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3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축산정책

농식품부,「2017년 말산업실태조사」결과 발표

- 승마시설, 승마인구 등 지속 증가추세, 말 분야의 산업화 진전 확인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영록, 이하 농식품부)는 말산업육성법 제6조 및 통계법 제18조에 의해「2017년 말산업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2017년 말산업실태조사」는 2013년부터 매년 실시한 시범조사에 대해 통계청이 통계작성을 승인한(’16. 6.24.) 국가승인통계로서 2017년 10월 1일부터 11월 말까지 전문조사기관(메트릭스)에서 조사수행

「2017년 말산업실태조사」는 통계청 승인사항에 따라 ‘승마시설수’, ‘말산업 사업체’, ‘승마인구수‘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주요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말산업 육성정책으로 일환으로 농어촌형 승마시설 등 설치 지원 사업을 진행한 결과 농어촌형 승마시설수는 전년대비 18.9%(27개소)가 증가하였으며, 전체 승마시설수 역시 2016년 대비 6.9%(33개소) 증가한 512개소로 조사되어 2012년부터 2016년까지 농식품부에서 추진한 제1차 말산업육성 종합계획에 따른 목표인 500개소를 달성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② 말산업 사업체수는 2016년 대비 8.4%(192개소) 증가한 2,470개소이며, 이중 말보유 사업체수는 2016년 대비 9.5%(186개소)증가한 2,146개소로 조사되었다. 
  ③ 말 사육두수는 2016년 대비 94두 증가한 27,210두, 승마인구수는 2016년 대비 10,292명이 증가한 948,714명으로 지속적인 성장 추세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④ 조사결과를 토대로 추가 실시한 산업연관분석 결과, 산업의 국가경제 기여도를 나타내는 말산업 경제적 효과(2016년 말 기준)는 2015년 말 기준 대비 101억원(0.3%) 증가한 3조 4,221억원으로 조사되었다.
   * 산업연관분석은 「말산업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별도 실시한 연구의 결과로 국가승인통계 항목에는 미포함

 농식품부 관계자는 말 산업 성장의 주요 지표인 승마시설수, 말 사업체수, 말두수, 승마인구 확대 등 수요·공급 측면에서 2013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으며, 말관련 분야의 산업화가 진전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한 것에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하였다.  
  
 아울러, 2017년부터「제2차 말산업 육성 5개년 종합계획」이 시행되고 있어 정책 기초자료의 중요성이 더 커졌으며, 국가승인통계로 지정받아 신뢰도를 쌓은 만큼 지속적으로 말산업 통계를 발굴하고 정보를 생산해, 말산업 육성 정책의 기초자료로 삼을 계획임을 밝혔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저탄소 인증 축산물 유통·판매 지원사업 참여 업체 모집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오는 26일까지 저탄소 인증 축산물을 가공‧유통한 실적이 있는 업체를 대상으로 포장지 등을 지원하는 ‘2025년 상반기 저탄소 인증 축산물 유통·판매 지원사업’의 참여자를 모집한다. 이번 지원사업을 통해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유통업체의 제도 참여율을 높여 소비자의 명확한 저탄소 인증 축산물 식별을 돕는다. 지원 대상은 저탄소 인증 축산물을 학교 급식과 온오프라인 매장 등에 유통한 실적이 있는 유통 및 판매업체 중 저탄소 인증 축산물과 일반 축산물을 분리 가공할 수 있는 시설 또는 관리 체계를 갖춘 업체이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선정된 업체에 저탄소 인증 마크가 함께 인쇄된 우유 전용 용기(카톤팩)와 축산물 전용 포장지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축산물품질평가원 박병홍 원장은 “이번 지원사업을 통해 저탄소 인증 참여 유통·판매 업체의 제도 참여가 활성화되길 바란다.”라며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저탄소 인증제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통해 소비자의 가치소비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더욱 자세한 지원 자격과 신청 서류는 축산물품질평가원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우편과 방문 또는 전자우편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