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10 (일)

  • 맑음동두천 9.6℃
  • 구름많음강릉 12.2℃
  • 맑음서울 12.3℃
  • 흐림대전 10.8℃
  • 맑음대구 9.0℃
  • 맑음울산 10.3℃
  • 구름많음광주 14.0℃
  • 맑음부산 14.6℃
  • 구름많음고창 11.2℃
  • 맑음제주 15.1℃
  • 맑음강화 7.7℃
  • 구름많음보은 5.7℃
  • 구름많음금산 6.6℃
  • 맑음강진군 11.4℃
  • 맑음경주시 6.6℃
  • 맑음거제 12.3℃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농업

기습한파로 인한 과일나무 언 피해 주의

- 피복재로 보온…피해 본 나무는 질소질 비료량 30~50% 줄여야 -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올겨울 과일나무의 저장양분*이 2021년보다 조금 높지만, 최근 한파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언 피해(동해)에 더 철저히 대응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가지 내 총 탄수화물 및 수액 내 당 함량을 조사, 총 탄수화물 함량은 수용성 당, 전분을 포함한 탄수화물 형태의 저장양분 비율(%), 수액 내 당 함량은 물관 내 수액의 유리당 함량(mg/mL)을 의미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조사 결과, 2022년 10월(휴면기) 사과, 배, 복숭아, 포도나무의 양분 저장량은 2021년보다 1~5%포인트가량 소폭 증가했다*. 그러나 기상청 전망(2개월 전망)**에 따르면 올해 1~2월 기온이 일시적으로 큰 폭으로 떨어지는 때가 있어 언 피해 사전 대응이 필요하다. 

 *전북 완주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기준

 

**2개월(2023.1∼2023.2) 전망: 올 1~2월 기온은 평년과 비슷할 전망이나, 일시적으로 큰 폭으로 기온이 떨어지는 때가 있음

 

 언 피해를 예방하려면 과일나무의 한계온도 조건을 확인하고, 땅 위 나무 원줄기 부분을 보온자재로 감싸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추위에 약한 복숭아, 포도나무는 영하 13도(℃)∼영하 20도(℃)에 2시간 이상 노출되면 원줄기나 꽃눈이 피해를 볼 수 있다. 사과나무는 영하 30도(℃)∼영하 35도(℃)에서 10시간 이상, 배나무는 영하 25도(℃)∼영하 30도(℃)에서 5시간 이상 노출되면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품종과 나무 나이, 생육상태, 저장양분 상황에 따라 더 높은 온도에서도 언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항상 주의한다.

 

 나무의 언 피해를 예방하려면 줄기를 땅 표면으로부터 50∼80cm 높이까지 볏짚이나 신문지, 다겹 부직포(5∼6겹), 보온재(패드) 등으로 감싸 온도가 내려가는 것을 막아야 한다. 원줄기에 흰색 수성페인트를 발라주는 것도 하루 중 온도 변화를 줄여 피해 예방에 효과적이다.

 

 특히 하천 주변이나 지형이 낮아 찬 공기가 정체되기 쉬운 지역의 과수원은 피해 가능성이 더 크므로 각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피해를 본 농가는 가지치기* 시기를 늦추고, 피해 여부를 정확히 확인한 후 재배적 조치를 취한다.

 *피해가 큰 경우, 나중에 충분한 열매 수를 확보할 수 있도록 평소보다 열매 가지를 더 많이 남겨 가지치기해야 함

 

 껍질이 터진 나무는 확인 즉시 노끈이나 고무 띠(밴드) 등으로 묶어 나무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하고, 살균제를 발라 병원균에 감염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열매맺음 양(결실량)을 줄이고 질소질 비료량을 30∼50% 줄이며, 봄철 충분히 물을 주는 등 철저한 관리로 나무 자람새가 회복되도록 한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전지혜 과장은 “지난겨울 대비 과일나무의 양분 축적은 양호하지만, 언 피해는 거의 매년 발생하고 한 번 발생하면 경제적 피해가 막대하므로 반드시 예방 조치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산림

더보기
12월 이달의 임산물 ‘옻나무’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매월 임산물의 효능과 효과, 조리법 등을 소개하여 임산물의 우수성을 알리고, 올바른 임산물 구매를 안내하는 ‘이달의 임산물’ 시리즈를 추진하고 있다. ‘이달의 임산물’ 시리즈는 산림청 블로그에서 만나 볼 수 있다. 12월 이달의 임산물 주인공은 ‘옻나무’다. 옻을 옻나무 열매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도 있는데, 옻나무 표피에 칼로 상처를 내 나오는 수액이 옻이다. 옻나무 수액은 처음 나올 때는 회색이지만 말리면 검붉은색으로 변한다. 옻은 예로부터 나전칠기를 제조할 때나 가구의 도료로 이용됐다. 이 외에 특수접착제, 비행기․선박 도료로도 쓰인다. 옻나무는 약용과 식용으로도 사용되는데, 약재로 쓰일 때는 수액과 나무껍질, 뿌리껍질 등을 이용하고 식용으로는 옻나무 순을 두릅과 비슷하게 나물로 무치거나 장아찌, 부침, 튀김 등으로도 많이 먹는다. 옻은 위장병의 주요 원인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라균을 죽이는 작용을 한다. 위가 약한 사람이 옻닭을 먹으면 위가 좋아지며 면역력도 증가해 장운동이 활발하지 못한 사람에게 좋은 약재라고 한다. 또한, 따뜻한 성질을 갖고 있어 여성들의 생리통이나 생리불순, 무월경, 변비 등에도 좋다. 옻나무에 많이 함유돼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