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7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회소식

한국은행, 중소기업지원대출 1200억원 부당 지원

중소기업 아닌 기업 191억원, 폐업 업체 209억원 등 자금관리 부실
부당대출에 따른 금융기관 제재 실효성 없어 연례적 반복

한국은행이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시행하고 있는 ‘금융중개지원대출’의 관리가 매우 부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김태흠의원(국민의힘, 충남 보령 ․ 서천)이 한국은행(이하 한은)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이후 규정을 어겨 지원된 금융중개지원대출은 1천259억원에 달했다.

 

중소기업이 아닌데도 대출된 경우가 191억원이었으며 폐업한 업체에도 209억원이 지원됐다. 중도에 상환을 받고도 한은에 알리지 않은 경우도 546억원 수준이었다.

 

연도별로 보면 2017년 부당대출액은 505억원이었고, 2018년 231억원, 지난해는 366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올해도 상반기에만 156억원 이상이 잘못 지원됐다.

 

한은은 대출을 취급하는 금융기관들에 대해 부당대출 여부를 확인해서 대출한도 감축 등의 재제를 하고 있는데 4년간 부당대출액 1천259억원에 대해 2천823억원의 한도 감축을 시행했다.

 

문제는 한은의 제재가 실효성이 없다 보니 은행들의 부당대출이 반복되고 있다는 점이다. A은행의 경우 4년간 266억원이 적발됐는데 2017년 124억을 잘못 대출해서 제재를 받은 후 2018년 부당대출액이 28억원으로 줄었지만 지난해에는 다시 96억원로 증가했다. 이렇게 대다수 은행들이 재제를 받을 때만 심사를 강화했다가 금새 느슨해지는 일을 반복하고 있다.

 

김태흠의원은 “한은이 중소기업을 지원할 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금융중개지원대출이 부실하게 관리되고 있다.”며 “대출심사에 소홀하는 등 부당하게 자금을 집행한 금융기관에 대해서는 강력한 제재를 통해 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되도록 해야한다.”라고 말했다.

 

금융중개지원대출 관련 위규대출 현황(단위: 억원)

연도

총대출액

사유별 위규대출액

중소기업

분류 오류

폐업

중도상환

보고지연

기타

소계

2017

171,855.0

38.9

76.3

346.5

43.8

505.5

2018

140,859.0

48.9

56.7

89.7

35.7

231.0

2019

155,684.3

88.5

48.7

56.7

172.3

366.2

2020.상

235,732.6

15.4

27.3

53.5

60.1

156.3

합계

704,130.9

191.7

209.0

546.4

311.9

1,259.0

 

 금융중개지원대출 관련 위규대출 현황(단위: 억원)

 

금융기관별 위규대출 현황

금융기관별 제재조치(한도감축) 현황

2017

2018

2019

2020.6

합계

2017

2018

2019

2020.6

합계

은행1

124.0

28.5

96.9

16.6

266.0

297.8

59.6

221.1

38.0

616.5

은행2

154.6

18.8

24.9

12.1

210.4

375.0

35.9

49.0

23.8

483.7

은행3

45.3

34.8

89.9

12.6

182.6

85.7

74.6

193.5

23.2

377.0

은행4

38.6

31.2

17.3

60.8

147.9

91.1

68.1

36.5

148.8

344.5

은행5

18.7

47.1

21.0

3.0

89.8

39.1

103.0

44.3

5.7

192.1

은행6

1.4

5.4

50.1

7.7

64.6

3.4

13.3

123.9

19.2

159.8

은행7

26.8

9.3

26.0

2.3

64.4

62.8

20.7

57.6

4.1

145.2

은행8

15.7

10.4

13.0

10.4

49.5

34.4

22.5

26.8

23.0

106.7

은행9

24.5

14.8

4.4

5.5

49.2

59.1

29.8

8.1

10.9

107.9

은행10

29.4

3.8

4.7

1.7

39.6

59.0

9.5

11.7

3.3

83.5

은행11

6.6

5.6

6.2

15.3

33.7

12.2

11.3

14.9

37.9

76.3

은행12

10.7

9.6

4.4

2.5

27.2

21.1

18.9

8.2

4.6

52.8

은행13

7.0

5.5

2.8

0.0

15.3

15.4

13.0

6.8

0.0

35.2

은행14

0.2

0.0

2.8

5.0

8.0

0.5

0.1

6.9

12.5

20.0

은행15

0.9

5.1

1.7

0.2

7.9

1.4

9.7

4.0

0.2

15.3

은행16

1.1

1.1

0.1

0.6

2.9

2.6

2.5

0.3

1.2

6.6

총계

505.5

231.0

366.2

156.3

1259.0

1,160.6

492.5

813.6

356.4

2823.1



 


농업

더보기
콩 개화기 이후 병해충 관리 힘써야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꼬투리가 자라고 콩알이 차오르는 생육 후기에 수량과 품질에 큰 영향을 주는 병해충 특징을 소개하며,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9월 기온은 평년보다 높고 강수량이 많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러한 기상 조건은 콩 생육 후기와 맞물려 병해충 발생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탄저병, 미라병, 자주무늬병과 같은 주요 병과 노린재류 해충은 심하면 수량을 크게 떨어뜨리기 때문에 사전 방제가 관건이다. (병 관리) 자주무늬병은 잎이 진한 보라색으로 변하며, 크기와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병반이 나타난다. 감염된 종자는 자줏빛을 띤다. 주로 온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발생하며, 초기 발생 시 등록된 약제를 살포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탄저병은 줄기나 꼬투리에 불규칙한 갈색 반점이 생기며, 콩알이 작아지고 변색한다. 심하면 썩거나 콩알이 맺히지 않아 수확량이 감소한다. 항공방제 전용 약제가 등록돼 있어 무인 항공기 방제가 가능하다. 미라병은 따뜻하고 습한 환경에서 발생해 잎과 꼬투리, 줄기 등 다양한 부위에 감염된다. 줄기에는 작은 검은 점이 한 줄로 생기고, 종자는 회백색으로 변하면서 갈라지거나 모양이 길게 변한다. (해충 관리) 노린재류는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한우 생산성·유전능력 분석 서비스 매뉴얼 발간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9월 3일, 과학적 사양관리를 통한 한우 생산성 향상을 위해 ‘한우 생산성·유전능력 분석 서비스 이용 매뉴얼’을 새롭게 발간했다. 매뉴얼은 한우 개체별 수익성과 유전능력 정보를 농가에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담고 있어 현장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가는 생산성 분석을 통해 개체별 수익, 출하 시기별 월평균 수익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소의 적정 출하 시기를 파악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유전능력 분석으로 사육·출하 개체의 도체중, 근내지방도 등 핵심 형질별 유전능력을 실시간 비교하고 개량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해 사육 기간 단축을 통한 경영비 절감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번 매뉴얼이 농가의 데이터 기반 경영을 확대해 단기적으로는 생산비 절감과 소득 증대 효과를, 장기적으로는 개량 효과를 극대화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한우 생산성·유전능력 분석 서비스 이용 매뉴얼’은 ‘축산물 원패스’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 축산물 원패스 누리집 바로가기:www.ekape.or.kr/kapecp 축산물품질평가원 박병홍 원장은 “한우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데이터


산림

더보기
기후변화 재난, 산림유량관측망 구축으로 대비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극한 호우에 따른 산지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2031년까지 8년간 전국 400개소에 산림유량관측망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산림유량관측망은 산지 유출수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시스템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해 홍수, 가뭄, 산사태 등 물 관련 산지재난의 발생 특성을 분석, 예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국립산림과학원 생활권도시숲연구센터 연구진은 최근 우리나라 산림유역에 적합한 홍수도달시간 산정식을 개발해 산지 홍수 예측 정확도를 높였다. 홍수도달시간은 가장 높은 강우량 시점에서 수위가 가장 높아진 시점까지 걸리는 시간으로, 일반적으로 짧을수록 재해에 취약하다. 특히 산지에서 실시간 유량변화를 확보하는 것은 지역의 산지재난 발생 위험성을 해석하는 데 중요하다. 이번에 새롭게 추진되는 산림유량관측망 구축은 한국형 실시간 정밀 유량관측을 가능하게 해, 산지재난 대응의 정확도를 높이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연구결과는 산림과학 국제학술지인 「Forests」에 2024년 게재되어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생활권도시숲연구센터 박찬열 센터장은 “산림유량관측망 구축으로 산지재난을 보다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을