우편으로 참가 신청을 받아 1차 서면 심사, 2차 전문가 심사를 거쳐 7개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
5월엔 신나는 숲속 놀이터로!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소장 김명종)는 8일, 가정의 달 5월을 맞아 아이들이 마음껏 뛰놀 수 있는 놀이시설이 잘 갖춰진 국립자연휴양림을 소개했다. 국립용화산자연휴양림(강원 춘천)은 수직 미끄럼틀, 집재그, 인공암벽 등 활동적인 실내 체험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 아이들과 함께 산림레포츠를 즐기려는 가족 단위 이용객들에게 인기가 높다. 국립용지봉자연휴양림(경남 김해)과 국립속리산자연휴양림(충북 보은), 국립복주산자연휴양림(강원 철원)에는 밧줄을 이용한 재미난 숲속 놀이시설이 있어 아이들이 균형감각을 키우며 재미있게 놀 수 있다. 국립칠보산자연휴양림(경북 영덕)과 국립유명산자연휴양림(경기 가평)에는 산림복합체험센터 내에 디지털 과학기술을 활용한 증강현실(VR) 체험시설과 목재를 이용한 친환경 놀이터가 조성돼있어 날씨와 계절에 상관없이 아이들의 즐거운 놀이터가 되고 있다. 이런 놀이시설들이 점차 알려지며 정적이고 조용한 곳으로만 여겨지던 국립자연휴양림이 안전하게 뛰놀 수 있는 숲속 놀이터로 주목받고 있다. 김명종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가족들이 함께 머물며 즐거운 한때를 보낼 수 있도록 휴양림 내 놀이시설을 더욱 확충해 나가겠다”라며, “가정의 달 5월에 국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