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5 (월)

  • 흐림동두천 9.1℃
  • 흐림강릉 8.5℃
  • 서울 10.4℃
  • 대전 10.2℃
  • 대구 9.8℃
  • 울산 9.6℃
  • 광주 11.9℃
  • 부산 10.5℃
  • 흐림고창 12.0℃
  • 흐림제주 15.2℃
  • 흐림강화 10.6℃
  • 흐림보은 10.1℃
  • 흐림금산 9.5℃
  • 흐림강진군 11.3℃
  • 흐림경주시 9.8℃
  • 흐림거제 1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IT·통신

3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 157.8억불, 수입 118.5억불

’23년 3월 정보통신산업(이하 ‘ICT’) 수출 157.8억불, 수입 118.5억불, 무역수지는 39.9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되었다.

 

  ICT 수출액(157.8억불)은 전년 동월(232.6억불) 대비 32.2% 감소하고, 글로벌 경기 둔화 및 반도체 업황 부진 지속으로 9개월 연속 감소했으나, 수출규모는 ’22.12월(168.8억불) 이후 3개월 만에 150억불 이상으로 회복하였다.

 

     ※ ICT 수출(억불) : (’22.12)168.8 → (’23.1)131.0 → (’23.2)128.2 → (’23.3)157.8

 

  품목별로는 반도체(△33.9%), 디스플레이(△41.4%), 휴대폰(△49.3%), 컴퓨터·주변기기(△52.5%), 통신장비(△9.2%) 등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40.1%), 베트남(△20.0%), 미국(△33.3%), 유럽연합(△30.2%), 일본(△10.7%) 등이 감소하였다.

 

   ICT 수입액(118.5억불)은 전년 동월(128.7억불) 대비 7.9% 감소하였다.

 

     ※ 주요 수입 지역 : 중국, 대만, 베트남, 일본, 미국 등

 

 

< ’23.3월p 전체산업 – ICT 수출입 비교(통관기준, 전년 동월 대비, 억불) >

 

 

 

 

구 분

전체산업

정보통신산업(ICT)

‘22.3월

‘23.3월P

‘22.3월

‘23.3월P

수 출

637.9(18.8%↑)

551.3(△13.6%)

232.6(33.6%↑)

157.8(△32.2%)

수 입

638.1(28.3%↑)

597.5(△6.4%)

128.7(17.5%↑)

118.5(△7.9%)

무역수지

△0.2

△46.2

103.9

39.3

     ※ 전체산업(551.3억불) 대비 정보통신산업(ICT) 수출(157.8억불) 비중 : 28.6%

 

ICT 수출 현황

 

 품목별 수출 실적 및 특징

 

  (반도체 : 87.3억불, △33.9%) 반도체 업황 부진에 따른 출하 감소 및 단가 하락 지속되며 시스템(36.3억불, △18.4%) 및 메모리(45.7억불, △44.3%) 감소

 

     * 시스템 반도체 수출(억불, %) : (’22.12)42.7(9.9↑) → (’23.1)29.0(△25.0) → (’23.3)36.3(△18.4)

 

     * 메모리 반도체 수출(억불, %) : (’23.1)27.7(△57.3) → (’23.2)29.2(△53.9) → (’23.3)45.7(△44.3)

 

      - 디램 단가 추이(8Gb, $) : (’22.1~4)3.41 → (’22.5~6)3.35 → (’22.7)2.88 → (’22.8~9)2.85 → (’22.10~12)2.21 → (’23.1~3)1.81

 

  - 다만, 메모리 감소폭 축소, 베트남向 시스템반도체 수출(7.4억불, 20.4%↑) 확대 등으로 전체 반도체 수출은 ’23.1월을 기점으로 감소세 둔화

 

    * 반도체 수출(억불, %) : (’23.1)61.5(△43.5) → (’23.2)61.1(△41.5) → (’23.3)87.3(△33.9)

 

  (디스플레이 : 14.3억불, △41.4%) 전방기기 수요 둔화로 인한 OLED(9.1억불, △35.9%) 및 국내 생산 축소 영향으로 LCD(2.8억불, △53.3%) 감소

 

    * OLED 월별 수출(억불, %) :  (’22.10)14.3(2.9↑) → (’22.11)14.1(△7.6) → (’23.3)9.1(△35.9)

 

    ** LCD 월별 수출(억불, %) :  (’22.8) 5.4(12.5↑) → (’22.9)3.5(△27.3) → (’23.3)2.8(△53.3)

 

  (휴대폰 : 8.3억불, △49.3%) 글로벌 기기 수요 둔화에 따른 완제품(2.6억불, △66.4%) 감소 및 부품 수요 둔화로 부분품(5.7억불, △34.1%) 감소 전환

 

    * 휴대폰(완제품) 월별 수출(억불, %) : (’23.1)3.4(174.1↑) → (’23.2)1.7(△36.2) → (’23.3)2.6(△66.4)

 

    ** 휴대폰(부분품) 월별 수출(억불, %) : (’23.1)10.7(5.7↑) → (’23.2)8.5(4.8↑) → (’23.3)5.7(△34.1)

 

  (컴퓨터·주변기기 : 8.5억불, △52.5%) 전자기기 및 데이터센터·서버용 보조기억장치(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 SSD, 5.4억불, △62.1%) 수출이 감소

 

     * 컴퓨터·주변기기 월별 수출(억불, %) : (’22.6)16.9(13.4↑) → (’22.7)12.1(△21.9) → (’23.3) 8.5(△52.5)

 

     ** 3월 주요국 SSD 수출(억불, %) : (중국(홍콩 포함))1.7(△73.0), (미국 1.9(△54.0)

 

  (통신장비 : 2.4억불, △9.2%) 베트남(0.5억불, 9.6%↑), 인도(0.1억불, 90.9%↑) 등 5G 통신 인프라가 확대되는 지역은 증가했으나, 글로벌 경기 둔화로 전체 통신장비는 감소

 

     * 통신장비 월별 수출(억불, %) : (’23.1) 1.6(△27.2) → (’23.2) 2.1(0.8↑) → (’23.3) 2.4(△9.2)

 

 

※ 중소 및 중견기업 정보통신산업(ICT) 수출 현황(전년 동월 대비)

 

 • (중소* · 중견기업 43.9억불, △23.3%) 휴대폰(2.5억불, 4.4%↑)은 증가, 반도체(19.5억불, △33.4%), 디스플레이(1.9억불, △25.8%), 컴퓨터·주변기기(1.7억불, △3.3%)는 감소

 

   * 중소기업(14.9억불, △15.3%)은 반도체(2.5억불, △26.9%), 디스플레이(0.7억불, △22.3%), 컴퓨터·주변기기(1.3억불, △0.6%) 등 감소 

 

 지역별 수출 실적 및 특징

 

  (중국<홍콩 포함> : 63.3억불, △40.1%)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감소·생산 둔화 지속되며, 반도체(45.7억불, △38.9%)*, 디스플레이(4.7억불, △56.8%), 휴대폰(3.6억불, △40.5%) 등 감소

 

    * 3월 중국, 홍콩 지역별 반도체 수출(억불, %) : (중국)29.1(△47.2), (홍콩)16.6(△15.9)

 

    ※ 중국(홍콩 포함) 수출(억불, %) : (’22.5)87.9(1.4↑) → (‘22.6)90.8(△2.6) → (‘23)63.3(△40.1)

 

  (베트남 : 28.0억불, △20.0%) 전방산업 수요 위축으로 주요 부품 단가 하락 등이 이어지며 반도체(13.8억불, △12.8%), 디스플레이(8.2억불, △29.6%) 등 감소

 

    * 베트남 월별 수출(억불, %) : (’22.7)31.0(5.6↑) → (’22.8)30.0(△8.1) → (’23.3)28.0(△20.0)

 

  (미국 : 19.0억불, △33.3%) 이차전지(4.0억불, 18.8%↑)는 증가 하였으나, 반도체(4.1억불, △59.7%), 컴퓨터·주변기기(2.5억불, △49.0%) 등 감소

 

    * 미국 수출(억불, %) : (’22.9)26.8(3.6↑) → (’22.10)20.4(△14.2) → (’23.3)19.0(△33.3)

 

 (유럽연합 : 9.9억불, △30.2%) 반도체(2.2억불, △3.5%), 디스플레이(0.2억불, △42.8%), 휴대폰(1.0억불, △72.7%) 등 감소

 

    * 유럽연합 수출(억불, %) : (’22.8)10.4(4.6↑) → (’22.9)10.9(△0.1) → (’23.3)9.9(△30.2)

 

  (일본 : 4.1억불, △10.7%) 반도체(1.8억불, 38.3%↑), 이차전지(0.4억불, 0.5%↑)는 증가하였으나, 디스플레이(0.1억불, △37.8%) 등 감소

 

    * 일본 수출(억불, %) : (’22.9)4.4(18.2↑) → (’22.10)3.6(△5.3) → (’23.3)4.1(△10.7)

 

ICT 수입 현황

 

 (품목별) 반도체(54.5억불, △10.4%), 휴대폰(5.2억불, △47.0%), 디스플레이(3.8억불, △23.1%), 컴퓨터· 주변기기(13.0억불, △17.4%) 등 감소

 

 (지역별) 대만(19.6억불, 6.8%↑)은 증가, 중국(홍콩 포함, 43.7억불, △16.6%), 베트남(9.9억불, △30.4%), 일본(9.8억불, △12.5%), 미국(6.4억불, △17.8%)은 감소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
탄소중립 기여하는 산림탄소상쇄제도 무료 교육실시
산림청(청장 남성현)과 한국임업진흥원(원장 최무열)은 ‘산림탄소상쇄사업 역량강화 교육’을 오는 4월부터 9월까지 전국 4개 권역에서 순차적으로 실시한다고 25일 밝혔다. 산림탄소상쇄사업이란 산주, 기업, 지방자치단체 등이 자발적으로 산림을 통해 탄소흡수원 유지 및 증진활동을 통해 확보된 산림탄소흡수량을 정부가 인증해주는 제도이다. 이번 순회교육은 △탄소흡수량 산정 및 사업계획서 작성 △공간정보(GIS)를 활용한 산림조사 실습 △모니터링 보고서 작성법 등을 교육해 제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사업참여 역량을 높이고자 마련됐다. 교육일정은 오는 4월 17일 전라·제주권 교육을 시작으로 6월 서울·경기·강원권, 7월 충청권, 9월 경상권 등 전국 4개 권역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산림탄소상쇄사업에 참여중인 사업자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일반인, 대학생 등 관심 있는 국민 누구나 무료로 참여 가능하며 교육을 희망하는 경우 산림탄소등록부 누리집(carbonregistry.forest.go.kr)에서 교육신청서를 작성해 4월 9일(화)까지 한국임업진흥원에 제출하면 된다. 박은식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은 “산림탄소상쇄사업에 국민들의 관심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