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6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해양수산

2023년 2분기 전국 항만, 물동량 3억 7,316만 톤 처리

-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 동기보다 2.8% 증가한 756만 TEU 처리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2023년 2분기 전국 무역항에서 전년 동기(3억 7,933만 톤)보다 1.6% 감소한 총 3억 7,316만 톤(수출입화물 3억 1,695만 톤, 연안화물 5,622만 톤)의 물량을 처리하였다고 밝혔다.

 

  2023년 2분기 수출입 물동량은 전년 동기(3억 1,849만 톤) 대비 0.5% 감소한 3억 1,695만 톤으로 집계되었으며, 연안 물동량은 전년 동기(6,084만 톤) 대비 7.6% 감소한 5,622만 톤이었다.

 

  항만별로 보면 광양항은 전년 동기보다 2.1% 증가하였고 부산항, 인천항, 울산항, 평택당진항은 각각 0.1%, 3.8%, 0.9%, 4.4% 감소하였다.

 

[ 전국 무역항 항만 물동량(2023년 2분기) ]

(단위 : 만 톤, 전년동기대비%)

 

구 분

’20년

2분기

’21년

2분기

’22년

2분기

’23년

4월

5월

6월

2분기

총물동량

36,045

39,417

37,933

12,472

12,754

12,091

37,316

전년 동기 대비

△11.8

9.4

△3.8

0.7

△5.6

0.4

△1.6

 

수 출 입

30,463

33,577

31,849

10,559

10,882

10,254

31,695

(△0.5)

 

연    안

5,582

5,840

6,084

1,914

1,871

1,837

5,622

(△7.6)

 

 

 

[ 주요 무역항별 물동량(2023년 2분기) ]

(단위: 만 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전체 2분기 물동량(주요항만).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07pixel, 세로 440pixel

 

《 컨테이너 화물 》

 

  2023년 2분기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전년 동기(735만 TEU) 대비 2.8% 증가한 756만 TEU로 집계되었다.

 

  수출입은 전년 동기(417만 TEU) 대비 4.2% 증가한 434만 TEU를 기록하였다. 미국, 일본 등 주요 교역국의 수출입 물동량은 소폭 감소 (미국 4.8%↓, 일본 7.9%↓ 등)했으나, 자동차 및 유류 생산품의 수출입 증가세로 대(對)중국 수출입이 전년 동기보다 5.0% 증가하면서 수출입 물동량이 소폭 증가(수입 2.9%↑, 수출 5.6%↑)하였다. 아울러, 환적물량은 전년 동기(315만 TEU)에 비해 1.1% 증가한 318만 TEU를 처리하였다.

 

[ 전국 무역항 컨테이너 물동량(2023년 2분기) ]

(단위 : 천 TEU, 전년동기대비%)

 

구 분

’20년

2분기

’21년

2분기

’22년

2분기

’23년

4월

5월

6월

2분기

총물동량

7,183

7,754

7,354

2,581

2,540

2,437

7,558

전년 동기 대비

△4.4

7.9

△5.2

5.8

△1.5

4.3

2.8

 

수 출 입

4,054

4,434

4,165

1,457

1,479

1,406

4,341

(4.2)

환    적

3,087

3,277

3,145

1,108

1,050

1,020

3,178

(1.1)

 

연    안

42

43

45

16

12

12

39

 

  주요 항만별 물동량을 살펴보면, 부산항은 전년 동기(567만 TEU)에 비해 3.5% 증가한 587만 TEU를 처리하였다. 이는 미국(8.1%↓), 일본(3.7%↓) 등의 물동량이 일부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대(對)중국 물동량이 소폭 증가(3.4%↑)하여 나타난 결과로 보여진다. 또한, 부산항 수출입은 전년 동기(264만 TEU)에 비해 4.4% 증가한 276만 TEU를, 환적은 전년 동기(303만 TEU) 대비 2.7% 증가한 312만 TEU를 처리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수출입에서는 중국(7.1%↑) 및 싱가포르(19.9%↑)의 물동량 증가세가 두드러졌으며, 환적에서는 중국(0.9%↑), 러시아(10.7%↑)의 물동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항은 전년 동기(80만 TEU) 대비 6.3% 증가한 85만 TEU를 처리하였다. 수출입은 중국과 미국 물동량이 각각 7.4, 6.2% 증가함에 따라 전년 동기(77만 TEU) 대비 8.3% 증가한 84만 TEU를 처리하였다. 다만, 환적은 전년 동기(2.2만 TEU) 대비 62.1% 감소한 0.8만 TEU를 처리하였는데, 이는 올해 초 중국의 코로나19 방역조치 완화 이후, 인천항을 경유하는 공 컨테이너 물량이 다소 줄어들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광양항은 전년 동기(46만 TEU) 대비 5.2% 감소한 43만 TEU를 기록하였다. 수출입은 전년 동기(38만 TEU) 대비 1.2% 증가한 39만 TEU를, 환적은 전년 동기(7.5만 TEU) 대비 37.9% 감소한 4.7만 TEU를 처리하였다. 특히, 광양항을 이용하는 주요 원양선사의 환적 선복량이 축소됨에 따라 환적 물동량의 감소 추세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 비컨테이너 화물 》

 

  전국 항만의 2023년 2분기 비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총 2억 4,396만 톤으로, 전년 동기(2억 4,991만 톤) 대비 2.4% 감소하였다. 울산항, 인천항, 평택당진항은 감소세를 보였으나 광양항은 증가하였다.

 

  울산항은 원유, 석유가스의 수입, 화공품 수출이 감소하여 전년 동기(4,441만 톤) 대비 0.9% 감소한 4,399만 톤을 기록하였다.

 

 

  인천항은 석유가스 수입과 유연탄 수입 물동량 감소 등에 따라 전년 동기(2,380만 톤) 대비 7.0% 감소한 2,213만 톤을 기록하였다.

 

  평택·당진항은 전년 동기(2,479만 톤) 대비 3.0% 감소한 2,403만 톤을 기록하였고, 광양항은 전년동기(5,723만 톤) 대비 3.3% 증가한 5,914만 톤을 기록하였다.

 

[ 전국 무역항 비컨테이너 물동량(2023년 2분기) ]

(단위 : 만 톤, 전년동기대비%)

 

구 분

’20년

2분기

’21년

2분기

’22년

2분기

’23년

4월

5월

6월

2분기

총물동량

24,183

25,788

24,991

8,064

8,426

7,906

24,396

전년 동기 대비

△8.2

6.6

△3.1

△0.5

△6.4

0.3

△2.4

 

수 출 입

18,638

19,986

18,944

6,166

6,566

6,082

18,813

(△0.7)

 

연    안

5,546

5,802

6,047

1,898

1,860

1,825

5,583

(△7.7)

 

 

  품목별로 보면 자동차, 유류가 각각 11.5%, 0.5% 증가하였으며, 광석, 유연탄은 각각 1.1%, 8.1% 감소하였다.

 

  자동차는 전년 동기(2,109만 톤) 대비 11.5% 증가한 2,351만 톤을 기록하였고, 유류는 전년 동기(1억 615만 톤) 대비 0.5% 증가한 1억 673만 톤을 기록하였다.

 

  광석은 전년 동기(3,262만 톤) 대비 1.1% 감소한 3,227만 톤을 기록하였고, 유연탄은 전년 동기(2,832만 톤) 대비 8.1% 감소한 2,602만 톤을 기록하였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2023년 2분기 컨테이너 물동량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소폭 상승했으나, 지속적으로 하락 중인 해운 운임 상황을 고려했을 때 우리나라의 하반기 물동량을 예측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라며, “해양수산부는 우리 기업의 원활한 수출 물류를 지원하기 위해 해운·자동차업계 간 ‘자동차 수출 물류난 해소 지원방안’을 수립하는 등 지원 역량을 결집하고 있으며, 항만 운영상황을 지속 점검하고 관계부처 및 유관업계와도 긴밀히 협의하여 우리나라 수출입 물류를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농업 현장, AI 기술 접목으로 데이터 수집과 활용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9월 23일(화) 오후, 경북 상주시 스마트팜 혁신밸리 내 실증 온실에서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스마트농업데이터 수집 및 활용 서비스에 대한 시연회를 개최했다. 이번 시연회는 AI를 활용한 스마트농업데이터 서비스 실증 지원 사업*을 소개하고, 지원을 통해 상용화가 되었거나 예정된 서비스를 실제 현장에서 구현해 봄으로써 기술 수준 및 해당 서비스의 현장 보급 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행사에는 스마트농업에 관심 있는 청년 농업인 및 스마트팜 기업, 솔루션·농자재 업체, 재배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 스마트농업데이터 서비스 실증 지원 사업 개요 : 데이터 및 AI를 적용한 스마트농업 서비스의 현장 실증 및 모델 고도화, 사업화 관련 비용 지원(’23~) 농식품부는 지역의 스마트팜 우수농가 및 스마트팜 혁신밸리,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단지 등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스마트농업 빅데이터 플랫폼(smartfarmkorea.net)에 연계하여 수집하고 이를 개방하고 있다. 아울러,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활용할 수 있도록 AI를 적용한 서비스에 대한 실증사업도 ’23년부터 적극 지원해 오고 있다. 시

축산

더보기
한우 생산혁신 멘토단 본격 운영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한우 사육기간 단축의 일환으로 9월 26일(금) 오전 충남 천안시 소재 상록리조트에서 ‘한우 생산혁신 멘토∙멘티단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지난 4월 출범한 멘토단 16명과 농협경제지주∙축산물품질평가원∙멘토단 등이 논의하여 지난 8월 선발한 멘티단 88명 등을 대상으로 정부의 ‘소 사육방식 개선 방안’ 관련 정책방향과 멘토∙멘티단 운영 계획 등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진다. 향후 한우 생산혁신 멘토단은 후계농과 창업농 등으로 구성된 멘티를 대상으로 농장을 직접 찾아가 암소개량부터 사양기술 및 축사 환경 관리 요령 등을 1:1 개별 멘토링하게 되며, 멘토단과 멘티단이 간담회 방식으로 모여 각종 경험과 기술적 노하우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5~10명 규모의 지역 단위 소규모 학습조직도 별도로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이번 워크숍을 계기로 멘토∙멘티단 운영이 본 궤도에 올라 한우 사육기간 단축 기술과 노하우가 일선 농가들에게 빠르게 전수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생산비 절감을 통한 농가의 수익성 제고 및 한우 소비자가격 합리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농식품부는 한우산업 중장기 경쟁력 강화

식품

더보기
“계절의 맛을 담은 가을 한우 미식” 한우자조금, 제철 과일과 즐기는 한우 이색 레시피 공개
가을은 오감을 만족시키는 미식의 계절이다. 따사로운 햇살을 머금고 무르익은 제철 과일은 그 자체로도 달콤하고 향긋하지만, 깊고 풍부한 맛의 한우와 만나면 더욱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부드러운 한우와 아삭한 과일이 어우러진 이색 조합은 건강과 풍미를 동시에 살리며, 계절이 전하는 낭만까지 식탁 위에 담아낸다. 이에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 이하 한우자조금)는 가을철 제철 과일과 한우가 조화를 이루는 이색 레시피를 소개한다. ◆ 무화과와 한우 안심, 담백하게 완성한 가을의 맛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무화과는 은은한 단맛과 부드러운 식감으로 한우 안심의 담백함을 돋운다. 짧은 수확기로 인해 ‘가을의 보석’이라 불리는 무화과는 초가을 미식을 대표하는 과일로, 상징적 의미도 크다. 먼저 무화과를 4등분하여 190℃로 예열한 오븐에서 약 10분간 가볍게 구워 향을 살리고, 한우 안심은 소금·후추·올리브오일을 뿌려 겉면만 빠르게 구운 뒤 얇게 썬다. 접시에 루꼴라를 깔고 구운 무화과와 얇게 썬 한우 안심을 올린 다음, 그라나 파다노 치즈를 얇게 깎아 얹고 발사믹 글레이즈로 마무리하면 고소함과 감미로움이 균형을 이루는 가벼운 가을 한 접시가 완성된다. 과일의 산

산림

더보기
누구나 즐기는 숲속 요리체험, ‘휴레스토랑’ 개최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23일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소재 피노키오자연휴양림에서 청각장애인 24명이 참여한 가운데 산림문화 행사인 <누구나 즐기는 숲속 체험 ‘휴레스토랑’>을 개최했다. ‘휴레스토랑’은 참가자들이 표고버섯, 취나물 등 국산 임산물을 이용하여 음식을 만들어 먹으며 휴양림의 자연을 만끽하도록 설계된 국립자연휴양림의 대표적인 산림 문화 프로그램이다. 이날 행사는 (사립)피노키오자연휴양림과 협업으로 이뤄졌으며, 청각장애인과 함께 진행하는 프로그램인 만큼 테이블마다 요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 안내문을 비치하였고, 지역 수어 통역센터에서 파견된 수어 통역사가 함께해 원활한 의사소통을 도왔다.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지난 5월, 전북 진안의 (공립)데미샘자연휴양림과 협력해 청각장애인 대상 ‘휴레스토랑’을 한차례 진행한 바 있으며, 오는 30일에도 국립진도자연휴양림에서 동일 행사를 운영할 예정이다. 특히, 국립진도자연휴양림은 점자 안내와 수어 영상이 포함된 ‘수어숲해설 안내판’을 갖추어 시·청각장애인 모두가 제약 없이 숲해설을 즐길 수 있는 휴양림이다. 김판중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은 “산림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장애인들이 더 자주, 더 편안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