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농업

농촌진흥청, 마늘 파종 기계화 현장 연시회 열어

- 기계화 표준재배법과 파종기, 직진자율주행장치 등 기계화 기술 선보여
- 양파 아주심기 기계화로 확대 적용할 계획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22일 충남 홍성에서 ‘마늘 파종 기계화 재배모형(모델) 현장 연시회’를 열고 마늘 생산 기계화 기술을 소개했다.

 

 우리나라 밭작물 기계화율은 지난해 기준 66.3%로 논벼 기계화율 99.3%에 못 미친다. 특히 마늘 파종작업 기계화율은 14.8%에 그쳐 다른 작업보다 매우 낮다.

 

 많은 노동력이 드는 마늘 파종을 사람이 직접 하면, 10아르(a) 기준 약 49.0시간이 걸리고 인건비는 62만 원 이상 든다. 이를 기계가 대신하면 노동력은 98%, 생산비는 82% 줄일 수 있다.*

 *마늘 기계 파종 효과 분석 결과: 노동력 98%, 비용 82% 절감

    노동력: (인력) 49.0 시간/10a → (기계화) 0.9 / 비용 : (인력) 621 천원/10a → (기계화) 109

 

 마늘은 이모작으로 논에도 많이 심는데, 벼를 수확한 후 짧은 시간 안에 마늘을 파종해야 하는 문제도 기계화로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종횡무진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도 농업기술원과 시군 농업기술센터, 농업인, 산업체 등과 연계해 주산지 중심 기계화 재배모형을 만들고 우수 농가를 통해 보급을 확대하고 있다.

 *종횡무진 프로젝트: 핵심 농업 현안을 최대한 빠르게 해결하기 위해 농촌진흥청이 추진하는 국가 임무 중심 정책 주도형 프로젝트

 

 

 종횡무진 프로젝트의 하나로 열린 이번 현장 연시회에서는 무 피복, 세절 비닐을 이용해 파종할 때 적용할 수 있는 겨울철 동해 방지 부직포 사용 방법, 수분 관리를 위한 관수 방법 등 재배기술을 설명했다.

 

 또한, 트랙터 부착형 점파·조파식 마늘 파종기, 트랙터 직진자율주행장치, 방제기 등 기계화 기술도 함께 선보였다.

 

  점파식 마늘 파종기= 트랙터에 붙여 사용하며 한 번에 9개의 종자를 점 찍듯 심는다. 점파 파종에 맞게 두둑을 만들고 비닐을 씌운 후 구멍을 뚫으며 파종한다.

 

 조파식 마늘 파종기= 트랙터에 붙여 사용하며 한 번에 8줄씩 마늘 종자를 줄뿌림*한다. 직선 형태의 골을 만들며 종자를 떨어뜨리기 때문에 마늘 대부분이 뉘어진 상태로 심어지며 종자가 거꾸로 파종될 확률은 3% 미만이다. 또한, 줄뿌림 특성상 빈 포기 발생률(결주율)이 1.5% 이하로 낮다.

*줄뿌림: 밭에 고랑을 내 줄이 지게 씨를 뿌리는 방법

 

 직진자율주행장치= 트랙터, 승용관리기 등 기존 핸들 조향 방식 농업기계에 붙이는 자율주행 보조 장치로 경로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그 경로에 따라 주행한다. 이 장치를 붙인 마늘 파종기는 고랑을 따라 직진 주행하며 두둑을 밟지 않고 마늘을 두둑 내에 정확히 파종한다.

 

 붐방제기= 노즐이 붙은 양쪽 장대(붐)를 접었다 폈다 할 수 있으며, 제초제 등 농약을 폭 13.5m로 뿌릴 수 있어 방제 시간과 비용 절감 효과가 크다.

 

 

 무인 항공(드론)방제기= 분사되는 물방울에 공기를 유입해 날림을 억제하고 잎에 농약이 묻는 비율을 높였다. 또한, 공기흡입형 노즐과 제도를 개선해 농약량을 충분히 살포할 수 있도록 했다. 무인항공방제기는 1헥타르(ha)를 15분 만에 방제할 수 있으며, 농약 날림을 30% 이상 낮출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홍성 이외에도 제주, 완주, 해남 등 전국 마늘 주산지에서 현장 연시회를 열고 농업인들에게 기계화 기술을 직접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앞으로 현장 연시회 때 기계로 파종한 곳을 대상으로 수확에도 기계화를 적용해 마늘 생산 전 과정 기계화 모형을 정착, 확산시킬 계획이다.

 

 

 조재호 농촌진흥청장은 “우수 농가를 중심으로 파종부터 수확까지 마늘 전 과정 기계화 모형을 보급해 부족한 노동력 문제를 해결하고 생산비를 줄임으로써 농산물 가격안정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한우, 말레이시아 미식 무대에 오르다” 한우자조금, ‘2025 한우 쿠킹쇼’ 성료...프리미엄 K-푸드 한우 가치 알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 이하 한우자조금)가 지난 6월 11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2025 한우 쿠킹쇼(The Taste of Korea’s Finest, HANWOO)’를 성황리에 개최하며, 프리미엄 K-푸드로서 한우의 가치와 글로벌 경쟁력을 현지 외식 및 유통 관계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알렸다. 이번 행사는 농림축산식품부와 한우자조금이 공동 주최·주관하고, 주말레이시아 대한민국 대사관과 aT 쿠알라룸푸르지사가 협력한 가운데 ‘K-컬처 페스티벌 2025’의 공식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한우 수출국 중 최초의 무슬림 국가인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본 쿠킹쇼는 프리미엄 한우의 현지 경쟁력을 확인하는 자리로 평가받았다. 이날 행사에는 미슐랭 1스타 셰프 손종원이 초청되어 ‘진심을 담은 음식’을 주제로 한우 요리 시연을 펼쳤다. 손 셰프는 한우 타르타르, 한우 불고기 잡채, 한우 육회 비빔밥, 된장 양념 한우 구이 등 전통 한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메뉴를 선보였으며, 숯불과 볏짚을 활용한 구이 방식으로 한우 고유의 감칠맛과 식감 차별성을 부각시켜 큰 호응을 얻었다. 한 참석자는 “스타 셰프가 직접 숯불로 한우를 구워주는 퍼포먼스가 인상 깊었다”며,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