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특집

봄철 가뭄대책 강화, 정부 총력대응

- 정부, 3월 가뭄 예‧경보 발표 -

정부는 3월 13일(월), 3월부터 5월까지 전국 가뭄 상황에 대한 예․경보를 발표하였다.

 

 최근 1년 전국 누적 강수량(1188.0㎜)은 평년의 89.5%이나, 전라도와 경상도의 남부지방 누적 강수량(973.0mm)이 평년의 72.6%로 일부지역에 기상가뭄이 계속되고 있다.

 

 

  < 표 1 > 최근 1년(’22.3.3.~’23.3.2.)·6개월(’22.9.3.~’23.3.2.) 전국 누적 강수량 현황

 

구  분

전국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체

영서

영동

최근 1

강수량 (㎜)

1188.0

1782.9

1563.9

1605.3

1481.3

1252.8

1265.8

998.5

920.9

893.7

1069.1

1452.9

평년비1) (%)

89.5

135.1

114.5

118.6

106.3

99.2

99.8

75.6

66.4

77.1

70.1

88.8

평년값 (㎜)

1331.7

1318.6

1377.1

1372.3

1386.7

1261.3

1271.7

1326.8

1390.3

1148.0

1516.0

1676.2

최근

6

개월

강수량 (㎜)

356.8

429.3

510.5

458.2

615.3

292.2

310.9

289.0

313.8

313.3

359.6

520.9

평년비 (%)

103.3

144.9

144.3

152.5

128.1

93.6

94.2

82.9

84.9

93.3

91.2

100.4

평년값 (㎜)

346.3

296.9

372.8

323.8

470.9

312.4

330.4

348.0

370.4

314.4

390.9

549.1

   ※ 최근 6개월(’22.9.3.~’23.3.2.) 누적 강수량(356.8㎜)은 평년의 103.3%

 

 앞으로 5월까지는 강수량이 대체로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어, 남부 일부지역의 기상가뭄은 4월 이후 점차 완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 (3월) 평년(42.7~58.5㎜)과 비슷, (4월) 평년(70.3~99.3㎜)과 비슷 (5월) 평년(79.3~125.5㎜)과 비슷·적음

 

 농업용 저수지 전국 평균 저수율은 평년의 96%로 정상이나, 6개월 이상 장기간 강수량이 적었던 전북과 전남은 80% 정도로 낮은 수준이다.

 

  모내기철(5~6월) 이후까지 가뭄이 지속될 경우에는 저수율이 낮은 지역 중심으로 농업용수 부족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상황이다.

 

 < 전국 및 시도별 저수지 평균 저수율 현황(3.2. 기준) >

 

구 분

전국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저수율

(%)

‘23.03.02.

72.1

94.3

91.9

89.1

95.8

59.4

54.1

77.8

76.3

‘23.02.01.

71.4

93.0

92.3

88.2

95.3

59.3

52.5

77.5

75.2

전월대비(%)

↑ 0.7

↑ 1.3

↓ 0.4

↑ 0.9

↑ 0.5

↑ 0.1

↑ 1.6

↑ 0.3

↑ 1.1

평년대비(%)

96.4

109.5

109.4

110.4

112.0

79.6

80.3

105.4

105.5

 

 생활ㆍ공업용수 주요 수원인 다목적댐(20곳)과 용수댐(14곳)의 전국 평균 저수율은 예년의 102%, 99% 수준이나,

 

  전남북의 ‘주암수어평림섬진강댐’은 ‘심각’ 단계, 경남북의 합천안동임하영천댐은 ‘주의’ 단계, 충남의 ‘보령댐’은 ‘관심’ 단계로, 이들 댐의 용수공급량은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다.

 

< 표3 > 전국 다목적댐ㆍ용수댐 저수량 현황(3.2 기준)

 

구 분

다목적댐

용수댐

전 체

한 강

낙동강

금강

섬진강

기타

저수량

(백만㎥)

‘23.03.02.

5,895

3,219

1,165

1,125

255

131

184

‘23.02.01.

6,327

3,437

1,264

1,202

280

144

198

전월대비(백만㎥)

↓ 432

↓ 218

↓ 99

↓ 77

↓ 25

↓ 13

↓ 14

예년대비(%)

101.5

126.6

82.6

93.9

51.0

83.1

98.6

 

  또한, 일부 도서ㆍ산간 지역은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용수공급 제한과 운반급수 등 비상급수를 실시하고 있다.

 

< 표4 > 생활용수 비상급수 현황(3. 2. 기준)

 

구 분

비상급수 현황

전월 대비

합  계

 10개 시·군·구 62개소(14,749세대, 26,974명)

(추가) 3,816세대 7,604명

도서지역

 6개 시·군·구* 53개소(14,523세대, 26,303명)

 * 인천 중구‧옹진군, 전남 신안‧완도‧진도군, 경남 통영시

(추가) 전남 완도군

* 3,780세대 7,420명

산간지역

 4개 시·군·구* 9개소(226세대, 671명)

 * 강원 영월 ·인제·홍천군, 경북 안동시

(추가) 강원 인제·홍천군

* 100세대 320명

(감소) 강원 인제, 경기 광주, 경남 양산

* 64세대 136명

 

 정부는 3월에서 5월 간 가뭄 예․경보가 발표됨에 따라 남부지방 가뭄 극복을 위해 부처별 다양한 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행안부는 지난 9일 관계부처 합동 「봄철 가뭄 총력대응 방안」 회의에서 논의된 용수 분야별 강화대책의 추진상황을 지속 점검‧관리하는 한편,

 

  - 지난 6일 교부된 재난안전 특별교부세 100억 원에 대한 집행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등 가뭄대책이 현장에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철저하게 관리해나갈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모내기철(5~6월) 원활한 용수공급을 위하여 저수율이 낮은 전북(김제·정읍·부안)과 전남(나주·담양·장성) 지역을 중심으로 저수지 물 채우기, 하천·배수로 물 가두기, 하천유지용수 감량 등을 통해 가용 용수를 확보한다.

 

   - 아울러, 가뭄 항구대책으로 추진 중인 농촌용수개발(12개소), 수계연결(3개소), 대단위 농업개발(2개소) 사업은 추진 단계별로 준공하여 연차적으로 급수면적을 늘려나갈 계획이다.

 

     ※ (농촌용수개발‧수계연결) 저수지 및 양수장 설치 등, (대단위 농업개발) 영산호·영암호 여유수량을 무안·함평·신안 등 7개 시·군에 공급

 

 환경부는 지난 3일 한화진 장관이 광주에 소재한 용연정수장 현장을 살피고 가뭄 극복을 위한 영산강 하천수 비상공급사업*을 세심하게 점검하였다.

 

   * 동복댐 용수를 공급받아 운영중인 용연정수장에 영산강 하천수를 공급하는 도수관로를 설치하여 동복댐의 저수위 도달시기 지연

   

 ※ 도수관로 설치로 최대 3만톤/일 공급 중, 임시가압장 설치 완료 후 최대 5만톤/일 확대(4월)

 

   - 또한, 산업단지 등 광주‧전남지역 생활‧공업용수 확보를 위해 보성강댐 발전용수를 주암댐으로 지속 공급하고, 공공폐수 재이용 시설을 확충하는 등 중장기 대응 방안도 마련하였다.

 

  산업부는 여수‧광양산업단지 입주기업과 협의하여 당초 하반기에 계획된 일부 기업의 공장 정비를 상반기로 앞당겨 정비기간 내 용수 사용 감소에 따른 절수효과가 봄철에 나타나도록 하는 등 공업용수 사용량을 감축하고 있다.

 

 김용균 행정안전부 재난대응정책관은 “지자체 가뭄대책 사업, 관계기관 용수확보대책 등을 신속히 추진하여 국민이 가뭄으로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하겠다”라며,

 

  “국민께서도 가뭄 극복을 위해 생활 속 물 절약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여 주시기를 부탁드린다”라고 밝혔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농민신문(5.7)이 보도한 “토마토뿔나방 기승에도 ‘친환경 약제’ 없다”는 보도는 사실과 다릅니다.
토마토뿔나방이 2023년 7월에 처음 보고된 이후, 토마토뿔나방 방제를 위한 농약 11품목을 직권등록 했음(2023.11.8.) 유기농업자재 분야는 시험을 통해 효과가 검증된 식물추출물·교미교란제 등 5종을 선발하여 ‘토마토뿔나방 친환경 관리 매뉴얼’에 담아 시·군 농업기술센터, 친환경농업단체 등에 배포함(24.5.16) * 고삼 추출물, 데리스 추출물, 미생물제(BT) 2종, 교미교란제 2024년 8월, 토마토뿔나방 피해 예방을 위해 시군농업기술센터를 통해 긴급방제물품(3억원) 지원 및 기술교육 지원함 2025년 1월에는 ‘토마토뿔나방 예찰·방제 계획’을 수립하고, 100억원(국비50+지방비50)을 시·군농업기술센터에 지원하고 있으며, 지자체 담당자 대상 기술교육도 추진 중(’25년 2회) 유기농업자재의 효능·효과를 제품에 표기하기 위해서는 농약 시험기준을 준용하여 효능효과 시험을 하도록 하고 있으나(친환경농어업법), 토마토뿔나방의 농약 시험기준이 없어, 연말까지 마련할 계획임 * 토마토뿔나방 약효·약해 시험(‘25년 농약직권등록사업) 한편, 농촌진흥청은 실효성 높은 토마토뿔나방 방제용 친환경 약제 개발을 위해 민간협력 연구개발도 진행 중임

산림

더보기
5월엔 신나는 숲속 놀이터로!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소장 김명종)는 8일, 가정의 달 5월을 맞아 아이들이 마음껏 뛰놀 수 있는 놀이시설이 잘 갖춰진 국립자연휴양림을 소개했다. 국립용화산자연휴양림(강원 춘천)은 수직 미끄럼틀, 집재그, 인공암벽 등 활동적인 실내 체험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 아이들과 함께 산림레포츠를 즐기려는 가족 단위 이용객들에게 인기가 높다. 국립용지봉자연휴양림(경남 김해)과 국립속리산자연휴양림(충북 보은), 국립복주산자연휴양림(강원 철원)에는 밧줄을 이용한 재미난 숲속 놀이시설이 있어 아이들이 균형감각을 키우며 재미있게 놀 수 있다. 국립칠보산자연휴양림(경북 영덕)과 국립유명산자연휴양림(경기 가평)에는 산림복합체험센터 내에 디지털 과학기술을 활용한 증강현실(VR) 체험시설과 목재를 이용한 친환경 놀이터가 조성돼있어 날씨와 계절에 상관없이 아이들의 즐거운 놀이터가 되고 있다. 이런 놀이시설들이 점차 알려지며 정적이고 조용한 곳으로만 여겨지던 국립자연휴양림이 안전하게 뛰놀 수 있는 숲속 놀이터로 주목받고 있다. 김명종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가족들이 함께 머물며 즐거운 한때를 보낼 수 있도록 휴양림 내 놀이시설을 더욱 확충해 나가겠다”라며, “가정의 달 5월에 국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