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토교통

’23년 공간정보산업 성장률 둔화에도 2,372개의 일자리 창출

- 전년 대비 사업체 수 1.4%, 매출 0.6%, 종사자 수 3.3% 성장에 그쳐
- 전체 산업 성장률 대비 사업체 수는 0.2%p 낮고, 매출액 2.4%p, 종사자 수 2.9%p 높아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24년 공간정보산업* 통계조사 결과(’23년 기준) 국내 공간정보산업 사업체 수는 5,955개, 매출액은 11조 780억 원, 종사자 수는 74,858명이라고 발표했다.

 

   * 공간상에 존재하는 객체에 대한 위치정보 및 관련된 공간적 인지와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생산ㆍ관리ㆍ가공ㆍ유통하거나 다른 산업과 융ㆍ복합하여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산업

 

  국가 승인통계인 공간정보 산업조사는 공간정보산업 활동을 영위하는 사업체 분포와 고용구조 및 경영실태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공간정보산업의 정책 수립과 기업의 경영계획 수립 및 평가, 학계·연구소 등에서 연구·분석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이번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년 대비 사업체 수 84개사(1.4%), 매출액 657억 원(0.6%), 종사자 수 2,372명(3.3%)이 각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구 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단위(개)

4,490

4,520

4,533

4,569

4,492

5,563

5,589

5,595

5,807

5,871

5,955

전년대비(%)

0.1

0.7

0.3

0.8

-1.7

23.8

0.5

0.1

3.8

1.1

1.4

연평균(%)

0.1

0.4

0.3

0.5

0.0

3.6

3.2

2.8

2.9

2.7

2.6

단위(억 원)

64,573

71,274

79,549

84,924

85,246

88,798

93,390

97,691

107,381

110,123

110,780

전년대비(%)

16.5

10.4

11.6

6.8

0.4

4.2

5.2

4.6

9.9

2.6

0.6

연평균(%)

18.7

14.5

13.5

11.8

9.4

8.5

8.0

7.6

7.8

7.3

6.7

단위(명)

48,644

51,478

54,335

57,362

58,646

63,349

65,356

67,740

71,636

72,486

74,858

전년대비(%)

13.7

5.8

5.5

5.6

2.2

8.0

3.2

3.6

5.8

1.2

3.3

연평균(%)

13.7

9.7

8.3

7.6

6.5

6.8

6.2

5.9

5.9

5.4

5.2

 

  이러한 전년 대비 성장률은 전체산업 평균 대비 사업체 수는 0.2%p 낮고, 매출액은 2.4%p, 종사자 수는 2.9%p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  분

전체

제조업

건설업

도매 및 소매업

운수 및 창고업

정보

통신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사업지원  서비스업

공간정보산업

사업체 증가율(%)

1.6

-9.2

0.3

3.5

3.8

0.2

2.1

0.6

1.4

매출액

증가율(%)

-1.8

-2.3

2.4

-2.1

-8.2

1.7

4.8

2.9

0.6

종사자

증가율(%)

0.4

-0.9

-1.8

-1.0

1.5

-1.3

1.7

0.5

3.3

 

 ’13년 첫 조사를 시작한 이래 국내 공간정보산업은 연평균 사업체 수 약 130개(2.6%), 매출액 약 5천1백억 원(6.7%), 종사자 수 약 2천9백 명(5.2%)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성장률은 최근 5년 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는데, 5년 전(2019년) 대비 연평균성장률이 사업체 3.2% → 2.6%, 매출액 8.0% → 6.7%, 종사자 수 6.2% → 5.2%로 하락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023년 공간정보산업의 영업이익률은 3.2%, 당기순이익률은 1.4%로 전년대비 절반 이하로 감소(영업이익률 3.5%p, 당기순이익률 5.3%p 하락)하여 이익률은 전 산업 평균에 조금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업이익률) 전체(3.5%), 제조업(3.3%), 건설업(2.9%), 도매 및 소매업(2.8%), 운수업(5.3%), 정보통신업(4.8%),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4.5%), 사업지원 서비스업(3.4%)

 

  ** (당기순이익률) 전체(3.2%), 제조업(4.5%), 건설업(2.0%), 도매 및 소매업(2.3%), 운수업(3.8%), 정보통신업(2.0%),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4.3%), 사업지원 서비스업(1.8%)

 

 국토교통부 박건수 국토정보정책관은 “디지털트윈의 핵심 요소인 공간정보는 국토의 지능적 관리와 국민 삶의 질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핵심 기반”이라고 강조하며,

 

  “이제는 고부가가치 서비스 시장의 창출과 활성화가 필요한 시기라며, 공간정보와 산업의 양적, 질적 성장을 위해 정책역량을 총동원하겠다”라고 밝혔다.

 

  ’24년 공간정보산업 통계조사 결과는 국토교통부 통계누리* 또는 공간정보산업진흥원**,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서 12월 31일 이후 확인할 수 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대체할 수 없는 품격, 우리 한우” 한우만이 가진 신선함과 안전성, 수입육·배양육 완벽 제압
한우는 오랜 시간 한국인의 식문화 속에 함께해온 대표 식재료다. 명절과 잔칫상, 보양식에 빠지지 않는 고기로, 단순한 맛과 품질을 넘어 ‘신뢰할 수 있는 고기’로 자리매김해 왔다. 특히 한우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한국에서만 사육되는 고유 품종으로, 문화체육관광부가 선정한 ‘대한민국 100대 민족문화 상징’ 중 하나이기도 하다. 단순한 식재료를 넘어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전통이 담긴 문화 자산으로서의 가치가 크며, 이러한 상징성과 국내산 축산물에 대한 신뢰는 오늘날에도 소비자들이 한우를 선택하는 중요한 이유가 되고 있다. 최근 축산물 시장은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수입육은 물론, 기술 발전으로 등장한 배양육과 대체식품의 영향력도 커지고 있다. 다양한 선택지가 늘어난 만큼 소비 기준 역시 복잡해지고 있으며, 단순한 가격이나 유행보다 ‘신선도’와 ‘안전성’을 함께 고려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는 추세다. 수입육은 장거리 운송과 냉동·해동 과정을 거치면서 신선도와 위생 관리에서 한계가 있다. 배양육은 생산 과정에서 GMO나 인공 화학물질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으며, 장기 섭취에 대한 안전성도 아직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상태다. 대체식품 또한 제조 과정에서 높은 이산화탄소 발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창업박람회서 음식점 위생등급제 상담부스 운영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은 음식점 위생등급제 참여 확대와 소비자 인지도 제고를 위해 6월 12일(목)부터 14일(토)까지 ‘제일창업박람회 in 서울’에서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현장 상담부스를 성황리에 운영했다. 이번 박람회는 창업을 위한 예비 창업자, 프랜차이즈 본사, 관련 기관 및 관련 산업 종사자 등 많은 관계자들이 참여하였다. 해썹인증원은 각 지역 참가 업체와 관람객을 대상으로 ▲음식점 위생등급제 소개 및 기관 안내 ▲음식점 위생등급제 ‘1:1 무상 맞춤형 전문기술상담’ 및 위생교육 ▲표어(“깨끗하게 유별나게 음식점 위생등급제! 외식할 때, 배달앱에서 주문할 때, 위생등급 표시 확인하세요.”) 홍보 및 인지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음식점 위생등급제’는 음식점의 위생 상태를 평가해 우수 업소에 등급(★★★매우우수, ★★우수, ★좋음)을 부여하여, 이를 공개하고 홍보하는 제도로 2017년부터 식품의약품안전처 주도로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는 제도이다. 한상배 해썹인증원장은 “일상에서 음식점 위생등급제를 확인하는 소비자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라며, “안전한 외식문화 조성을 위해 예비창업자와 기존 운영자분들의 위생관리 역량 향상에 적극 힘

산림

더보기
‘우리가 꼭 지켜야 할 작은 숲’, 국민 곁으로 찾아갑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작은 숲이 품고 있는 소중한 가치를 시민들과 공유하기 위해「우리가 꼭 지켜야 할 작은 숲」이라는 주제로 16일(월)부터 29일(일)까지 정부대전청사와 국립세종수목원을 순회하는 ‘찾아가는 사진전’을 개최한다. 이번 사진전은 국립산림과학원이 2015년부터 발굴해 온 ‘특정산림식물군락’을 국민들에게 소개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정산림식물군락은 우리나라 산림 지역에서 다양한 이유로 소멸이 우려되는 소규모 혹은 희소한 식물군락을 말한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전국에서 총 613개소의 특정산림식물군락을 발굴해 188개 유형으로 분류했으며, 이번 전시에서는 그중 72개소를 선정해, 각 군락의 생태적 특성과 보호 상태, 보전 방향 등을 사진과 함께 소개한다. 앞서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5.22)을 기념하며 첫 사진전이 열렸고, 이번에는 더 많은 국민과 만나는 ‘찾아가는 순회 전시’로 이어간다. 사진전은 6월 16일(월)부터 20일(금)까지 대전정부청사 지하 1층 로비에서, 6월 21일(토)부터 6월 29일(일)까지 국립세종수목원 분재문화원에서 관람할 수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최형태 산림생태연구과장은 “작지만 흔치않은 숲을 살피는 것은 우리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