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5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농업

겨울철 딸기 키울 ‘화분 매개용 꿀벌’ 관리는 지금부터

- 농촌진흥청, 안정적인 겨울철 딸기 생산을 위해 화분 매개용 꿀벌 생산 준비와 관리 당부
- 딸기꽃 피기 전 꿀벌 사용 준비해야… 꿀벌 관리 기술 자료 보급, 기술지원 계획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겨울철 딸기를 안정적으로 생산하려면 화분 매개용 꿀벌*의 생산 준비와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화분 매개용 꿀벌: 꽃가루를 암술에 옮겨 농작물 생산에 도움을 주는 꿀벌

 

 화분 매개용 꿀벌이 없으면 상품성 있는 딸기를 생산할 수 없다. 따라서 딸기꽃이 피기 전 좋은 품질의 화분 매개용 꿀벌을 확보해야 한다. 딸기 화분 매개 생산 농가에 표준규격의 딸기 화분 매개용 꿀벌 벌무리(봉군)를 사전 신청해 분양받는 것이 중요하다.

 

 딸기 화분 매개에 사용되는 꿀벌은 꿀을 생산하는 꿀벌과 달리 월동시키지 않고 별도로 관리해 생산한다. 딸기 농가에 공급된 꿀벌은 5개월 이상 비닐온실에 사용된다.

 

 10월 중순 이후 1화방*의 딸기꽃이 10% 이상 피었을 때 표준규격의 딸기 화분 매개용 꿀벌 벌무리를 투입한다. 이때 꿀벌은 온실(660제곱미터)당 7,500~10,000마리가 좋다. 벌통 내 먹이는 충분히 있어야 하며, 여왕벌이 비닐온실에 적응해 알을 낳을 수 있도록 반드시 대용화분**을 넣어준다. 벌통 내부 온도는 방한재를 넣어 30도로 유지한다.

 * 1화방: 첫 번째 피는 딸기꽃

 ** 대용화분: 꽃가루, 설탕, 콩가루 등 애벌레 양육에 필요한 자연 꽃가루와 꿀 대신 대용식으로 제공되는 먹이

 

 

 꿀벌응애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벌의 활동을 정기적으로 관찰한다. 일주일에 3회는 벌 활동량을 조사하고 660제곱미터 비닐온실당 꿀벌의 수가 12마리 이하면 반드시 벌 상태를 확인한다. 꿀벌 세력이 약해지면 납품받은 양봉농가의 도움을 받아 벌 세력을 키우거나 벌무리를 교체한다.

 

 농약을 뿌릴 때는 전날 저녁 벌통을 비닐온실 외부로 옮기고 살포 1~2일 후 원래 있던 자리에 벌통을 설치한다. 벌통을 옮겨 사용하는 것은 일벌 유실이 커 벌무리 수명을 줄이므로 피한다.

 

화분 매개용으로 사용한 벌통은 꿀벌 감염병을 방지하기 위해 꿀 생산용으로 다시 사용하면 안 되며, 소각해 처리한다.

 

 농촌진흥청은 딸기 재배 농가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화분 매개용 꿀벌 관리 기술 자료를 보급하고, 기술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양봉생태과 한상미 과장은 “표준규격의 화분 매개용 꿀벌 사용과 적극적인 관리를 통해 딸기 결실률을 확보하고 꿀벌 수명을 연장하면 안정적으로 겨울철 딸기를 생산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국제학술대회에서 ‘스마트 혁신과 식품안전’ 연구 성과를 공유하다!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은 8월 27일(수)부터 29일(금)까지 여수 디오션리조트에서 진행되는 ‘2025년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국제학술대회’에 참가하여 분과를 운영한다. 해썹인증원은 식품 가공, 유통, 저장과 관련된 사업성과 및 식품안전 연구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매년 다양한 식품 관련 학술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이번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는 ‘스마트 혁신과 식품안전: 차세대 기술이 만드는 새로운 표준’을 주제로 8월 28일(목) 오후 4시 30분부터 디오션리조트 그랜드볼룸AB에서 분과를 진행한다. 주요 내용은 ▲스마트 식품안전을 위한 딥러닝 기반 신속 병원균 검출 플랫폼(고려대학교 박현우 교수) ▲4차 산업 기술을 활용한 식품특화 스마트센서 개발 연구(해썹인증원 박정일 팀장) ▲스마트 해썹 선도모델 구축 사례(CJ제일제당 고지혜 팀장)이며, 좌장은 해썹인증원 홍진환 인증사업이사가 맡는다. 홍진환 인증사업이사는 “해썹인증원은 식품안전관리 기술을 업체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과 스마트해썹 플랫폼 고도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라며, “이번 분과 운영은 스마트 혁신을 기반으로 한 식품안전관리 기술을 알리는 좋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