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04 (화)

  • 흐림동두천 2.0℃
  • 흐림강릉 3.0℃
  • 서울 2.8℃
  • 대전 2.6℃
  • 대구 2.5℃
  • 울산 2.9℃
  • 광주 2.8℃
  • 부산 3.8℃
  • 흐림고창 2.2℃
  • 제주 7.7℃
  • 흐림강화 0.6℃
  • 흐림보은 0.9℃
  • 흐림금산 1.5℃
  • 흐림강진군 ℃
  • 흐림경주시 2.7℃
  • 흐림거제 4.3℃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유통

한우고기 부위, 등급에 따라 유통채널별 가격 최대 약 3배까지 차이나

사단법인 소비자공익네트워크(회장 김연화)는 2023년 7월 11일부터 20일까지 서울, 경기 지역 총 120개 매장(40개 대형유통업체, 40개 식육판매장, 40개 식육식당)에서 한우 등심, 안심, 채끝, 국거리, 불고기, 찜갈비 이상 6개 부위를 대상으로 등급별 소비자가격을 조사하였다.

 

 이번 보도자료는 소비자 선호가 높은 주요 부위·등급별 가격에 대한 내용으로 정리되었으며, 당일 할인가격을 포함하여 조사됐다.

 

 2023년 4월과 7월 등심(1등급, 100g) 평균가격을 비교한 결과 ▶도매가격의 경우 4월에는 5,083원, 7월에는 5,293원으로 210원(↑4.13%) 상승에 불과하였으나, ▶대형유통업체 소비자가격의 경우 4월에는 9,429원, 7월에는 10,087원으로 658원(↑6.98%) 상승했고, ▶식육판매장 소비자가격 조사 결과 4월에는 9,165원, 7월에는 9,645원으로 480원(↑5.24%) 상승했다. ▶식육식당 소비자가격의 경우 4월에는 17,067원, 7월에는 19,863원으로 2,796원(↑16.3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모든 유통채널에서 도매가격 상승률보다 높게 나타났다. (표1 참조)

 

  * 식육식당은 4월 대비 7월 가격 상승폭이 가장 컸지만, 식당마다 서비스가 다르고 동일 장소를 조사하여 비교한 데이터가 아님을 감안해야 함

 

[표1] 등심(1등급) 도매․소비자 평균가격(100g/원)

 

구분

2023년

B-A

B/A

(%)

1월

4월(A)

7월(B)

도매가격

5,447

5,083

5,293

210

+4.13

소비자가격

대형유통업체

10,500

9,429

10,087

658

+6.98

식육판매장

9,842

9,165

9,645

480

+5.24

식육식당

20,917

17,067

19,863

2,796

+16.38

 

 유통채널별 각 부위의 최고·최저 가격을 비교 분석한 결과 작게는 1.7배에서 많게는 4.8배까지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중에서도 식육식당의 가격 편차가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 대형유통업체의 부위별 최고최저 가격을 비교한 결과 ▶등심 1++등급(100g)의 경우 최고가(16,990원) 대비 최저가(10,000원) 약 1.7배(6,990원) ▶안심 1등급(100g)의 경우 최고가(17,380원) 대비 최저가(9,990원) 약 1.7배(7,390원) ▶채끝 1++등급(100g)의 최고가(19,590원) 대비 최저가(11,000원) 약 1.8배(8,590원)로 각각 조사되었다. (붙임 표1 참조)

 

  - 식육판매장(정육점)의 부위별 최고최저 가격을 비교한 결과 ▶등심 1+등급(100g)의 경우 최고가(17,480원) 대비 최저가(6,900원) 약 2.5배(10,580원) ▶안심 1++등급(100g)의 경우 최고가(25,000원) 대비 최저가(9,800원) 약 2.6배(15,200원) ▶채끝 1++등급(100g)의 최고가(23,000원) 대비 최저가(9,900원) 약 2.3배(13,100원)로 각각 조사되었다. (붙임 표2 참조)

 

  - 식육식당의 부위별 최고최저 가격을 비교한 결과 ▶등심 1++등급(100g)의 경우 최고가(47,333원) 대비 최저가(11,000원) 약 4.3배(36,333원) ▶안심 1++등급(100g)의 경우 최고가(52,666원) 대비 최저가(11,000원) 약 4.8배(41,666원) ▶채끝 1+등급(100g)의 최고가(32,000원) 대비 최저가(11,000원) 약 2.9배(21,000원)로 각각 조사되었다. (붙임 표3 참조)

 

  * 식육식당은 가격 차이가 최대 4배 이상이었으나 식당마다 서비스가 다르고 동일 장소를 조사하여 비교한 데이터가 아님을 감안해야 함

 

 

[표2] 2023년 7월 유통업체별 등심 등급별 평균최고최저가격(100g/원)

 

구분

1++

1+

1

대형유통업체

평균가격

14,195

12,298

10,087

최고가(A)

16,990

15,500

11,990

최저가(B)

10,000

9,300

6,228

차이(A-B)

6,990

6,200

5,762

식육판매장

평균가격

13,996

12,253

9,645

최고가(A)

17,000

17,480

9,980

최저가(B)

11,000

6,900

8,900

차이(A-B)

6,000

10,580

1,080

식육식당

평균가격

24,050

23,550

19,863

최고가(A)

47,333

31,330

30,000

최저가(B)

11,000

11,800

12,250

차이(A-B)

36,333

19,530

17,750

 

 이번 조사 결과 한우고기 도매가격 변화가 소비자가격에도 어느정도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유통업체별 부위등급의 한우고기 소비자가격 차이가 아직 크기에 소비자는 여전히 한우고기가 비싸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한우고기 소비촉진 및 소비자 인식 개선을 위해 정부는 안정적 공급과 합리적 가격 형성에 적극 노력해야 하고, 생산가공유통업체는 경영 혁신을 통한 고품질 한우고기 공급과 안정적이고 합리적 가격 형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소비자는 한우고기 소비자가격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적극 활용하여 합리적으로 소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사)소비자공익네트워크는 지속적인 가격 모니터링 및 정확한 정보 전달과 한우시장의 안정화로 소비자가 합리적 소비를 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힘쓸 것이다.

 


농업

더보기
봄철 영농 시작, 토양검정 후 비료 사용 계획 세우기부터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본격적인 영농철을 맞아 농작물 파종, 아주심기(정식)에 대비해 ‘토양검정’을 받고 검정 결과에 따라 농경지 비료 사용 계획을 세울 것을 당부했다. 토양검정은 작물 생육에 필요한 비료 사용량을 계산하기 위해 토양 속 양분 함량을 분석하는 과정이다. 농경지가 속한 시군농업기술센터에 토양분석을 의뢰*하면 약 2주 후에 결과를 받을 수 있다. *한 필지 내 12~15개 지점의 토양(깊이 0~15cm)을 채취해 큰 용기에서 섞음. 잘 섞인 시료 1~2kg을 봉투에 담아, 시군농업기술센터 내 종합분석실에 접수 토양검정 후 작물별로 적정 비료 사용량을 안내하는 ‘작물별 비료사용처방서’도 시군농업기술센터에서 발급한다. 작물별 비료사용처방서는 토양환경정보시스템 ‘흙토람’(soil.rda.go.kr)에서 토양검정 결과와 함께 조회할 수 있다. 토양검정 결과에 따라 비료를 처방하면 농경지에 적정량의 농자재를 투입함으로써 토양 양분 집적 예방, 온실가스 발생 저감, 농가 경영비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비료사용처방서에 제시된 작물별 비료 사용량을 재배 준비 단계부터 준수하면 공익직불제 이행점검에서 ‘적합’을 받을 수 있다. ‘부적합’을

축산

더보기
럼피스킨 2종 가축질병으로 관리 완화 등 관리방식 대폭 바뀐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럼피스킨* 발생 위험을 최소화하고 청정화 기반 구축을 위해 「럼피스킨 중장기 방역관리 개선 대책」을 마련하여 위험도 기반 예찰·방제, 백신접종 방식 전환, 질병 관리 수준 완화 등 제도개선이 포함된 세부 대책을 올해부터 추진한다. * 소(牛)에서만 감염되는 가축질병으로 2023년 10월 국내 소 사육 농장에서 첫 발생 이후 그해 107건이 발생하였고, 다음해인 2024년에는 24건 발생 첫째, 질병 전파 원인인 침파리, 모기 등 매개곤충에 대한 위험도 기반 방제와 예찰을 한층 강화한다. 기존 발생지역 및 위험도 평가 결과에 따른 고위험 시·군과 유입 가능성이 높은 서해안 소재 13개 항만 등에 대하여 전문방제업체를 통한 방제를 집중적으로 추진한다. 또한 매개곤충 예찰은 럼피스킨 발생이 많았던 4개도(경기․강원․충남․전북)*의 대상 농가를 확대하고, 국내 유입 경로에 있는 지역의 공중 포집기도 기존 15개소에서 18개소로 추가 설치하여 매개곤충 채집·분류·바이러스 검사 등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바이러스 검출 시 그 결과를 즉시 농가에 제공하여 자체 방제를 강화하도록 하는 등 조기 경보 체계를 가동한다. * (‘2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