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2022년도에 생산된 50개 농산물의 소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년 대비 단위면적당(10아르) 소득은 식량작물 7%, 시설과수(포도) 6% 감소했으나, 화훼(시설 장미) 72%, 노지채소 26%, 시설채소 17%, 특용·약용 11%, 노지과수 3% 등으로 증가해 평균 소득률은 48.2%(전년 대비 0.5%포인트 감소)를 기록했다.
<식량작물> |
<노지채소> |
<시설채소> |
<노지과수> |
<시설과수> |
<화훼> |
<특용> |
|
|
|
|
|
|
|
소득 7%↓ |
소득 26%↑ |
소득 17%↑ |
소득 3%↑ |
소득 6%↓ |
소득 72%↑ |
소득 11%↑ |
소득이 높은 작목은 촉성오이, 시설가지, 시설딸기 등 시설작목이었다. 10아르(1,000m2)당 소득을 보면, 촉성오이는 1,803만 원, 시설가지는 1,293만 원, 시설딸기는 1,270만 원으로 조사됐다. 노지 작목 중 노지포도는 690만 원, 블루베리는 519만 원, 노지생강은 496만 원 등으로 소득이 높았다.
촉성오이는 기온 저하, 일조량 부족으로 초기 출하량이 감소해 가격이 상승했다. 또한, 상대적으로 내한성과 정품 과율이 높은 다수확 품종 재배로 수확량을 유지해 3년 연속 단위면적당 시설작목 중 소득 1위를 차지했다. 노지포도는 봄철 저온 피해가 적었고 생육기 작황이 양호해 수확량이 증가했으나, 착색기 잦은 비와 일조량 부족으로 당도가 떨어져 농가 판매가격(농가수취가격)이 하락했다. 게다가 농자재비와 노동비 증가로 소득이 전년 대비 6%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노지 작목 중 소득 1위를 차지했다.
소득순위 |
시설작목 |
노지작목 |
||
1위 |
오이(촉성) |
소득: 1,803만원/10a |
노지포도 |
소득: 690만원/10a |
|
2020년 소득 1위 2021년 소득 1위 |
|
2020년 1위 2021년 1위 |
|
2위 |
시설가지 |
소득: 1,293만원/10a |
블루베리 |
소득: 519만원/10a |
|
2020년 소득 3위 2021년 소득 4위 |
|
2020년 3위 2021년 2위 |
|
3위 |
시설딸기 |
소득: 1,270만원/10a |
노지생강 |
소득: 496만원/10a |
|
2020년 소득 4위 2021년 소득 2위 |
|
2020년 4위 2021년 16위 |
최근 3년간(2020~2022년) 노지쪽파 소득이 지속해서 하락했고, 들깨, 노지감귤 및 고구마 소득이 하락 추세이다. 농가 경영 비용이 증가하면서 노지쪽파는 가격 하락, 노지감귤은 수확량 감소, 들깨와 고구마는 가격 하락과 수확량 감소로 소득이 줄었다.
작목/연도 |
‘20년 |
‘21년 |
‘22년 |
비고 |
|
|
소득(만원) |
440 |
353 |
265 |
소득 ↓ |
수량(kg) |
1,698 |
1,614 |
1,777 |
- |
|
가격(원/kg) |
3,711 |
3,773 |
2,975 |
가격 ↓ |
|
경영비(만원) |
192 |
256 |
264 |
경영비 ↑ |
|
|
소득(만원) |
55 |
67 |
52 |
소득 ↓ |
수량(kg) |
81 |
84 |
78 |
수량 ↓ |
|
가격(원/kg) |
11,613 |
12,747 |
12,574 |
가격 ↓ |
|
경영비(만원) |
40 |
40 |
46 |
경영비 ↑ |
|
|
소득(만원) |
216 |
255 |
186 |
소득 ↓ |
수량(kg) |
2,939 |
3,100 |
2,485 |
수량 ↓ |
|
가격(원/kg) |
1,215 |
1,311 |
1,353 |
- |
|
경영비(만원) |
145 |
152 |
153 |
경영비 ↑ |
|
|
소득(만원) |
182 |
201 |
134 |
소득 ↓ |
수량(kg) |
1,515 |
1,665 |
1,514 |
수량 ↓ |
|
가격(원/kg) |
2,254 |
2,285 |
2,127 |
가격 ↓ |
|
경영비(만원) |
163 |
183 |
189 |
경영비 ↑ |
노지채소는 최근 3년간 소득순위 변동이 매우 컸다. 특히 조미채소(생강, 쪽파, 대파), 근채류(당근, 무) 순위변동이 심했다.
노지채소(조미채소류) |
노지채소(근채류) |
||||||
작목/연도 |
‘20년 |
‘21년 |
‘22년 |
작목/연도 |
‘20년 |
‘21년 |
‘22년 |
|
20위 |
34위 |
19위 |
|
35위 |
46위 |
25위 |
|
31위 |
20위 |
28위 |
|
27위 |
38위 |
35위 |
|
26위 |
36위 |
33위 |
|
40위 |
35위 |
38위 |
* 50개 작목 소득순위
전년 대비 소득증가 작목은 36개, 소득 감소 작목은 14개로 분석됐다. 소득이 20% 이상 증가한 작목은 노지당근(318%), 노지생강(193%), 시설장미(72%) 등 19개였다. 상위 세 작목은 2021년도 공급 과잉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2022년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줄었는데, 이로 인한 가격 상승이 소득증가에 큰 영향을 끼쳤다.
(기준: 만원, %, 년1기작/10a)
소득증감률 순위 |
작목 |
’21년 |
’22년 |
소득증감률 |
|
1 |
|
노지당근 |
69 |
289 |
318.1 |
2 |
|
노지생강 |
169 |
496 |
193.1 |
3 |
|
시설장미 |
676 |
1,161 |
71.6 |
반면, 소득이 20% 이상 감소한 작목은 고구마(△33%), 노지감귤(△27%), 노지쪽파(△25%), 들깨(△23%) 등 4개다. 농가 경영 비용이 증가하면서 수확량 감소와 가격 하락이 소득 감소로 이어졌다.
기준: 만원, %, 년1기작/10a)
소득증감률 순위 |
작목 |
’21년 |
’22년 |
소득증감률 |
|
48 |
|
노지쪽파 |
353 |
265 |
△25.0 |
49 |
|
노지감귤 |
255 |
186 |
△27.2 |
50 |
|
고구마 |
201 |
134 |
△33.1 |
농촌진흥청은 9월 말에 ‘2022년 농산물소득자료집’을 발간할 예정이다. 농산물 소득조사는 농업인 작목 선택, 경영개선 연구·지도, 농업정책 지원, 영농 손실보상 산정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자세한 내용은 농촌진흥청 농업기술포털 ‘농사로’(www.nongsaro.go.kr), 국가통계포털(kosis.kr)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농촌진흥청 농산업경영과 조성주 과장은 “농자재 비용 상승과 기상재해 등으로 인한 현장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실질적인 농업소득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후변화 대응 품종 및 재배기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라며 “안정적인 수확량을 확보하고, 수요자 맞춤형 농산물을 생산함으로써 농가 판매가격을 올리고, 농산물 시장수요를 고려한 적정 재배면적 확보와 비용 절감 등 보다 적극적인 농업경영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