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5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토교통

“시속 1,200km 꿈의 열차” …하이퍼튜브 기술개발 본격 착수

- 올해부터 3년간 총 사업비 127억원 투입… 4개 세부 기술 개발 및 검증
-내실 있는 사업 추진을 위해 관련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TF도 구성·운영

정부가 올해를 K-하이퍼튜브의 원년으로 삼고, 철로 위 비행기, 하이퍼튜브 열차의 핵심기술 연구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국토교통부(박상우)는 차세대 초고속 육상 교통수단, 하이퍼튜브 핵심기술인 자기부상 추진 기술 개발에 본격 착수* 한다고 밝혔다.

 

    * 총사업비 : 127억원(`25년 36.8억원) / 사업기간 : `25~`27 / 주관연구기관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하이퍼튜브’*는 진공에 가까운 아진공(0.001~0.01 기압) 튜브 속에서 자기 부상 기술로 열차를 띄워, 열차와 선로 간의 전자기력을 이용해 열차를 강하게 밀어 초고속으로 이동시키는 미래형 교통 시스템이다.

 

   * 2013년에 기술 착수와 함께 ‘하이퍼루프’라는 이름으로 도입된 개념으로,
우리나라·유럽은 통상 ‘하이퍼튜브’라는 이름으로 명명

 

 하이퍼튜브는 비행기보다 빠르고, 친환경적이며, 기상 영향을 적게 받는 교통수단으로 꼽힌다.

 

< 하이퍼튜브 vs 기존 교통수단 비교 >

 

구 분

하이퍼튜브

비행기

고속열차(KTX)

자동차

속도

1,200km/h

900km/h

300km/h

100km/h

탄소 배출

0g/km*

285g/km

73g/km

104g/km

기상 영향

매우 낮음

매우 높음

보통

다소 높음

   * 아진공 튜브 외벽을 감싼 태양광 패널을 통해 얻은 태양광 에너지로 전력 공급 시

 

  ※ 출처 : Hyperloop commercial feasibility analysis(美교통부, 2016)

 

  특히, 1,200km/h 가까이 주행 가능한 철도로서, KTX(시속 300km/h)는 서울역에서 부산역까지 1시간 52분(무정차 운행 기준)이 소요되는 것에 반해, 같은 거리를 20분 이내에 주파할 수 있어 지역 간 연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꿈의 교통 시스템이다.

 

 하이퍼튜브의 초격차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차량을 고속 주행시키는 ➊자기부상·추진 기술, 극한의 아진공 환경(0.001~0.01 기압)을 유지하는 주행 통로인 ➋아진공 튜브 설계·시공 기술, 아진공으로부터 객실 기밀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하는 ➌차량 설계·제작 기술 등이 요구된다.

 

[하이퍼튜브 시스템 개념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그림2.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25pixel, 세로 850pixel

 

  이번 연구개발 내용은 자기부상·추진 기술 개발에 해당하며, 하이퍼튜브 전용 선로, 초전도 전자석 시스템, 주행 제어 기술, 차체 설계·제작 등 4가지 세부 기술 개발을 통해 차량의 부상·추진을 검증할 계획이다.

 

 또한, 내실있는 사업 추진을 위해 철도국장을 위원장으로 세부기술 분야별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하이퍼튜브 핵심기술 개발 사업 추진 TF’를 운영하여 주기적으로 연구개발 성과를 점검한다.

 

 

 

 

하이퍼튜브 핵심기술 개발사업 추진 TF

(위원장 : 철도국장)

 

 

 

 

 

 

 

 

 

 

 

 

간사 : 철도안전정책과

 

 

 

 

 

 

 

 

 

 

 

➊ 전자기 추진

선로 기술 개발

 

➋ 초전도 전자석

시스템 기술 개발

 

➌ 초고속 추진

제어 기술 개발

 

➍ 부상·추진

차체 검증

 • GS 건설

 

 • 한국교통대학교

 

 • 한국전기연구원

 • 초전도산업협회

 

 • 한국기계연구원

 • 가천대학교

 

 • 한국교통대학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한국기계연구원

 

 국토교통부 윤진환 철도국장은 “이번 연구개발은 철로 위 비행기, 하이퍼튜브 기술의 첫 발걸음으로서 큰 의미가 있는 사업으로, 지역 균형발전과 인구 절벽으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 해소에 기여할 것”이라며,

 

  또한 “우리나라는 불과 20년 전 고속철도 수입국에서 자체 기술 개발에 성공하여 수출하는 국가로 도약함으로써 우리 기술의 우수성과 경쟁력을 세계에 입증하였다. 하이퍼튜브라는 ‘꿈의 철도’ 기술 개발로 글로벌 철도 경쟁 시장을 주도하고 세계 각지로 뻗어나가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농업

더보기
‘저장기술 현장 적용 확대’ 여름철 배추 수급 사전 점검
농촌진흥청은 시에이(CA)저장고, 엠에이(MA) 기술 등 저장 기술을 현장에 확대, 적용해 여름철 배추 수급 안정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은 7월 10일 충북 보은거점산지유통센터(APC)를 찾아 능동형 시에이(CA)저장고* 도입 현장을 둘러보고, 보급 과정에서 생긴 어려움과 개선점을 논의했다. * 능동형 시에이(CA)저장고: 저장된 농산물의 생리적인 특성을 자동으로 감지해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를 제어하는 2세대 시에이저장고 최근 이상기후로 농산물 수급이 불안정해지면서 이를 완화할 방안으로 능동형 시에이(CA) 저장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봄배추를 장기 저장해 여름철에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여름철 배추 수급 안정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은 2024년 개발, 보은거점산지유통센터에 설치한 능동형 시에이(CA)저장고에 지난달 10일 봄배추를 입고했다. 앞으로 3개월 동안 저장 중 신선도를 실증할 계획이다. 이곳에 저장된 봄배추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이티, aT)가 정부 수매로 확보한 약 69톤과 민간업체 3곳에서 각각 7톤씩을 제공해 모두 90톤이다. 권재한 청장은 “대형 유통센터에서 이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