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토교통

`23년 신도시 입주민 교통편의 높혔다.

-대중교통 중심의 대책으로 광역‧시내‧마을버스, DRT 등 총 194대 확충
-출‧퇴근 시 배차간격 5~40분 단축, 하루 이용객 약 7만명 상승
-(검단) DRT 배차간격 43% 단축(△17분), 이용객 128% 증가(11,456명)
-(고덕) 시내 1452번 배차간격 50% 단축(△15분), 이용객 160% 증가(1,887명)

-(동탄 2) 시내 116-2번 배차간격 67% 단축(△40분), 이용객 41% 증가(380명)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위원장 강희업)는 올해 수도권 29개 집중관리지구*에 대한 대중교통 중심의 단기 특별․보완대책 수립 및 이행을 통해 각 지구별 입주민의 교통편의를 높혔다고 밝혔다.

 

    * ①입주가 진행되었거나 1년 이내에 입주 예정 지구 중 ②개선대책 이행률 또는 집행률이 50% 미만이거나 철도사업 1년 이상 지연된 지구

 

 ㅇ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는 작년 10월 「신도시 등 광역 교통 개선 추진방안」을 마련하여 집중관리지구 등을 선정한 후,

 

 ㅇ 화성 동탄 2, 수원 호매실 지구에 대한 특별대책*을 시작(22.10)으로, 시흥권(군자․목감․은계․장현) 등에 대한 보완대책(`23.5)까지 수도권 29개 지구에 대해 단계적으로 특별․보완대책을 수립**하였다.

 

    * 「광역교통법」에 따라 광역교통 특별대책지구로 이미 지정된 경우 특별대책으로 수립하였고, 그 외 지구는 보다 신속하게 대책 수립‧이행을 위해 보완대책으로 추진

 

   ** 주민간담회 및 대광위, 개발사업자, 지자체 등과 TF 운영을 통해 대책 마련

 

 ㅇ 이들 대책 내용은 광역․시내․마을버스 노선 신설 또는 증차, 수요응답형교통수단(DRT) 확충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광역교통 특별․보완대책 수립 및 이행에 따른 주요 효과는 다음과 같다.

 

 ① 특별대책 지구로 지정된 화성 동탄 2, 수원 호매실, 평택 고덕지구의 경우, 화성 동탄 2는 광역․전세버스 24대 확충으로 이용객 2,244명/일 증가, 시내․마을버스 14대 확충으로 이용객 2,134명/일 증가하였다.

 

 

  - 수원 호매실은 광역․전세버스 19대 확충으로 이용객 1,082명/일 증가, 시내․마을버스 3대 확충으로 이용객 1,071명/일 증가하였다.

 

  - 평택 고덕은 광역버스 12대 확충(신설)으로 이용객 683명/일 이용, 시내․마을버스 15대 확충으로 이용객 5,538명/일 증가, DRT 15대 신설로 이용객 1,100명/일 이용하였다.

 

【 지구별 광역교통 특별대책 주요 추진현황 및 효과 】

 

지구명

주요 특별대책 내용

이용객 증가효과

화성 동탄 2

광역‧전세버스 24대 확충

14,443명/일 → 16,687명/일 (2,244명/일↑)

시내‧마을버스 14대 확충

4,020명/일 → 6,154명/일 (2,134명/일↑)

(ex. 116-3번 920명/일 → 1,300명/일, 380명/일↑)

수원 호매실

광역‧전세버스 19대 확충

18,627명/일 → 19,709명/일 (1,082명/일↑)

시내․마을버스 3대 확충

3,581명/일 → 4,652명/일 (1,071명/일↑)

평택 고덕

광역버스 12대 확충

683명/일↑

시내‧마을버스 15대 확충

4,338명/일 → 9,876명/일 (5,538명/일↑)

(ex. 1452번 1,182명/일 → 3,069명/일, 1,887명/일↑)

DRT 15대 신설

1,100명/일↑

합계

총 102대 확충

45,009명/일 → 58,861명/일(13,852명/일↑)

 

    * (배차간격) 화성 동탄 2 시내버스 116-2번 3대 증차로 배차간격 60 → 20분(△40분)
평택 고덕 시내버스 1452번 4대 증차로 배차간격 30 → 15분(△15분)

 

 ② 보완대책 수립지구 중 먼저 하남 감일․미사지구의 경우 시내‧마을버스 총 27대 확충으로 이용객 12,037명/일 증가하였다.

 

  - 고양권(삼송․지축․향동․원흥․식사)의 경우 시내․마을버스 총 8대 확충으로 이용객 28,967명/일 증가, DRT 7대 확충으로 이용객 167명/일이 이용하였으며, 파주 운정 1․2, 3지구는 마을버스 3대 확충으로 이용객 742명/일이 증가하였다. 

 

  - 인천 검단지구의 경우 DRT 4대 증차로 이용객 11,456명/일 증가하였으며, 수원 광교지구의 경우 전세버스 2대 확충 및 광역버스 준공영제 전환으로 이용객 739명/일 증가, DRT 10대 신설로 이용객 740/일 이용하였다.

 

  - 과천 지식정보타운은 시내․마을버스 8대 확충으로 이용객 821명/일 증가, 위례지구는 시내버스 14대 확충(신설)으로 이용객 835명/일,  DRT 3대 신설로 이용객 190명/일이 신규 노선 등을 이용하였다.

 

 

  - 마지막으로, 양주 옥정․회천지구는 광역버스 1대 확충으로 이용객 159명/일 증가, 의정부 고산지구는 전세버스 4대 확충으로 이용객 64명/일 증가, 시흥권(군자․목감․은계․장현)은 전세버스 1대 확충으로 이용객 32명/일 증가하였다.

 

【 지구별 광역교통 보완대책 주요 추진현황 및 효과 】

 

지구명

주요 보완대책 내용

이용객 증가효과

하남 감일‧미사

시내‧마을버스 27대 확충

14,206명/일 → 26,243명/일 (12,037명/일↑)

고양권(5개 지구)

시내‧마을버스 8대 확충

37,552명/일 → 66,519명/일 (28,967명/일↑)

DRT 7대 확충

167명/일↑

파주 운정 1‧2, 3

마을버스 3대 확충

3,076명/일 → 3,818명/일 (742명/일↑)

인천 검단

DRT 4대 확충

8,982명/일 → 20,438명/일 (11,456명/일↑)

수원 광교

전세버스 2대 확충 등

9,950명/일 → 10,689명/일 (739명/일↑)

DRT 10대 확충

740명/일↑

과천 지식

시내‧마을버스 8대 확충

256명/일 → 1,077명/일 (821명/일↑)

위례

시내버스 14대 확충

835명/일↑

DRT 3대 확충

190명/일↑

양주 옥정‧회천

광역버스 1대 확충

4,424명/일 → 4,583명/일 (159명/일↑)

의정부 고산

전세버스 4대 확충

718명/일 → 782명/일 (64명/일↑)

시흥권(4개 지구)

전세버스 1대 확충

1,504명/일 → 1,536명/일 (32명/일↑)

합계

총 92대 확충

80,668명/일 → 137,617명/일 (56,949명/일↑)

 

    * (배차간격) 과천 지식 마을버스 3번 4대 증차로 배차간격 60 → 20분(△40분)
인천 검단 DRT 4대 증차로 배차간격 40 → 23분(△17분)
의정부 고산 광역버스 G6100 4대 증회로 배차간격 15 → 10분(△5분)

 

□ 수립된 광역교통 특별․보완대책 중 추진시기 미도래*, 운수종사자 확보 등으로 아직 추진되지 않은 일부 사업의 경우, 앞으로 정기적인 점검을 통해 이행 현황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예정이다.

 

    * 例) 파주 운정 1·2,3지구 마을버스 2개 노선 신설은 GTX-A 개통에 맞춰 추진

 

□ 대광위 김영한 광역교통정책국장은 “신도시 입주민들의 출‧퇴근 불편을 보다 빠르게 개선할 수 있도록 마련한 광역교통 특별‧보완대책의 효과가 수치로 확인되었다”면서, “앞으로도 관련 기관, 주민과 적극 소통하면서 입주민 입장에서 꼼꼼하게 살펴 교통 불편을 개선하는 등 민생 안정을 위한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ㅇ 아울러, “보다 근본적으로 광역교통 개선대책 사업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신도시 광역교통망 신속 구축방안」(`23.12.5, 발표) 후속 조치도 차질 없이 이행하겠다”라고 덧붙였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내 손으로 만드는 축산유통 서비스 …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축산유통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축산 유통 서비스 혁신을 위해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축산유통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소비자, 축산업 종사자, 학계, 대학생 등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대국민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공모한다. 공모 주제는 기획 분야와 자율 분야로 구분된다. 기획 분야는 축산유통 디지털화와 스마트 축산 활성화 등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 분야는 품질 평가, 이력제도, 축산유통, 정책 지원, 상생협력 및 지역 발전 등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 전반을 주제로 의견을 공모해 국민이 가진 다양한 축산 유통 관련 의견을 경청한다. 접수 방법은 두 가지이다. 기획안은 구글 폼과 전자 우편으로, 영상(쇼트 폼)은 전자 우편으로 접수할 수 있다. 구글 폼은 포스터 내 정보무늬(큐알코드)와 누리집을 통해 바로 접속 가능하다. * 2025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전자 우편 주소: ekape@kois.co.kr 축산물품질평가원은 6월 30일까지 접수된 내용들을 1차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경인지원,스마트 해썹 확산을 위한 견학 프로그램 운영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경인지원은 5월 29일(목)에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와 협력하여 인천 지역의 중소 식품제조업체 25개소를 대상으로 스마트 해썹 현장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번 현장 견학 프로그램은 스마트 해썹 등록업체인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을 직접 방문하여 스마트 해썹 시스템의 운영 사례와 효과를 현장에서 체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은 최첨단 생산설비를 갖추고 볶음김치, 냉동나물을 생산하는 업체로서 ▲공정별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이력추적 ▲설비 자동 제어 등 디지털 기반 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한 대표적인 스마트 해썹 등록 업체이다. 견학에 참가한 업체들은 기존 해썹에서 스마트 해썹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성과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견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업체 관계자는 “생산 및 관리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전송되는 스마트 해썹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품질을 점검하는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 향후 스마트 해썹 도입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 김정희 센터장은 “관내 식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