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5월 27일(월) 10시 15분, 6.9 규모의 지진 발생으로 이동통신사업자 시설이 붕괴되어 전국적으로 통신장애가 발생했다는 상황을 가정하여 96개 유료방송사업자를 대상으로 운용하고 있는 모든 가용 채널에 대해 재난자막 송출 훈련을 최초로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훈련은 최근 발생한 강원산불에서도 보듯이 국지적 재난일지라도 대형재난으로 급속히 확산되는 등 재난이 점차 대형화․복합화·다양화되는 상황에서
유료방송사업자*가 최초 재난발생 시점에서 ‘한 사람의 시청자에게라도 재난상황을 신속히 전파’하고자 하는 정부 의지에 적극 공감하면서 모든 가용 채널에 재난자막을 송출하는 훈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로 하였다.
* 종합유선방송사업자(CATV),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제공사업자(IPTV), 위성방송사업자
최초로 실시되는 이번 송출 훈련을 위해 지난 4월부터 과기정통부는 5회에 걸쳐 유료방송사업자, 홈쇼핑협회 등을 방문하고 관계자 면담 등을 통해 재난자막 송출방식, 송출채널, 송출일시 및 내용 등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협의하였으며
동 훈련 자막은 전체 TV 화면에 흘림방식으로 송출되며 동일 자막을 10회 송출하기로 합의하였다.
이번 훈련에는 종합유선방송사업자(92개사),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제공사업자(3개사) 및 위성방송사업자(1개사) 등 모든 유료방송사업자가 전원 참여하고 있으며,
훈련을 통해 전체 운용채널의 약 65%에 해당되는 채널에 재난방송을 실시(평상시 대비 2.4배)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김재근 비상안전기획관은 “이번 훈련을 통해서 발견되는 문제점 등에 대해서는 유료방송사 및 관계기관과 협의하여, 재난방송이 가급적 많은 채널을 통해 신속․정확하게 송출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하면서, “앞으로는 넷플릭스, 유튜브 등 OTT* 서비스에 대해서도 재난자막을 실시간으로 송출할 수 있는 방안도 적극 검토해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개방된 인터넷을 통하여 방송 프로그램, 영화 등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재난방송 송출 문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