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15 강원 고성군 대진항에서 인공 2세대 어린명태 방류... 명태자원 회복 기대 -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춘)는 15일(금) 강원도 고성군 대진항 앞바다와 고성군 연안(저도어장) 보호수면에 어린명태 15만 1천 마리를 방류한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강준석 해양수산부 차관을 비롯하여 관계자, 어업인 등 약 30여 명이 참석한다.
이번에 방류되는 어린명태(몸길이 7~20cm)는 명태완전양식기술*을 통해 탄생한 인공 2세대로 강원도 한해성수산자원센터에서 약 10개월간 사육하였으며 지난 5월 강원도 고성군 공현진항 앞바다에 방류한 명태와 같은 세대이다.
* 명태완전양식기술 : 인공적으로 수정란을 생산·부화시켜 키운 어린 명태를 어미로 키워서 다시 수정란을 생산하는 순환체계가 구축되는 것
해양수산부와 강원도는 ‘명태살리기 프로젝트(’14~)‘를 공동 추진하며 2015년에 처음으로 인공 1세대 명태 1만 5천 마리를 방류하였다. 이후 완전양식을 통해 인공 2세대 명태를 얻었으며, 올해 5월(15만 마리)과 12월(15만 1천 마리)에 총 30만 1천 마리를 방류함으로써 최초방류 이후 2년 만에 20배에 달하는 방류 성과를 달성하게 되었다.
15일 방류행사에서는 대진항 연안 수면에 약 1천 마리의 어린 명태를 방류하고, 이후 배로 이동하여 보호수면에 15만 마리의 어린명태를 방류할 계획이다. 방류 이후에는 어미명태로부터 확보한 유전자 정보 등을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서식 추이를 관찰*하는 등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 어획 혼획률에 따른 방류효과 조사 및 추적 등

해양수산부는 작년과 올해 동해에서 포획한 명태의 유전자 분석 및 부착표지 확인을 통해 기존에 방류한 명태가 잘 정착*하여 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번에 방류되는 명태 역시 자연에 순조롭게 적응하여 우리 명태자원 회복의 출발점이 되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2015년, 2016년 표지를 부착하여 방류한 명태가 2016년, 2017년 각각 동해안에서 어획
강준석 해양수산부 차관은 “이번에 방류할 어린명태들이 우리 식탁에서 다시 국산 명태를 만날 수 있게 해줄 희망의 씨앗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올해에 이어 내년에는 100만 마리 방류를 목표로 인공양식 명태 생산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강 차관은 명태 방류행사 이후 강원 고성군 죽왕면에 위치한 해수플랜트연구센터를 방문하여 해수온도차 발전시설에 대한 보고를 받고, 심층수 취수시설 등을 둘러보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