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4 (화)

  • 흐림동두천 1.2℃
  • 구름많음강릉 5.0℃
  • 흐림서울 3.2℃
  • 흐림대전 4.5℃
  • 맑음대구 7.8℃
  • 구름많음울산 8.1℃
  • 흐림광주 6.0℃
  • 구름조금부산 8.7℃
  • 구름많음고창 3.0℃
  • 맑음제주 10.7℃
  • 흐림강화 1.8℃
  • 흐림보은 3.2℃
  • 구름많음금산 4.7℃
  • 구름많음강진군 6.6℃
  • 구름많음경주시 3.3℃
  • 맑음거제 8.9℃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농업

시설재배 감귤, 기습 추위 주의 “측창 조절하세요”

- 추위 노출된 만감류, 과육 껍질 얼고 쓴맛 두드러져
- 영하 1도(℃) 이상 유지, 눈 동반한 추위 때는 측창 일시 폐쇄

수확 시기가 1~3월 사이인 만감류*는 무엇보다 저온 피해가 발생하지 않게 관리해야 한다.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이상 한파로 인한 저온 피해가 농가 소득 감소로 이어지지 않도록 시설 내부 보온과 환기를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c10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2pixel, 세로 164pixel

 * 감귤(만다린)과 오렌지를 교잡한 귤, ‘부지화(한라봉)’, ‘세토카(천혜향)’, ‘감평(레드향)’ 등이 있음

 

 농촌진흥청 기존 연구 결과, 영하 3도(℃) 이하에 노출된 만감류는 과육과 껍질이 얼어 비타민 시(C) 함량이 약 40% 감소하고 속껍질이 젖는 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세토카(천혜향)’는 폴리페놀 함량이 늘어 쓴맛이 더 두드러졌다.

 

 만감류 생육을 유지하고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막으려면 시설 내 온도를 최소 영하 1도(℃) 이상으로 유지하는 등 내부 보온과 환기에 신경 써야 한다.

 

 눈을 동반한 한파에는 일시적으로 측창을 닫아* 온도를 유지한다. 측창을 닫으면 시설 내부 온도가 바깥 기온보다 약 4도(℃) 높게 유지되므로 난방하는 온실(최저 2℃ 유지)과 비슷한 수준의 열매 품질을 얻을 수 있다.

 * 대기 온도는 보통 고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지는데, 맑은 날 지면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면 상층 공기 온도보다 낮아지기도 함. 이때 시설(비닐하우스) 측창을 닫으면 냉기류가 침체해 내부 온도가 외부 온도보다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 일부 농가는 이를 우려해 측창을 열어두려는 경우가 많음. 하지만 찬 바람 부는 날 측창을 계속 열어두면 내부 온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창가 쪽 감귤부터 언 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

 

 

 반면, 눈은 내리지 않고 찬 공기만 머무를 때는 찬 바람이 불어오는 쪽 측창은 닫고 반대쪽을 열어 공기가 순환되도록 해야 한다. 공기 팬을 활용해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되 습도가 80% 이상 오르면 환기와 더불어 곰팡이병 예방 약제를 뿌려준다.

 

 온도 관리를 위해서는 다겹 보온 커튼과 난방기를 활용하는 것도 좋다. 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온실 틈새 균열은 즉시 보수한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연구센터 안현주 센터장은 “최근 3년간 12월 말과 1월 말 무렵에 급격한 기온 저하 또는 폭설을 동반한 이상 한파가 발생하고 있다.”라며, “저온 피해로 인한 만감류의 품질 저하와 농가 소득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적극적인 대비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
산림청, 2029년까지 목재자급률 27%까지 확대
산림청(청장 임상섭)은 목재산업 발전 및 국산 목재이용 활성화를 위해 ‘제3차 목재이용종합계획(2025~2029)’을 수립했다고 13일 밝혔다. ‘제3차 목재이용종합계획’은 ‘탄소중립에 기여하는 국산목재 이용 확대와 목재산업 활성화’를 목표로 주요 5대 전략에 대한 15개 과제를 담고 있으며 세부 추진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지속가능한 목재 생산 확대를 위해 경제림 육성단지 경영체계를 개선하고 임도·고성능 임업기계 등 생산 기반시설을 확충해 ‘산림자원순환경영’을 확산한다. 또한 목재수급 안정화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해외 산림투자 지원을 활성화한다. 다음으로 목재 이용 증대 및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친환경성·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목조건축을 확대한다. 관계부처와의 협업을 통해 목조건축 분야 규제개선 등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소비자가 편리하게 목재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국산 원목의 용도별 유통체계를 개선해 일원화된 목재정보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지역별로 특성화·효율화된 목재산업단지를 조성해 생산·유통·기술협력 등 기반시설을 지원함으로써 목재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일자리 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 등 경제적·사회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